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우수성, 미국 영양전문가도 인정했다

- 미국인 대상 임상실험 통해 콜레스테롤·혈당 감소 확인

수원--(뉴스와이어)--한식 섭취가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과 같은 생활습관병의 위험요인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임상실험결과가 나왔다.

이번 결과는 미국 영양전문가들과 함께 미국 현지에서 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해 나온 것이며, 특히 우리 한식이 미국에서 건강 식단으로 개발한 미국권장식만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미국 농업연구청(USDA-ARS) 벨츠빌 인체영양연구센터와 존스홉킨스대학 까발레로 교수팀과 공동으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4년 동안 ‘한식 섭취가 인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실험을 실시해 한식 섭취가 생활습관병의 주요 위험인자인 콜레스테롤과 혈당을 낮추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주요 결과를 보면 한식과 미국권장식 섭취 전후 차이가 총콜레스테롤은 각각 평균 7.0 %(15.78mg/dL)와 5.9 %(13.43mg/dL), LDL-콜레스테롤은 평균 8.4 %(12.66mg/dL)와 5.2 %(7.82mg/dL)씩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모두 한식 섭취 후 감소량이 미국일반식 섭취 후 감소량보다 약 5배 이상 많았다.

공복혈당은 한식과 미국일반식 섭취 전후 차이가 각각 평균 3.4 %(3.37mg/dL)와 2.0 %(1.96mg/dL)씩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특히 한식군의 감소량이 미국권장식군의 감소량(0.52mg/dL)보다 약 6.5배나 많았다.

이처럼 한식 섭취 후 콜레스테롤과 혈당이 미국권장식이나 일반식보다 유의적으로 더 크게 감소한 원인을 보면 한식은 에너지구성비율이 일반적인 권장비율에 아주 근접해 있으며, 충분한 나물반찬 등의 채소류 섭취가 인체 내 유익한 생리활성을 돕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김치·젓갈·장류의 발효음식과 잡곡·두류의 충분한 섭취도 실험에 긍정적인 결과를 유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밖에 나물과 같이 데쳐서 무치는 조리법은 많은 양의 채소를 적은 부피로 쉽게 섭취할 수 있고, 구이와 찜은 지방을 많이 사용하지 않고도 담백한 맛을 내어 많이 맛있게 섭취할 수 있다.

한편, 미국권장식은 미국에서 20여년 동안 장기적인 노력을 거쳐 만든 건강식단으로, 현재 미국에서 섭취하고 있는 인구는 6 %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

반면 한식은 대부분의 한국인이 섭취하는 음식이면서도 미국권장식만큼 생활습관병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다시 한 번 한식의 우수성을 구명했다고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 가공이용과 강민숙 연구사는 “이번 임상실험결과는 한식이 미국권장식에 버금가는 건강적으로 우수한 식단임을 입증하는 동시에 실험 참가자들이 한식을 매우 맛있게 즐기며 쉽게 다가갔다는 점에서 K-Food 열풍에 과학적 기반이라는 안정된 돛을 단 격이라 할 수 있다.”라며 “앞으로 한식의 세계로의 순항이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가공이용과
강민숙 연구사
031-299-048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