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전공체험·특강 프로그램 성료
이번 전공체험 프로그램은 우수한 교수진과의 전공 특강과 체험, 재학생과의 대화 등 ‘고교생 밀착형' 프로그램의 형태로 진행됐다. 학생들에게 해당 전공에 관한 자료집을 별도 제작해 제공하고, 대학에서 배우는 전공 학문의 학습 내용과 졸업 후 진로 등에 대한 실질적인 체험 기회를 주기 위해 다양한 실험 실습과 대학 생활 소개 등 흥미로운 내용으로 실시됐다.
* 바이오산업공학과 ‘바이오산업의 비젼과 필요성’
5월 30일 진행된 바이오산업공학과 전공체험은 김영봉 교수의 ‘Rapid Detection용 진단키트 만들기’ 체험으로 시작했다. 이후 배호재 교수의 ‘마이크로기술기반 하이드로젤의 조직공학적 적용’, 김민경 교수의 ‘바이오산업공학이란?’에 대한 전공 특강과 민상기 교수의 ‘이멀젼을 이용한 화장품 만들기’ 전공체험이 이어졌다.
* 생물자원공학과 ‘생물자원공학의 선두주자’
지난 22일 오전 시작한 생명자원식품공학과 전공체험은 금영수 교수의 학과소개로 시작했다. 학과소개가 끝난 후 7개조로 나눠진 학생들은 각 실험실을 돌며, 연구 이론 습득, 연구 실험 실습 등을 진행했다. 또, 학과 재학생 선배들과 전공에 대한 질의응답과 전공 지원 동기 등에 대한 대화를 나눴다.
* 사학과 전공체험 ‘역사 미래와 과거를 잇다’
23일 진행된 사학과 전공체험은 학과 커리큘럼 소개, 동아리 소개 등으로 구성된 ‘사학과 박람회’로 시작했다. 이후, 건국대 박물관을 방문해 문화재들을 살펴보고, 신병주 교수의 ‘의궤와 문화재 반환’에 대한 특강, ‘역사 골든벨’ 게임 등이 이어졌다.
* 교육공학과 ‘그 봄, 교공의 바람이 분다’
24일 김수옥 교수의 환영사로 시작한 교육공학과 전공체험은 ‘교육공학이란?’을 주제로 한 박성열 교수의 학과소개로 이어졌다. 소개가 끝난 후 유병민 교수의 ‘교육공학과 교수설계’에 대한 특강이 진행됐고, 교수학습지원센터 견학, 교육매체 시연, 매체교육·제작 등의 전공체험이 실시됐다.
* 체육교육과 ‘체육인으로 성장하기’
24일 열린 체육교육과 전공체험에서는 ‘체육교육과에서는 무얼 배우나’, ‘체육교육과 졸업 후 진로는?’ 등을 주제로 특강이 진행됐다. 이후 전공체험 참가 학생과 재학생들의 배구, 배드민턴, 축구 등의 간이 경기가 열렸으며, 이번 전공체험 참가에 대한 소감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 동물자원과학과 ‘동물자원과학과에서 답을 찾다’
24일 진행된 동물자원과학과 전공체험은 조재순 교수의 학과소개와 이홍구, 김법균 교수의 ‘21세기 생명산업을 선도하는 동물자원과학’, ‘가축의 영양과 사양’에 대한 특강으로 시작했다. 이후 동물자원과학과 실험실을 투어하며 ‘할란검사’, ‘Gram Stain 시연’, ‘세포 내 단백질 추출’ 등의 체험이 이어졌다.
* 수학과 전공체험 ‘날씨에서 금융까지’
수학과 전공체험은 24일 진행됐다. 비선형 미분방정식인 로렌츠방정식을 연속적으로 표현한 ‘Lorenz 끌개 그려보기’로 시작해 ‘역설의 극복’, ‘공리와 금융수학’ 등 수학관련 특강이 진행됐다. 이후 재학생들과 수학과에 대한 조별 ‘밀착형 질의응답’이 이어졌다.
* 화학과 전공체험 ‘화학과는 무엇을 하는 곳인가?’
24일 화학과 전공체험에서는 유기·무기·물리·분석·생화학 등 5개 화학 분야에 대한 특강이 진행됐다. 점심식사 시간을 이용해 전공체험 참가 동기, 미래 진로 등에 대한 얘기를 나눴으며, 이후 조를 나눠 화학과 실험실을 방문, 실험 실습을 하며 화학과 전공을 미리 체험했다.
* 철학과 전공체험 ‘마침표에 물음표를 던지다!’
25일 열린 철학과 전공체험은 철학과 소개에 이어 ‘동양철학’, ‘서양철학’, ‘글쓰기의 기본은 철학에서’라는 주제의 전공특강이 이어졌다. 이후 ‘대학교육! 학문인가? 취업인가?’를 주제로 철학과 교수, 재학생, 전공체험 참가학생의 토론이 진행됐다.
* 수의과대학 전공체험 ‘수의학, 요건 몰랐지?’
수의과대학 전공체험은 25일 도선희 교수의 ‘수의학, 요건 몰랐지’, 최양규 교수 ‘과학과 실험동물의 만남’을 주제로 한 전공특강으로 시작됐다. 이어 4개 조로 나눠 동물병원 견학과 실험동물 실습을 진행했다. 이후, 동물병원을 운영중인 최영민 원장이 ‘소동물 임상’에 관한 특강을 실시했다.
* 동물생명공학과 ‘BT Revolution 선도학과~’
25일 진행된 동물생명공학과 전공체험은 이훈택 교수의 ‘바이오장기와 줄기세포 연구의 현재와 미래’, 조쌍구 교수의 ‘노벨상과 동물생명공학’에 관한 특강으로 시작해 생식세포재생·생체기능제어·줄기세포발생학 실험실 등을 방문했다. 이후 4개조로 나눠 단백질 추출, 유전자 재조합, 줄기세포 계대배양, 유전자 발현양 분석 등의 실험에 참가해 동물생명공학 전공을 체험했다.
* 미디아커뮤니케이션학과 ‘커뮤니케이터로 한 발짝 다가서기’
25일 열린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전공체험은 송치만 교수의 ‘커뮤니케이션, 인간의 숙명’을 주제로한 특강으로 시작했다. 이후 조를 나눠 영상 촬영 실습, 광고 기획 실습 등의 전공체험 활동과 손석춘 교수의 ‘매스커뮤니케이션과 인간’ 특강이 이어졌다.
* 문화콘텐츠학과 ‘세상을 향해 콘텐츠를 던져라’
27일 진행된 문화콘텐츠학과 전공체험은 학과 소개와 최근 사회 분위기와 관련한 ‘창조경제 시대 문화콘텐츠란?’을 주제로한 이병민 교수의 특강으로 시작했다. 이후 창의력 훈련과 실습, 정의준 교수의 ‘창의적인 문화콘텐츠 환경 변화 및 트렌드’ 특강, 콘텐츠 기획 훈련 등이 이어졌다.
* 축산식품공학과 ‘세계적인 축산식품의 메카’
28일 열린 축산식품공학과 전공체험은 백현동 교수의 ‘식품산업의 현황 및 발전 가능성’ 특강으로 시작했다. 축산식품공학과 전공 실험실과 전공 체험이 이어졌으며, ‘미생물 발효 및 식품 위생’을 주제로 백 교수의 특강이 이어졌다. 이후 재학생들과 입시 및 전공 관련 정보 교류 등이 진행됐다.
오제중 건국대 입학사정관실장은 이번 전공체험 프로그램에 대해 “고등학생들을 초청해 관심분야에 대한 안목과 이해를 넓혀주고, 진로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이번 행사를 기획했는데 많은 학생들이 참여해 기쁘다”며 “이번 건국대 전공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 학생들이 진로와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건국대학교 개요
독립운동의 맥동 속에서 태어난 당당한 민족사학 건국대학교는 1931년 상허 유석창 선생께서 의료제민(醫療濟民)의 기치 아래 민중병원을 창립한 이래, 성(誠) 신(信) 의(義) 교시를 바탕으로 ‘교육을 통한 나라 세우기’의 한 길을 걸어왔다.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서울캠퍼스와 충북 충주시 충원대로 GLOCAL(글로컬) 캠퍼스에 22개 단과대학과 대학원, 4개 전문대학원(건축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경영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10개 특수대학원을 운영하며 교육과 연구, 봉사에 전념하고 있다. 건국대는 ‘미래를 위한 도약, 세계를 향한 비상’이란 캐치프레이즈 하에 새로운 비전인 ‘르네상스 건국 2031’을 수립, 2031년까지 세계 100대 대학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신지식 경제사회를 선도하는 글로벌 창의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nkuk.ac.kr
연락처
건국대학교
홍보실
02-450-3131~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