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4주 주간분양… 서울 아파트값 3주 연속 상승세
- 전국 0.00%, 서울 0.01%, 수도권 0.00%, 세종시 0.00%, 도지역 0.01%, 광역시 0.02%
서울에서는 중구 0.38%, 금천구 0.28%, 송파구 0.13%, 동대문구 0.08%, 용산구 0.07%, 광진구 0.03%, 도봉구 0.01%, 강동구 0.01% 등이 상승세였다. 이어 강북구 0.00%, 강서구 0.00%, 서대문구 0.00%, 성동구 0.00%, 성북구 0.00%, 은평구 0.00%, 종로구 0.00%, 중랑구 0.00% 등은 보합이었다.
한편 노원구 -0.15%, 영등포구 -0.10%, 동작구 -0.08%, 양천구 -0.08%, 강남구 -0.04%, 구로구 -0.04%, 마포구 -0.04%, 서초구 -0.02%, 관악구 -0.01% 등은 집값이 약세를 보였다.
재건축 아파트값은 0.12%로 3주 연속 상승세다. 강동구 0.98%, 송파구 0.40% 등이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영등포구 -0.36%, 강남구 -0.19%, 서초구 -0.08%, 용산구 -0.05% 등은 약세를 보였다. 강남구와 여의도, 서초구 등 고가의 대형면적 비중이 높은 곳은 4.1대책 수혜단지에서 제외되면서 집값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4.1대책으로 양도세 등의 혜택을 받게 되는데도 시장이 잠잠하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동두천시 1.80%, 고양시 0.22%, 가평군 0.18%, 광주시 0.14%, 구리시 0.09%, 이천시 0.06%, 의정부시 0.03%, 안양시 0.01% 등은 집값이 소폭 상승했다. 과천시 0.00%, 광명시 0.00%, 수원시 0.00%, 시흥시 0.00%, 안성시 0.00%, 양평군 0.00%, 여주군 0.00%, 연천군 0.00%, 오산시 0.00%, 평택시 0.00%, 포천시 0.00%, 하남시 0.00% 등은 보합이었다.
이어 양주시 -0.41%, 군포시 -0.38%, 김포시 -0.27%, 남양주시 -0.19%, 파주시 -0.18%, 화성시 -0.10%, 성남시 -0.04%, 안산시 -0.03%, 부천시 -0.02%, 용인시 -0.02%, 의왕시 -0.01% 등은 집값이 떨어졌다.
인천시는 하락폭이 많이 줄어든 모습이다. 남구 -0.42%, 서구 -0.01%는 하락했고, 강화군 0.00%, 계양구 0.00%, 남동구 0.00%, 동구 0.00%, 부평구 0.00%, 연수구 0.00%, 중구 0.00% 등은 집값에 변동이 없었다. 1기 신도시는 일산 0.17%, 중동 0.15%, 평촌 0.02% 등은 상승했고, 산본 -0.62%, 분당 -0.06% 등은 하락했다.
<5대 광역시>
광주시 0.04%, 대구시 0.04%, 울산시 0.02%, 부산시 0.00%, 대전시 0.00% 등의 순이었다.
광주시에서는 서구 0.13%, 광산구 0.04%, 남구 0.03%, 북구 0.02%, 동구 0.00% 등이었다. 대구시에서는 북구 0.29%, 수성구 0.02%, 달서구 0.01%, 남구 0.00%, 달성군 0.00%, 동구 0.00%, 서구 0.00%, 중구 0.00% 등의 순이었다.
울산시에서는 북구가 0.11%로 가장 많이 올랐고, 남구 0.00%, 동구 0.00%, 울주군 0.00%, 중구 0.00% 등은 보합이었다. 대전시에서도 대덕구 0.00%, 동구 0.00%, 서구 0.00%, 유성구 0.00%, 중구 0.00% 등 대부분의 지역이 지난주와 변동이 없었다.
부산시는 수영구만이 0.03% 소폭 올랐다. 강서구 0.00%, 금정구 0.00%, 기장군 0.00%, 남구 0.00%, 동구 0.00%, 동래구 0.00%, 부산진구 0.00%, 북구 0.00%, 사상구 0.00%, 사하구 0.00%, 서구 0.00%, 연제구 0.00%, 영도구 0.00%, 중구 0.00%, 해운대구 0.00% 등은 집값에 변동이 없었다.
<도지역>
도지역에서는 충청남도 0.03%, 충청북도 0.02%, 경상북도 0.02%, 강원도 0.00%, 경상남도 0.00%, 전라남도 0.00%, 전라북도 0.00%, 제주도 0.00% 등의 순이었다. 경상북도 구미시가 지난 주에 이어 0.07%로 2주 연속 상승했다. 충청남도 천안시 0.05%, 충청북도 청주시 0.03% 등도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 밖의 지역들은 대부분 집값에 변동이 없었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장재현 팀장
02-2185-7341(직)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