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출판 행복에너지, 노재욱 박사 ‘부모를 위한 인문학’ 출간

- 아이는 부모의 삶과 인격을 그대로 비추는 ‘거울’이다!”

- 대한민국 교육계의 산 증인이자 최고의 전문가가 전하는

- 자녀를 훌륭히 키우고 싶은 ‘부모를 위한 인문학’

서울--(뉴스와이어)--21세기 대한민국에서 성장하는 아이들은 과연 행복한가. 사회면 사건·사고란을 장식하는 뉴스 중 우리 아이들에 관한 이야기가 하루도 빠지지 않는다. 선생님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아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아이, 각종 범죄에 물들어 가는 아이…. 우리 아이들을 티 없이, 올바르게 대한민국 미래의 주역으로 길러낼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

이 땅에서 50년 이상 교육자로 살아왔다면 대한민국 교육 역사의 산 증인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인성교육학회 이사장인 노재욱 박사 역시 대한민국 근현대 교육사를 몸소 체험하고 지켜봐온 교육전문가이다. 도서출판 행복에너지(대표 권선복)에서 발행한 노재욱 박사의 ‘부모를 위한 인문학’은 동서양의 모든 종교와 인문학을 두루 섭렵한 저자의 50년 교육 인생과 연구, 강연 활동의 집대성이다. 교육과 관련된 각종 인문학의 핵심 사항을 모아 우리 사회의 실정에 맞춰 어떻게 하면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차분한 어법과 쉬운 해설로 제시하고 있다.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여타 학문에 비해 인문학은 홀대를 받아왔고 결국 이 시대의 많은 부모들이 아이를 제대로 키울 만한 인격을 갖추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교육환경의 인프라, 시스템이 아무리 잘 구축되었다 한들 가정에서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한다면 아이가 사회의 어엿한 구성원으로 자라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저자는 자녀는 부모의 거울임을 명시하면서, 자녀를 훌륭히 키워내기 위해서는 부모 먼저 변화하고 스스로 인격자가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대한민국 교육환경의 위기는 결국 가정의 위기, 성숙하지 못한 부모로부터 기인하는 위기임을 설명하며 인문학적 수양을 통한 부모의 ‘성장’을 해결책으로 내놓는다.

책의 주된 내용을 살펴보면 고전 인문학과 관련된 격언이나 일화는 물론 현대의 심리학, 정신분석학, 교육학 등의 연구·사례 등을 곳곳에 배치함으로써 독자에게 신뢰감을 구한다. 또한 가정에서 아버지의 역할, 어머니의 역할이 무엇이고 자녀를 키울 때 부모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를 명쾌히 적시하여 철학적 사유에 그치지 않는, 실증적·실용적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학교, 사회의 교육환경에 대한 조언과 앞으로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여 이 책의 독자가 부모만이 아닌, 대한민국에서 교육과 관련된 모든 이가 읽어야 할 필독서임을 알리고 있다.

우리 삶에 있어 배움은 끝이 없다. 더욱이 지금 부모라면, 부모가 되기 위해 준비 중이라면 일생에 있어 그 어느 때보다 많은 공부가 필요한 법이다. 멀리 내다볼 것 없이 부모 자신이 스스로의 성장과정을 곰곰이 생각해 보면 알 것이다. 부모의 역할이 자녀의 성장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자녀 교육에 대한 고민을 말끔히 씻어줄 한 권의 철학서이자 실용서 ‘부모를 위한 인문학’은 진정한 부모로 거듭나려는 ‘어른 학생’을 위한 교과서가 되어 줄 것이다.

저자 소현素玄 노재욱盧在昱

경남 창녕에서 태어난 노재욱 박사는 한말 성리학자인 방려(芳旅) 노수오(盧秀五:1838~1908) 선생의 손자로서 약관의 나이로 초등학교 교사로 교단에 선 이후 40년을 교육과 저술활동에 일생을 바친 우리 시대의 진정한 교육자다.

미국 웨스트포트 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객원교수로 활동했다. 강단에서 물러난 뒤에는 경기교육신보 편집국장 및 주필, 육군정보학교 전임강사, 한국방송연구소 상임고문 등을 역임하였으며, 사단법인 예지원의 연구위원으로 동양학 고전 강의를 하기도 했다. 현재 한국인성교육학회 이사장, 서울보건신학연구원 석좌교수 등을 맡아 올바른 인성교육의 전파를 위해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서로는 ‘노자강의’ ‘종교윤리’ ‘道(성서와 함께 읽는 노자)’ ‘완역 한비자’ ‘장자’ ‘구성기학’ 등이 있으며, 각종 매체에 교육 관련 논문 및 칼럼을 다수 발표했다.

목차

prologue 세상의 지각 있는 부모들에게·4

1장 변화하는 부모가 되라

1. 변화에 대처하는 부모의 자세

변화를 읽어라·14
시대를 읽어라·19
상황법칙에 민감한 인격자로 키워라·25
자녀의 미래, 지금부터 준비하라·28

2. 천천히 변화를 배워라

자녀를 일찍부터 고민하게 하지 마라·33
부모의 과잉보호가 무기력한 아이를 만든다·35
변화하는 환경에서 새로운 인간관계를 맺어라·39
지식과 학식이 아닌 슬기로 가르쳐라·44
서두르는 부모가 아이를 그르친다·49

2장 세상의 부모가 되라

1. 세상의 자식으로 키워라

내 자식이 곧 세상의 자식이다·56
사람의 정은 접촉에서 생긴다·60
자녀에게 이타행(利他行)을 가르쳐라·65
이기심이 아닌 자존심을 높여라·71

2. 믿음으로 키워라

자신의 참다운 본래 모습을 알게 하라·78
무조건 믿을 수 있는 자녀로 키워라·82
훌륭한 아이는 믿음과 사랑이 기른다·84

3. 자식은 부모의 거울이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89
버릇없는 부모 아래 버릇없는 아이·96
자녀를 풀어놓고 키워라·103
세상을 바라보는 눈을 열어라·106

3장 진정한 교육은 삼위일체(사회, 학교, 가정)

1. 사회가 인성교육을 강조할 때다

자녀교육은 삼위일체(가정, 학교, 사회)로 이뤄진다·116
인성교육을 할 어른들의 각오(覺悟)·123
아이들에게 예절교육부터·127

2. 학교공부가 전부는 아니다

학력과 인격교육을 함께 연마하자·131
학교는 죽어가고 학원은 왜 잘되는가?·134
한걸음 물러서면 길은 넓어진다·137
나는 누구인가를 알아야 참 사람이다·140
글공부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143

3. 가정에서 시작되는 교육

가정이 책임질 자녀의 인격교육(人格敎育)·148
자식농사에 가장 좋은 거름은 사랑이다·152
자녀의 인성교육은 성공체험에서부터·158
식사시간에는 텔레비전을 꺼라·161
자녀에게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워라·163

4장 가정교육으로 사회를 바꿔라

1. 부부가 만드는 가정

부부의 화합으로 시작되는 자녀교육·172
따뜻한 가정 만들기·175
아버지의 위엄, 어머니의 자상함·180
가정폭력은 인성교육의 해악이다·186
가풍은 자녀의 성격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189

2. 가정교육의 중심은 부모의 역할

아들은 남성답게, 딸은 여성답게 길러라·196
아버지의 심상을 심어라·200
아들을 대하는 부모의 자세·205
아버지, 가정의 굳건한 주연배우가 되라·207
아버지가 화를 자주 낸다면?·213
칭찬과 꾸중에도 때가 있다·215

5장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팁

1. 부모의 자격

자녀의 존재 자체가 효도다·226
자녀의 마음을 꿰뚫어볼 줄 알아야 좋은 엄마·229
인성교육은 언제까지 하나?·232
이 시대의 인성교육은 어떻게 할 것인가?·234

2. 부모에게 당부하는 말

아이들의 마음에 상처를 입히지 말자·238
엄마들이여 치마를 벗어라!·240
아이는 스트레스에 약하다·245
어린이집에 보낼 4살짜리 아이를 가진 엄마에게·247
유년기 자녀 키우는 키워드·249
아이들의 메시지를 빨리 인식하라·251
부모가 아이의 버릇을 만든다·253
자녀와의 대화기법(세대차이 극복)·256
수험생 학부모에게·258
더러운 물로 때를 씻어라·260
자녀를 인정하는 부모가 대화를 이끈다·262

미리보기

잘 가꾸어진 밭에서 자라는 어린 떡잎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이미 기름진 토양에서 비바람을 고르게 받아가며 흠잡을 것 없는 환경에서 자라고 있기 때문이다. 떡잎을 잘 가꾸어야 커서 재목이 되는 것은 사람도 마찬가지다. 나무랄 데 없는 좋은 가정환경에서 유아기를 거친 아이들은 후에 어른이 되어서도 그 성품이나 소질이 남보다 뛰어나다.

결국 ‘어릴 때 가정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할 것인가?’가 중요하다는 뜻이다. 한 세대 전(약 30년 전)만 해도 어른들은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지 주로 바탕교육인 인성교육만 시켰다. 후천적인 교육의 초기단계인 생후부터 6살 유아기 때까지 가장 가까운 환경인 어른들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교육을 받았다. 그러나 오늘날 모든 것이 진화되어 사회가 전반적으로 달라졌다. 아이들의 교육 또한 근본적으로 달라질 수밖에 없다. 정직하고, 성실하고, 부지런하기만 하면 누구나 살 수 있는 그러한 시대는 지나간 것이다.16~17쪽

옛날 고전에서는 ‘못된 사람과 함께 어울리면 나도 함께 못된 사람이 되며, 먹을 가까이 하면 검게 되고, 붉은 주사를 가까이 하면 또한 붉은 물이 들게 된다’고 했다. 인간성을 보존하고 도덕성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세상의 모든 환경을 이에 맞추어 나가야 한다는 뜻이다.

곧고 길게 자라는 삼밭의 잡초는 누가 도와주지 않아도 그 본성대로 옆으로 퍼지면서 자라지 않고, 삼을 따라 위로 곧게 자란다. 사람의 양육도 마찬가지다. 앞에서 여러 번 이야기했듯이 창조주로부터 부여받은 본래의 성품 즉 인간성은 사단이다. 이 사단에서 출발한 칠정이 도덕성을 형성한다. 이 칠정이야말로 상대적이기 때문에 환경이다. 희喜의 상대가 있어야 기쁜 마음이 일어나고, 애哀의 상대가 있어야 애처롭고 가련한 생각이 일어나며, 사랑할 상대가 있을 때에 애정愛이 생긴다.

아이들에게 사람다운 인간이 되라고 윽박지르기에 앞서 아버지가 먼저 사람다운 사람 노릇을 해야 한다. 아버지는 한 가정의 가장으로 자리했을 때만 아버지가 아니다. 가정의 핵은 사회에서도 이 나라에서도 중심이고 아버지라는 사실을 잊지 마라. 51쪽

도리는 사람의 기본 바탕으로서 누구나 갖추고 있어야 하며, 모든 것을 이에 뿌리를 두어야 한다. 중국의 성현 가운데 한 사람인 맹자는 사람의 본성은 본래 착했다고 하여 ‘성선설性善說’을 주장했다. 즉 사람이 이 세상에 처음 태어날 때는 선악의 구별도 없이 순수하여 분별없는 것이 바로 그것이었다.

‘구약 성서’ ‘창세기’ 2장에는 “이 동산에 있는 나무 열매는 무엇이든지 마음대로 따먹어라. 그러나 선과 악을 알게 하는 나무열매만은 따먹지 마라. 그것을 따먹는 날, 너는 반드시 죽는다.”고했다. 즉, 시비를 알게 되는 날 사람의 본성은 죽는다는 뜻이다. 이처럼 바탕을 그대로 간직하기란 지극히 어려워서 최소한 가르치고 기르는 바탕만이라도 그 성에 뿌리를 박아 놓자는 것이다.

그럼 선인들의 교육을 들여다보자. 인류사회에 공헌하기 위하여 우리의 선인들이 개발한 모든 학문이나 행적을 보면 사랑(인=仁)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 것이 없다. 인간을 대량으로 살상하는 무기만 봐도 그 기저에는 선량한 인간을 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단서가 깔렸다. 또한 당장 먹고 죽는 독약도 애초에는 사람을 질병으로부터 구제하기 위하여 약초를 연구하다가 발견하게 된 것이다. 농산물 공해만 해도 먹을 것이 모자라 식량을 증산하기 위해 개발한 각종 비료나 농약이 공해로 규탄받게 된 것처럼 말이다.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마음 쓰기에 따라 화합이 되거나 대결 상태가 되어 싸우게 되기도 한다. 아무리 첨단 과학이라도 그것을 조작하는 사람의 마음가짐에 따라 결과는 선과 악이란 극단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인간이 행하는 모든 일은 사랑과 의로움과 질서와 옳고 그름이 바탕을 이룰 때 비로소 인간다운 일이 된다. 85~86쪽

옛날 중국의 성군인 우禹라는 임금이 있었다. 그는 치산치수治山治水를 위해 9년 동안 나라 일에 몸 바쳤다. 물을 다스리는 9년 동안 집안일을 돌보지 않고 오직 치수공사에만 전념했다. 공사하는 중간에라도 집에 들러 가족을 보면 좋으련만, 가족을 보면 정에 이끌려 큰일을 그르칠까 봐 이를 악물고 집에 가지 않았다고 한다.

아버지는 한 가정의 중심이며, 한 사회에 있어서도 핵심을 이루고 있다. 때문에 아버지는 사회생활에서 끊임없이 의리와 인정의 얽매임에 당면하게 된다. 인간생활에는 계약주의나 합리주의적인 제도권 안에서만은 살 수 없는 여러 가지 요소가 많다. 그러나 위의 일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아버지는 자기 자신을 이기는 용기가 있다. 아버지의 용기와 자각은 이타심利他心 없이는 불가능하다. 때문에 아버지는 개인을 버린다. 한 가정의 가족이면서 가족이 아닌 것이다. 가족을 대표하여 가정보다 더 크고 넓은 사회의 핵심을 구성하는 것이 아버지라는 존재다. 이처럼 깊고 넓은 자기 인식 없이는 가정의 바탕이 될 수 없다.

일단 자신의 가정보다도 사회를 건전하게 살려야 그 사회 속에서 행복한 가정이 살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진 아버지가 되어라. 그렇다고 자녀들에게 집을 가볍게 알고 무시하는 아버지의 이미지를 남기면 안 된다. 집에 충실하면서 집보다 더 넓고, 인간이 많이 살아가는 사회를 위하여 일한다는 정신을 남겨야 한다. 아버지를 자주 볼 수 없는 아이에게 올바른 아버지의 심상을 심어주라는 것이다. 그래야 여성화되어 가는 자식들을 굳세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사람다운 사람으로 기를 수 있다. 204~205쪽

부모와 자녀 사이에서 흔히들 “세대차이가 있어 말이 통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다면 세대차이를 좁히는 방법은 무엇일까? 그 유일한 방법은 대화기법對話技法에 있다.

* 모처럼의 기회를 만들어 자녀와 대화할 때, 부모가 말하는 시간보다 자녀의 말을 들어주는 시간이 길어야 한다. 3대 7정도가 좋다.

* 대화 중에 자녀의 말을 끊거나 부정하지 말고, 무조건 ‘응! 응!’ 하고 듣고 있다가, 나중에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옳고 그름을 말해줘야 한다.

* 아이가 슬픈 이야기를 하면 “응 정말 슬펐겠구나.” 기분이 좋아 날뛰며 말하면 “얘야 듣자니 엄마도 즐겁다.”는 등 장단을 맞춰 주면 대화는 순조롭게 진행된다.

이렇게 노력하면, 평소에 말수가 적던 아이도 말문을 트게 된다. 습관화가 되면 아이는 부모에게 학교에서 있었던 일이나, 밖에서 친구들 특히 이성異性과의 사이에 일어났던 얘기까지도 털어놓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자녀들이 지껄이는 하찮은 말이라도 귀담아 들어야 한다. 설령 부모의 생각으로는 달갑지 않더라도, 그것이 올바른 내용이라면 깨끗이 인정한 뒤에 자기 생각을 덧붙여 주는 것이 좋다. 256~257쪽

추천사

이 책을 쓰신 노재욱 박사는 국제법인 세계보건복지재단 산하의 서울보건신학연구원 석좌교수로서 인성교육과 동양고전을 강의하며 20여 권의 저서를 집필한 석학이시다. 이 책은 아이부터 어른까지, 하나님의 뜻과 동떨어진 교육으로 인하여 혼란스러운 이 시대 인성교육을 바로잡는 바이블이 되기에 충분하다. 자녀를 키우는 부모는 물론, 모든 교육자나 성직자, 사회의 지도급에 있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쯤은 읽어야 할 책이다. 지적자원이 고갈된 이 사회에 우리의 후손을 큰 재목으로 길러 내는 데 공헌하길 바라는 바다. - 김종성(신학·의학 박사, 목사)

소현 노재욱 박사는 일찍이 우리나라 청소년, 예비 부부, 젊은 주부들이 세상살이에 필요한 인성교육을 오랫동안 연구하신 분으로, 한국인성교육학회를 설립한 바 있으시다. 이 책에는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 속에 변화하는 우리 아이들을 위한 교육 방법과 인성교육 지침이 소상하게 쓰여있다. 누가 읽어도 도움이 되는 교과서의 으뜸으로, 많은 부모가 이 책을 읽어 향후 세상에 빛을 발하여 인간성 회복에 기여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 성기안(교육학 박사, 오산대학교 유아보육학과 교수)

태초에 신이 사람을 지으실 때는 누구나 천재와 영재였다. 그러나 인간이 하늘의 섭리를 무시한 채 자기 욕심에 가려 함부로 자녀를 키우기 때문에 어리석은 둔재를 만들고 만다. 이 책은 부모가 어떻게 하면 그 자녀를 신의 뜻대로 천재, 영재로 키워서 인류의 행복에 기여할 수 있는가를 명확하게 밝혀놓은 책이다. 특히 인류의 발전에 이바지할 영특한 자녀를 고대하는 젊은 엄마 아빠들은 반드시 한 번쯤 읽어보길 권한다. - 권선복(도서출판 행복에너지 대표이사)

도서출판 행복에너지 개요
도서출판 행복에너지는 행복이 샘솟는 도서, 에너지가 넘치는 출판을 지향하는 출판 기업이다. 기쁨충만, 건강다복, 만사대길한 행복에너지를 전국 방방곡곡에 전파하는 사명감으로 임직원 모두 최선을 다하여 일하고 있다. ‘좋은 책을 만들어 드립니다’라는 슬로건으로 베스트셀러 작가나 기업가, 정치인 등 잘 알려진 이들은 물론 글을 처음 써 보는 일반인의 원고까지 꼼꼼히 검토하여 에세이집, 자기계발서, 실용서, 자서전, 회고록, 에세이, 시집, 소설 등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출간하고 있다. 도서출판 행복에너지는 서편제에 버금가는 영화 제작을 기획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대하소설 소리 책 기사 한국교육신문에 게재된 원문을 읽은 후 성원과 지도편달 부탁드린다.

웹사이트: http://happybook.or.kr

연락처

도서출판 행복에너지
권선복
070-7018-6395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도서출판 행복에너지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