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경제전망(수정)

서울--(뉴스와이어)--2013년 경제전망(수정)

Ⅰ. 국내외 경제여건

<국외 여건>

① 세계경제

세계경제는 주요 선진국의 금융완화, 신흥시장국의 성장세 확대 등에 힘입어 점차 회복될 전망

ㅇ (미국)재정긴축에도 불구하고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지속할 전망

■다만, 정부예산 자동삭감(Sequester)의 영향으로 금년중 경제성장률은 지난해에 비해 하락할 것으로 예상

ㅇ (유로지역)고용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재정긴축으로 인한 역내수요 위축으로 금년중 마이너스 성장을 보일 전망

■하반기에는 역내외 수요가 회복되면서 실물경제도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EU 차원의 정책대응 강화로 금융시장 불안이 완화되고는 있으나 이탈리아의 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

ㅇ (일본)재정지출 확대 등 적극적인 경기부양 대책에 힘입어 지난해 2/4분기 이후의 부진에서 벗어나 회복세를 나타낼 전망

■재정지출 확대, 금융완화에 따른 엔화 약세, 주가 상승 등이 실물경제 회복을 지지

ㅇ (중국)내수와 수출의 호조로 성장세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

■고정투자 및 소비가 지난해 4/4분기 이후의 회복세를 이어가면서 꾸준히 늘어나고 대외여건 개선으로 수출도 큰 폭 증가

② 국제유가

국제유가는 원유수요 증대에도 불구하고 셰일오일 등 비전통석유 생산 증가, 높은 재고수준 등으로 안정세를 보일 전망

ㅇ 다만 글로벌 유동성 증가에 따른 투자자금 유입 등이 가격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소지

<국내 여건>

① 민간소비

가계의 소비심리 및 소득여건 개선 등에 힘입어 금년중 민간소비는 완만하게 증가할 전망

ㅇ대외여건의 불확실성 완화와 더불어 소비심리가 점차 회복되는 모습
ㅇ국제유가 안정 등으로 교역조건이 개선되면서 국내총소득(GDI)도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

다만 가계부채 부담, 주택시장 부진, 취업자수 증가폭 축소 등은 소비증가율 제약 요인

② 설비투자

설비투자는 글로벌 경기 및 투자심리 개선 등으로 점차 회복될 전망

ㅇ 금년 들어 글로벌 경기가 완만한 개선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투자심리도 회복되는 모습

다만 제조업내 일부 유휴설비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북한 관련 리스크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설비투자 회복세를 제약할 우려

③ 건설투자

(주거용 건물) 미분양물량 적체, 주택경기 부진 등으로 증가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ㅇ 다만 정부의 부동산 종합대책(4.1일) 등이 주택경기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면서 주거용 건물투자 확대에 기여할 가능성

(비주거용 건물) 관공서 및 숙박시설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보일 전망
(토목) 정부 SOC 예산 확대 등으로 증가 전환 예상

Ⅱ. 경제전망

금년중 세계경제 성장률은 주요국의 경기상황을 반영하여 3.3%(2013.1월 전망시 3.4%)로 전제<2014년 3.9%>

ㅇ 세계교역 신장률은 4.2%(4.4%)로 전제<6.0%>

◇원유도입단가(기간 평균)는 배럴당 107달러(107달러)로 전제<105달러>
◇정부는 경기 부진 등으로 금년중 12조원 내외의 세수 감소를 예상하고 있으나 당행 경제전망시에는 예산상 지출규모가 유지된다고 전제

1. 경제성장

금년중 GDP성장률은 1월(2.8%) 전망보다 낮은 2.6%(상반 1.8%→하반 3.3%)를 보일 전망

ㅇ 2014년에는 3.8% 성장할 것으로 예상

2. 고 용

금년중 취업자수는 지난 전망(30만명)에 비해 2만명 감소한 28만명 내외 증가할 전망

ㅇ실업률은 3.4%, 고용률은 59.4%(OECD기준 64.6%) 수준

3. 물 가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연평균 기준)은 1월 전망(2.5%)보다 낮은 2.3%로 전망

ㅇ2014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8%로 전망

4. 경상수지

금년중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1월 전망(320억달러)과 비슷한 330억달러로 전망

ㅇ2014년중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270억달러 내외로 전망

Ⅲ. 종합평가

①경제성장

경제성장률(전기대비)이 금년 상반기중 0.8% 수준을 나타내어 국내경기가 지난해의 부진에서 점차 회복될 전망

ㅇ하반기에는 글로벌 경기 개선 등으로 성장률이 전기대비 1.0% 수준까지 상승하겠으나 GDP갭은 당분간 마이너스를 유지
ㅇ성장에 대한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지난해에 이어 금년에도 수출기여도가 내수를 상회
ㅇ 국제유가 하락 등 수입단가 안정에 따른 교역조건 개선으로 국내소득(GDI) 증가율과 GDP 성장률 간 괴리가 해소
ㅇ한편 2013년중 GDP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은 지난해 3/4~4/4분기중 GDP 성장률 실적치의 하향 조정, 세계경제 성장률 및 교역 신장률 전제치가 소폭 하락한 데 기인

②물 가

지난해 11월 이후 이어지고 있는 1%대 중반의 물가상승률은 농축산물, 무상보육 등 일시적, 제도적 요인에 주로 기인

ㅇ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 하향조정은 1/4분기중 예기치 못한 농산물가격 하락 등에 기인
■무상보육, 무상급식 등 제도적 요인을 제거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로 지난해와 동일할 것으로 전망

ㅇ기간별로 보면 상반기(1.6%)보다 하반기(2.8%)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확대될 전망
■무상보육, 무상급식을 제외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하반기중 3.2% 수준까지 확대

ㅇ기대인플레이션이 3%대 초반 수준에서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있어 공급충격 발생시 물가상승 압력이 단기간에 확대될 소지

③경상수지

GDP 대비 경상수지흑자 비율은 2012년 3.8%에서 2013년 2.6~2.7%, 2014년 2.0~2.1% 내외로 하락

ㅇ수입 증가폭 둔화에 따른 상품수지 흑자 확대 등을 반영하여 경상수지 전망치를 소폭 상향 조정

웹사이트: http://www.bok.or.kr

연락처

한국은행
조사국
조사총괄팀
02-759-4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