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고영초 교수, 카자흐스탄에 희망 선물
- 뇌종양, 수두증 치료로 고려인연합회 감사패 받아
임마리나씨의 뇌종양 완치 소식은 카자흐스탄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아이린(4)의 부모도 이 소식을 듣고 고 교수를 찾았다. 아이린은 태어날 때부터 뇌실출혈 진단을 받고 머리에 물이 차는 수두증을 앓고 있었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 러시아에서 션트(튜브)를 이용해 뇌실에 찬 물을 복강으로 유도하는 ‘뇌실복강단락술’을 받았으나 션트에 문제가 생겼다. 하지만 러시아의 의료수준으로는 치료할 방법이 없어 다른 병원을 알아보는 중이었다. 당시 아이린은 한쪽 뇌가 두개골에 눌려 얼굴이 심하게 일그러져 있었고. 걷는 것조차 힘든 상태였다. 또 뇌가 자라지 못하면서 언어 장애도 찾아왔다.
고영초 교수는 2010년 잘못된 션트를 바로잡는 수술을 통해 수두증을 치료했다. 이후 뇌가 자랄 수 있도록 두개골을 넓히는 두개골 성형술을 시행했고, 수술 이후 아이린은 건강과 함께 얼굴도 제자리를 찾았다. 언어장애도 나아져 이제는 엄마와 이야기를 나누며 진료를 기다린다. 또 친구들과 뛰어다니며 장난치고 놀 수 있게 됐다.
“아이린의 변한 모습을 보고 모두들 깜짝 놀라요. 고영초 교수님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진료 대기 중 이리저리 뛰어다니는 아이린을 바라보며 엄마인 리엘레나(30)씨가 환한 미소로 말했다.
아이린의 수술 성공 후 임마리아씨와 같은 병을 앓고 있던 친척 블라드미르 보바(23)씨도 고 교수에게 수술을 받고 건강을 되찾았다. 이렇듯 성공적인 수술로 새 삶은 찾은 이야기는 카자흐스탄의 고려인 연합회에도 전해졌다. 고려인 연합회 김로만 회장은 “치료를 받은 모든 분들이 고영초 교수님께 고마워하고 있다”며 “그 마음을 모아 감사패를 드리게 됐다”고 전했다.
고영초 교수는 “병을 고치기 위해 카자흐스탄에서 한국까지 온 환자들이 건강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 기쁘다”며 “이를 계기로 건국대병원의 위상도 높인 것 같아 뿌듯함도 크다”고 말했다.
건국대학교 개요
독립운동의 맥동 속에서 태어난 당당한 민족사학 건국대학교는 1931년 상허 유석창 선생께서 의료제민(醫療濟民)의 기치 아래 민중병원을 창립한 이래, 성(誠) 신(信) 의(義) 교시를 바탕으로 ‘교육을 통한 나라 세우기’의 한 길을 걸어왔다.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서울캠퍼스와 충북 충주시 충원대로 GLOCAL(글로컬) 캠퍼스에 22개 단과대학과 대학원, 4개 전문대학원(건축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10개 특수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과 연구, 봉사에 전념하고 있다. 건국대는 ‘미래를 위한 도약, 세계를 향한 비상’이란 캐치프레이즈 하에 새로운 비전인 ‘르네상스 건국 2031’을 수립, 2031년까지 세계 100대 대학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신지식 경제사회를 선도하는 글로벌 창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nkuk.ac.kr
연락처
건국대학교
홍보실
02-450-3131~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