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대형마트·백화점·편의점 매출동향
(‘12.4月대비) 주력상품인 식품(△9.3%)의 매출 하락세 지속, 의류(△17.7%), 스포츠(△12.2%), 가전·문화(△6.8%) 등 전 부문 매출 하락
(의류·스포츠) 기온 저하로 시즌 의류 및 스포츠 상품 매출 부진, 의무휴업에 따른 특정 브랜드 퇴점 등도 매출 하락 요인으로 작용
(식품) 수입 과일의 물량부족 및 가격 상승으로 과일 매출 하락, 의무휴업 실시 등으로 ‘12월 1/4분기 이후 매출 하락세 지속
* ‘12.1Q(△0.1), 2Q(△5.5). 3Q(△3.2), 4Q(△6.1), ‘13.1Q(△9.2), ’13.4월 전년동기대비(△9.3)
(‘13.3月대비) 가전·문화(△27.1%), 가정생활(△18.9%), 잡화(△16.7%), 의류(△13.6%)등 전 상품군 판매 저조로 매출 감소(△13.9%)
전월 새학기 특수를 누렸던 문구류 및 혼수 특수를 누렸던 디지털 제품의 판매 저조로 가전문화 매출하락이 두드러지고(△27.1%), 전 품목 매출하락
(소비자구매패턴)
전년동월 대비 구매건수(△8.1%) 및 구매단가(△1.8%) 모두 감소
의무휴업 및 불경기로 구매건수는 ‘12년 4월 이후 지속 감소세, 식품류 할인 행사 및 축산물 단가 하락 등 영향으로 구매단가 하락
* 1인당 구매단가 42,394 원 (전년동월 43,189원)
백화점 주요 상품군별 동향
(‘12.4月대비) 휴일 영업일수 감소(일요일△1, 선거일△1)와 저온 현상에 따라 패션상품 등 주력제품군의 판매저조로 1.9% 매출 감소
(해외명품·가정용품) 일부 명품 행사전과 신규 명품 보강 등으로 해외명품 매출 상승(4.1%), 작년 판매가 부진했던 대형가전·가구·주방/식기·홈패션 등의 판매호조로 가정용품의 매출상승(12.1%)
(의류·잡화) 저온현상 등으로 정장(△7.9), 캐주얼(△6.7), 남성의류(△10.4) 등 의류매출 감소, 화장품 브랜드의 지속적인 역신장으로 인한 잡화 매출 감소(△3.2)
(식품) 백화점 내 조리식품(델리/식당가)위주의 매출 상승, 세일기간 중 식품 할인 쿠폰 상품의 판매호조, 와인행사 등에 따라 매출 상승(2.9%)
(‘13.3月대비) 주력상품인 패션을 포함 모든 상품군의 판매저조로 매출 11.2% 하락
추운날씨로 봄·여름 의류상품 등 시즌 상품 매출 하락, 혼수 특수를 누렸던 가전제품 등의 매출도 하락
(소비자구매패턴)
전년동월대비 구매 건수(0.4%)는 소폭증가, 구매 단가(△2.4%)는 감소
세일 기간(17日) 유입 고객 증가로 구매건수는 소폭 증가하였으나(0.4%), 행사상품의 구성 비중 증가로 구매단가는 감소(△2.4%)
* 1인당 구매단가 76,236원 (전년동월 78,333원)
편의점 주요 상품군별 동향
(‘12.3月대비) 서적·잡지 등 잡화의 판매 감소(△2.2%)를 제외하고, 생활용품(7.8%) 및 즉석 식품(15.8%), 가공 식품(9.9%), 담배 등 기타(7%)등 매출 상승
(잡화) 스마트폰의 보급률 확대에 따라 서적·잡지류 등의 판매 지속적 감소, 복권류의 판매율 감소 등으로 전년대비 2.2% 매출 감소
(생활용품) 시즌 화장품(썬크림)의 조기 출시와 남성화장품 매출 증가와 언더웨어 상품 판매 호조 등으로 매출 증가(7.8%)
(담배 등 기타) 상비 의약품의 약국외 판매로(‘12.11월~) 매출 7% 증가
(즉석·가공식품) 전년 대비 주류상품 가격상승(‘13.1월~)과 캔디 초콜릿 기호식품 판매 증가로 매출 증가(9.9%)
(소비자구매패턴) 고객유입수의 확대로 구매 건수 증가(5.9%), 구매단가도 상승 (2.3%)
전년 동월대비 점포수 증가로(13.4%) 유입고객 확대로 인한 구매건수 증가(2.9%), 소주가격 인상(‘13.1월~) 영향으로 구매단가도 상승(2.3%)
* 1인당 구매단가 3,870원 (전년동월 3,778원)
산업통상자원부 개요
상업,무역,공업 정책, 무역 및 통상, 자원과 에너지 정책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이다. 산업정책을 맡는 1차관, 무역 및 에너지를 맡는 2차관을 두고 있다. 그 아래 기획조정실, 무역투자실, 산업정책실, 산업기반실, 통상교섭실, 에너지자원실이 있다. 산하에 기술표준원과 무역위원회, 경제자유구역기획단 등을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tie.go.kr/
연락처
산업통상자원부
유통물류과
김수아
02-2110-5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