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국내 처음 LTE 맞춤형 요금제 출시

뉴스 제공
SK텔레콤 코스피 017670
2013-05-22 08:52
서울--(뉴스와이어)--고객이 자신의 사용패턴에 맞춰 ‘데이터와 음성’을 직접 고를 수 있는 ‘LTE 맞춤형 요금제’와 청각/시각 장애인의 통화 방식을 고려한 ‘LTE 용 장애인 요금제’가 국내 처음으로 출시된다.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하성민, www.sktelecom.com)은 지난 5월 초 ‘행복동행’ 선언 이후 후속 실천 방안의 일환으로 ▲LTE 맞춤형 요금제 ▲장애인 전용 LTE 요금제 ▲어르신 요금제 데이터 혜택 강화 ▲선불식 데이터 충전 요금제 등 고객 지향형 요금제를 신규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LTE 맞춤형 요금제’는 고객이 음성과 데이터를 자신의 사용패턴에 맞게 직접 설계하는 것으로 음성/데이터 ‘편중형’ 고객들의 통신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낮춰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요금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또 장애인들의 통화방식을 고려한 장애인 전용 LTE 요금제 출시는 사회적 배려층의 모바일 사용환경을 대폭 개선할 전망이다. 어르신들의 데이터 사용 증가 추세에 맞춰 데이터 혜택도 강화됐다.

SK텔레콤 장동현 마케팅부문장은 “LTE용 맞춤형 요금제와 장애인 요금제 출시를 계기로 고객들의 요금제 선택권이 더욱 확대됐다”며 “SK텔레콤의 ‘행복동행’ 선언 이후 ‘고객과 함께하는 행복’을 향한 또 하나의 발자국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국내 최초 LTE 맞춤형 요금제 출시

‘LTE 맞춤형 요금제’는 일반적 이용 유형이 아닌, 데이터 또는 음성 한쪽에 편중되는 통신이용 패턴을 갖고 있는 고객들의 통신 요금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요금제다.

※‘LTE 맞춤형 요금제’는 자신의 이용패턴에 맞춰 필요한 음성·데이터·SMS 구간 등을 선택해 사용하는 요금제이며, SK텔레콤은 지난 2010년 8월 이동통신업계 최초로 ‘3G 맞춤형 요금제’를 내놓은데 이어 LTE사용자들을 위한 ‘LTE 맞춤형 요금제’를 업계 처음으로 출시함

예를 들어 데이터를 주로 사용하는 편중형 고객(※ EX:데이터 5GB/음성 70분)의 경우 기존에는 LTE 62 요금제(※기본제공량 5GB/350분)를 사용해 매월 4만 6000원(※LTE 플러스할인 1만 6000원 반영, 부가세 별도)이 부과됐지만, LTE 맞춤형 요금제를 선택한다면 ‘음성 100분, 데이터 6GB’ 구간(※월정액 4만 8000-요금약정할인 1만 500원, 부가세 별도)을 선택해 기존 대비 8500원의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음성 중심 이용 고객(※ EX: 음성 400분, 데이터 200MB)의 경우에도 기존에는 LTE 62 요금제를 선택해야 했지만(※ 62 요금제 채택시 음성초과 50분 반영시 5만 1400원), LTE 맞춤형 요금제에서는 ‘음성 400분, 데이터 250MB’ 구간을 선택해 1만 400원의 요금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LTE 맞춤형 요금제’는 3G 맞춤형 요금제와 유사하게 ▲음성 4개 구간(100~400분)▲데이터 5개 구간 (250MB~6GB) ▲문자 5개 구간(100건~1000건) 중 적합한 구간을 선택해 조합하는 방식이다.

SK텔레콤은 또 LTE 맞춤형 요금제에서 음성 혜택을 더욱 강화한 ‘LTE T끼리 맞춤형 요금제’도 함께 내놨다. ‘LTE T끼리 맞춤형 요금제’는 전구간 SKT 고객간 음성 무제한을 제공하고 음성 상위 구간에서는 최근 출시한 전국민 무한 요금제와 동일하게 유무선 음성 무제한 혜택을 제공한다.

SK텔레콤은 또 지난 11월 1일부터 시행된 요금약정할인제도 확대에 맞춰 ‘LTE 맞춤형 요금제’도 음성옵션+데이터옵션 월정액을 기준으로 LTE플러스 약정할인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은 월정액 구간별로 5000원~2만 4000원(24개월 약정 기준)까지 요금할인을 받게 된다.(※‘LTE T끼리 맞춤형 요금제’의 경우 ‘LTE T끼리 요금제’에 적용되었던 월정액별 할인금액 적용)

특히 3만 4000원 미만 구간은 당초 LTE플러스약정할인표 상 요금할인이 없으나, 소액 사용자들을 위해 ‘LTE 맞춤형 요금제’에 한해 5000~7200원 할인을 제공한다.

SK텔레콤은 “기존 LTE 정액형 요금제 대비 LTE맞춤형은 1인당 약 4000원, LTE T끼리 맞춤형은 1인당 약 7000원의 요금 절감 효과가 있어 연평균 200만 명 가입 시 연간 1천억 원 이상의 가계통신비 절감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LTE 맞춤형 요금제’는5월 31일, 음성 혜택을 보다 강화한 ‘LTE T끼리 맞춤형 요금제’는 전산개발과정이 마무리되는대로 조속히 시행될 예정이다.

국내 최초 장애인 전용 LTE 요금제 ‘LTE 손사랑·소리사랑’ 출시

SK텔레콤은 또 5월23일 이동통신 업계 처음으로 ‘LTE전용 장애인 요금제’를 출시한다. LTE 영상통화는 3G 영상통화 대비 화질이 좋고 끊김도 덜해 수화로 소통하는 고객들에게 대폭 개선된 통신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LTE 손사랑 34’는 청각장애인의 통화 패턴을 고려해 음성통화 대신 영상통화와 문자 제공량을 강화했다. 월 3만 4천원(24개월 약정 시 2만 7천원)으로 영상통화 110분, SMS 1,000건, 데이터 750MB를 이용할 수 있다.

LTE데이터 사용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기존 3G’올인원손사랑34’ 요금제 대비 기본제공 데이터를 650MB 늘렸고, 일반 ‘LTE 34’ 요금제와 비교해도 데이터가 200MB더 많다.

시각장애인 대상 요금제인 ‘LTE 소리사랑 34’는 음성통화 250분, 문자 50건(기본제공), 데이터 750MB가 제공되며, 기존 3G ‘올인원 소리사랑 34’ 요금제 대비 기본제공 데이터를 650MB 늘렸고, LTE 34요금제 대비 음성통화량은 130분, 데이터는 200MB 더 많다.

어르신 대상 LTE 데이터 혜택 강화

SK텔레콤은 31일부터 만65세 이상 고객들을 위한 ‘LTE 골든에이지 15, 34’ 요금제의 데이터 제공량을 기존 100MB, 350MB에서 각각 150MB, 550MB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는 최근 어르신들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이 늘어나는 추세를 반영한 조치이다.

‘LTE 골든에이지 요금제’는 어르신이 전화를 걸 때뿐만 아니라, 자식/손자·손녀들이 어르신께 전화를 걸 때에도 무료통화 시간을 나눠 이용할 수 있도록 ‘무료통화 공유 서비스’ 개념을 국내 최초로 도입해, 가족들이 보다 편리하고 부담없이 소통할 수 있도록 했다.

또 SK텔레콤은 어르신들이 보이스피싱 위험에 특히 취약한 점을 고려해,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시 최대 3백만원까지 보상받을 수 있는 ‘보이스 피싱 보험’ 상품을 ‘LTE골든에이지 34’ 신규 가입 고객 모두에게 1년간 무상으로 제공한다. (※첨부 3 참고)

데이터 전용 기기 대상 선불식 데이터 충전 요금제 6종 신설

데이터 전용 기기 대상 선불식 데이터 충전 요금제 6종도 오는 23일 새롭게 출시한다. 1회 8천원에서 3만원을 내면 300MB~4GB단위로 데이터 충전이 가능하다. 고객은 필요한 만큼의 데이터를 선불로 충전해두면, 최대 90일 간 해당 용량 내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추가 충전도 가능하다.

이 요금제는 데이터 이용량이 매우 적거나, 월별로 이용하는 데이터량이 크게 차이 나는 고객, 또 데이터 기기를 비정기적으로 이용해 기존 월 단위 정액 요금제가 부담되는 고객들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SK텔레콤은 비정기적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 충전 요금제 출시로 정기적·다량 사용자를 위한 3G 태블릿 요금제, 모뎀 사용자를 위한 T login 요금제, 이동전화 모회선의 데이터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3G 함께쓰기 요금제 등과 함께 고객의 선택권을 더욱 넓혀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 윤원영 마케팅전략본부장은 "SK텔레콤 LTE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든 고객들이 자신에게 맞는 요금제를 찾아 쓸 수 있도록 다양한 요금체계를 지속적으로 내놓는다는 계획”이라며 “아울러 장애인 등 사회적 배려층과 어르신들의 특성을 반영한 요금제를 통해 고객들의 실질적인 가계통신비 절감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 개요
SK텔레콤은 국내 1위의 무선 통신 서비스회사이다. 유·무선 통신 인프라와 AI 및 ICT 경쟁력을 기반으로 고객에게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유·무선 통신망을 고도화해 안정적인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구독·메타버스·Digital Infra 등 새로운 영역에서 혁신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ktelecom.com

연락처

SK텔레콤
홍보실
02-6100-3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