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학당 51개국 117개소로 확대

- 체코 등 총 20개국 27개소 세종학당 신규 지정

서울--(뉴스와이어)--한국어 및 한국문화 보급 대표기관인 ‘세종학당’이 처음으로 100개소를 넘어서 51개국 117개소로 늘어난다.(현 44개국 90개소)

<42개국 91개소 신청, 경쟁률 4대 1 육박>

이번 세종학당 신규 지정은 전 세계적인 한국어·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듯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총 42개국 91개 기관이 세종학당 신규 개설을 신청해 경쟁률이 4대 1에 육박했다.

지난 2012년과 비교해볼 때 신청 국가 수가 30개국에서 42개국으로 늘어 한국과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지역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에 새롭게 개설된 지역을 살펴보면 아시아가 13개소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은 유럽 8개소, 중동 4개소, 미주 2개소 등의 순이다.

이 중에서 세종학당이 처음 설립되는 국가는 유럽의 불가리아·체코·벨라루스·아제르바이잔·포르투갈과 중동의 이란, 아시아의 키르기스스탄 등 총 7개국이다.

<신규 세종학당, 국외 진출 한국기업 인근 및 현지 명문대 중심 지정>

새롭게 지정된 세종학당 중엔 해당 지역의 명문대들이 대거 포함돼 세종학당의 높아진 위상을 가늠케 했다.

불가리아 소피아의 소피아대, 중국 상하이의 푸단대, 체코 프라하의 찰스대, 포르투갈 리스본의 신리스본대 등은 지역 내 한국어학 및 한국학 연구를 이끌어 가는 대표 기관들로 이번에 새롭게 세종학당 운영 기관으로 지정됐다.

한편 이번에 지정된 세종학당 중에는 주변에 한국 기업이 위치한 곳이 많은 점도 특징이다.

인도 첸나이와 미국 오번은 현대·기아자동차 공장이 근처에 자리하고 있으며 베트남 타이응우옌은 삼성전자가 진출해 있는 지역이다. 외국인 근로자 송출국인 키르기스스탄의 비슈케크 세종학당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 현지 대학(국립 아라바예브대학)과 연계해 운영하게 된다.

이러한 지역에 설치된 세종학당은 한국 기업 및 한국 내 취업을 희망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한국문화를 풍부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2007년 3개국 13개소로 출발한 세종학당은 급증한 한국어 교육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말 120개소로 확대되고, 2017년까지 200개소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동안 양적 확대에 집중한 세종학당이 질적 성장도 도모할 수 있도록 교육 전문성을 보다 강화하고,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체제를 현재 구축하고 있다.

또한 현지 세종학당의 예산, 교재, 교육 프로그램, 교원 전문성 강화 등을 통해 세종학당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알리는 교육기관으로 제 역량을 발휘하고 한국어 공동체 확대 및 한류 확산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개요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 예술, 체육, 관광, 종교, 미디어, 국정홍보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부처이다. 2008년 문화관광부와 국정홍보처, 정보통신부의 디지털콘텐츠 기능을 통합해 문화체육관광부로 개편했다. 1차관이 기획조정실, 종무실, 문화콘텐츠산업실, 문화정책국, 예술국, 관광국,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을 관할하며, 2차관이 국민소통실, 체육국, 미디어정책국, 아시아문화중심추진단을 맡고 있다. 소속기관으로 문화재청,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예술종합학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국어원, 국립중앙도서관, 국립극장, 국립현대미술관, 국립국악원,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영상자료원, 해외문화홍보원, 한국정책방송(KTV) 등을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cst.go.kr

연락처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정책과
박혜진
02-3704-9432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