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미, 찰벼에 메소트리온·벤조비사이클론 혼합제 사용금물

수원--(뉴스와이어)--제초제 중에서 일부 품종에 대해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초제 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흑미와 찰벼에 메소트리온과 벤조비사이클론 성분을 함유한 제초제를 사용하면 약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논에서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마디꽃 등 제초제 저항성 잡초가 늘어남에 따라 전문약제인 메소트리온과 벤조비사이클론 혼합 제초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흑미와 찰벼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이 제초제들을 사용하면 카로티노이드 색소 생합성을 억제해 벼의 새잎이 하얗게 변하는 백화현상이 나타나고 심하면 말라 죽는다.

메소트리온 약제를 흑미와 찰벼에 기준량 처리 시험한 결과 초장억제율이 한강찰 1호 19 %, 흑설 22 % 였고, 건물중 억제율은 한강찰 1호, 흑설 47∼48 %, 흑진주, 보석흑찰, 화선찰벼 22∼31 %로 약해가 발생했다.

현재 흑미는 약 5천ha, 찰벼 약 4만 5천ha에 재배되고 있으며, 건강 기능성 특수미로 재배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약해발생 면적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진흥청 신소재개발과 김상열 박사는 “흑미와 찰벼는 일반벼와 제초제 반응이 다르므로 흑미와 찰벼 품종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메소트리온과 벤조비사이클론 혼합제초제를 제외한 제초제를 사용해야 한다.” 라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신소재개발과
055-350-117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