2013년 3월 소비자물가 1.3% 안정세

세종--(뉴스와이어)--Ⅰ. 3월 소비자물가 동향

‘13.3월 소비자물가는 전월대비 △0.2%, 전년동월대비 1.3% 기록

- 2월에 비해 물가가 하락세로 전환(전월비 0.3 → △0.2%)되면서, ‘12.11월 이후 5개월 연속 1%대 안정세 지속
- 기상여건 호전, 보육료 지원 확대 등으로 농산물(전월비 1.5→△2.7%)과 개인서비스(0.5→△0.8%)가 전월대비 하락세로 전환된데 기인

* 상승률(전월비, %): (농산물)△2.7〔채소△7.2〕 (개인서비스)△0.8〔보육시설이용료△23.2〕기여도(전월비, %p): △0.14 △0.13 △0.27 △0.15

구입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아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는 전년동월비 0.8%(전월비 △0.4%)로 안정세

* 생활물가(전년동월비, %): (‘12.8)0.6 (9)1.7 (10)1.6 (11)1.0 (12)0.7 (‘13.1)0.8 (2)0.8 (3)0.8

물가의 장기적 추세를 보여주는 농산물·석유류제외 근원물가도 전년동월비 1.5%(전월비 △0.2%)로 안정적인 모습

* 근원물가(전년동월비, %): (‘12.8)1.3 (9)1.4 (10)1.5 (11)1.3 (12)1.2 (’13.1)1.2 (2)1.3 (3)1.5

Ⅱ. 평가 및 향후전망

‘13.3월 소비자물가는 국제유가·곡물가격 상승영향으로 석유류·가공식품 등이 상승했으나, 농축수산물·개인서비스가 전월대비 하락세로 전환되어 1%대 초반 상승률 기록

ㅇ 3월 들어 기상여건 호전 등으로 그간 강세를 보였던 농산물이 하락하고, 축산물·수산물도 안정세를 유지하면서 물가안정에 기여

* 가격상승률(전월비, %): (농산물)△2.7 (축산물)△2.7 (수산물) 0.3

- 이에 따라, 그간 서민 체감물가 상승을 주도했던 신선식품물가도 하락세(전월비 1.8 → △2.7%)로 전환되어 1.0% 상승률 기록

* 신선식품(전년동월비, %): (‘12.9)8.6 (10)12.0 (11)8.0 (12)9.4 (’13.1)9.3 (2)7.4 (3)1.0

ㅇ 특히, 3월부터 보육료·유치원비·급식비 지원 확대 등 정책지원 효과가 반영되면서 개인서비스 하락세가 물가안정을 주도

* 가격상승률(전월비, %): (보육시설이용료)△23.2 (유치원납입금)△24.9 (급식비)△11.1

향후 물가여건은 당분간 현재의 안정세를 유지할 전망이나, 기후 여건에 따른 농산물 수급불안 등 공급측 불안요인 상존

ㅇ 특히, 높은 수준의 유가, 국제곡물가격의 변동성 확대 등이 국내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 두바이유($/B): (‘12.8)108 (9)111 (10)109 (11)107 (12)106 (’13.1)108 (2)112 (3.28)107

* 곡물가격(센트/부셸, ‘12.1→’13.3.28): (옥수수)659→695 (밀)657→688 (콩)1,228→1,405

정부는 물가가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농산물 수급불안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한편, 유통구조 개선·경쟁촉진·정보공개 확대 등 구조개선 과제에 정책역량을 집중할 계획

ㅇ 농산물·독과점 품목 등의 유통단계 축소, 경쟁촉진 등 유통구조개선 종합대책을 민관이 함께 5월말까지 차질없이 마련

ㅇ 농산물은 비축·방출 등을 통해 수급불안을 해소하고, 가공식품·서비스요금은 소비자단체의 원가분석 및 정보제공 확대 등 민간의 시장감시 기능을 활성화하여 가격 안정을 유도

* ‘13년 농산물 비축물량: 배추 11천톤(도매시장 출하량의 10%를 상회하는 수준), 고추 6천톤(연간소비량대비 3%), 마늘 9천톤(3%) 등

ㅇ 공공요금은 산정기준 개정(기재부 훈령, 4월)을 통해 투명성을 제고하고, 경영효율화 등을 통해 안정적으로 관리

ㅇ 알뜰주유소 확대(3.26일, 893개), 혼합판매·유류공동구매 활성화, 전자상거래 정착 등 석유시장 경쟁촉진 효과를 지속 점검·보완

기획재정부 개요
경제정책과 예산 및 세제 등을 총괄하는 정부 부처이다. 2008년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의 기능을 통합하여 출범했다. 주요 업무는 경제정책 방향의 수립과 총괄 조정, 예산 배분, 조세정책, 국고 국유재산 정부회계와 국가채무에 관한 관리, 외국환과 국제금융에 관한 정책 총괄, 대외협력과 남북경제교류협력 증진,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관리 감독 등을 담당한다.

웹사이트: http://www.mosf.go.kr/

연락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
황경임
044-215-27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