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2012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분석결과 발표

- 국내 건강기능식품 성장세 둔화

청원--(뉴스와이어)--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12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생산액은 1조4,091억원으로 ‘11년(1조3,682억원) 대비 3% 증가하였지만 예년에 비해 둔화세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증가율은 ‘12년 국내총생산액(GDP, 1,272조원) 증가율 2.82%와 국내 제조업총생산액(GDP, 356조원) 증가율2.48%을 약간 웃도는 수준이지만 ’11년 28%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전체 생산액(%는 전년대비 증가률) : (‘08) 8,031억원(11%) → (’09) 9,598억원(19%) → (‘10) 10,671억원(11%) → ('11) 13,682억원(28%)→ (’12) 14,091억원(3%)

또한, 건강기능식품 수출액은 584억원으로 ‘11년 556억원 보다 5% 가량 소폭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액(%는 전년대비 증감률) : (‘08) 514억원(49%) → (‘09) 415억원(-19%) → (‘10) 460억원(11%) → (’11) 556억원(21%) → (‘12) 584억원(5%)

‘12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은 국내·외 전반적 경기침체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수요 감소 및 중저가 제품 선호 등의 이유로 둔화세를 보였으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별 분석 현황’

‘12년도 전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1조4,091억원) 중 46%(6천484억원)를 차지한 홍삼제품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지만 ‘11년도의 53% 점유율에 비해서는 크게 감소하였다.

※‘11년도 건강기능식품 전체 생산액 1조3,682억원, 홍삼제품 생산액 7,191억원

그 뒤를 이어 ▲비타민·무기질 11.7%(1천646억원) ▲알로에 4.9%(687억원) ▲프로바이오틱스 3.7%(518억원) ▲오메가-3지방산함유유지 3.5%(497억원) 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급격한 성장세를 나타낸 제품에서는 가르시니아캄보지아 추출물 제품이 112.56%(207→440억원)로 가장 높았고, 식이섬유 제품 44.83%(116→168억원),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27.9% (405→518억원) 순으로 조사되었다.

※가르니시아캄보지아추출물 제품 :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합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줌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 유산균 증식 및 유해균 억제·배변활동 원활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 성장세 유지’

새로운 기능성 원료를 사용한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의 지난해 생산실적은 1,807억원으로 ‘11년 1,435억원에 비해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인정형 : 고시된 품목 이외에 안전성, 기능성을 개별로 인정받은 기능성 원료로 제조한 건강기능식품(헛개나무추출물, 당귀혼합추출물 등)

※개별인정형 생산실적(%는 전년대비 증감률) : (‘08)416억원→(’09)800억원(92%)→(‘10)1,129억원(41%)→(’11)1,435억원(27%)→1,807억원(26%)

제품별로는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간 건강)이 전체 27.8%(502억원)을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당귀혼합추출물(면역기능)13.6%(245억원) ▲그린마떼추출물(체지방감소)8.1%(147억원) ▲밀크씨슬추출물(간건강) 7.5%(135억원) 등이다.

또한, 상위 5위 제품군 중 지난해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인 제품은 체지방 감소 제품으로 201.2%(78→235억원)이었으며, 갱년기 여성 건강 103.1%(64→130억원), 간 건강 41.6%(531→752억원) 등의 순이었다.

이들 제품의 급성장 요인은 젊음을 유지하고 싶은 욕구 증대와 몸매관리를 중시하는 사회적 환경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기능성별로는 간 건강 관련 제품이 전체 개별인정형 제품의 41.6% (752억원) 가량을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그 뒤를 이어 ▲면역기능 14.8%(267억원) ▲체지방감소 13%(235억원) ▲갱년기 여성건강 7.2%(130억원) 제품 순 이었다.

‘업체별 분석 현황’

(주)한국인삼공사가 지난해에도 생산액 4천744억원을 달성하여 ‘04년부터 계속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주)한국야쿠르트(697억원) ▲코스맥스바이오(주)(505억원) ▲(주)마임(505억원) ▲(주)태평양제약(411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제조·수입·판매 업체수가 87,343개소로 ‘11년 대비 4.8%증가하였으며, 업종별로는 ▲제조업 2.6% ▲수입업 5.6% ▲판매업 4.7%가 증가하였다.

식약처는 고령화 사회 가속화 등으로 인해 건강기능식품의 꾸준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과 기능성 관리 강화에 주력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개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및 의약품의 안전에 관한 사무를 맡는 정부 부처로, 1998년 보건복지부 산하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설립돼 2013년 국무총리 산하 독립 기관으로 승격했다. ‘식의약 안심이 일상이 되는 세상’이라는 비전 아래 ‘현장·과학·협력’을 핵심 가치로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fds.go.kr/

연락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영양안전정책과
043-719-225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