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매년 6~7만명 발생하는 학업중단학생 통계 조사항목 개선

- 학업중단 사유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맞춤형 대책 마련에 활용

서울--(뉴스와이어)--교육부(장관 서남수)는 매년 6~7만명 정도 발생하는 초·중·고교 학업중단학생의 사유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대책 마련에 활용하고자, 조사항목을 세분화하는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제도 개선은 ‘13년 4월 교육기본통계조사부터 적용하여 조사 중이며, 9월경에 통계조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학업중단 유형 및 원인별 학업중단학생 통계조사 결과는 학업중단학생과 관련하여 보다 체계적인 대책 수립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학업중단학생 통계조사 개선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의무교육 단계인 초·중학생은 장기결석, 학력이 인정되지 않는 유학, 학력 인정 유학 및 정당한 해외 출국 등을 세분화하여 조사하도록 하였다. 특히, 고등학생 중에서 학교 부적응으로 자퇴하는 학생을 학업 관련 부적응, 대인관계 부적응, 학교규칙 관련 부적응 등으로 세분화하여, 이에 맞는 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부는 학업중단학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학업중단 징후가 보이는 학생들을 조기에 진단하여 예방·치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바, 이러한 현황 분석을 기초로 대인관계에 부적응을 보이는 학생들에 대해서는 Wee 센터의 전문적 상담·치유를 강화하고 학업관련 부적응 학생은 기초학력을 높이는 프로그램 제공, 경제사정으로 학업포기 학생들에 대해서는 교육비 지원 강화, 진로 변경으로 직업교육을 희망하는 학생에 대해서는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학생 개개인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종합 대책을 하반기에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여성가족부, 고용노동부 등 관련 부처와 협조하여 위기청소년 상담, 직업훈련을 통한 자립·자활 프로그램 등의 연계를 통하여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지원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부 개요
교육정책의 수립, 인적 자원 개발, 대학 지원 업무를 총괄하는 정부 부처이다. 기획조정실, 교육지원실, 대학정책실, 지방교육지원국, 평생직업교육국, 교육정보통계국을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국사편찬위원회, 교원소청심사위원회, 국립특수교육원, 국립국제교육원, 중앙교육연수원, 대한민국학술원 등을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e.go.kr/

연락처

교육부
학생복지정책과
김종일 사무관
02-2100-6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