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기획재정부, 신외환전산망 구축 추진

서울--(뉴스와이어)--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환거래에 대한 모니터링·분석 강화 필요성 등이 제기됨에 따라 외환정보 분석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신외환전산망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Ⅰ추진 배경

외환전산망(Foreign Exchange Information System; FEIS)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9.4월 외환거래정보를 신속·정확히 집중·활용하기 위해 가동된 이후 우리나라의 핵심 정보인프라로서 효율적으로 운영되어 왔음

동 정보는 외환당국의 경우 외환거래에 대한 모니터링·분석업무, 외환정책 수립, 외환통계작성 및 사후관리업무, 감독당국은 건전성 감독업무 그리고 국세청·관세청은 탈세 등 불법거래 색출 등 각 기관의 정책목적 수행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이를 위해 외환전산망을 운영하는 외환정보집중기관인 한국은행(국제국 외환업무부)은 이용기관 등으로부터 수시로 의견 등을 수렴하여 지속적인 유지·개선업무를 수행하여 왔음

이러한 가운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국내 외환부문의 시스템적 리스크 조기파악, 이용기관의 외환정보 수요증가 등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한 시스템의 전면 개편 필요성이 크게 증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외환부문의 시스템적 리스크를 조기에 파악하여 대응할 필요성 증대

외환정보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늘어나는 가운데 이용기관들의 외환정보 수요가 커지면서 동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

아울러 가동 이후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최신 IT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적이고 고도화된 시스템으로 새롭게 구축할 필요

급격한 대내외 여건변화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현행 외환전산망을 전면적으로 개편한 신외환전산망(FEIS Ⅱ) 구축을 추진

Ⅱ 신외환전산망 구축내용 및 기대효과

(구축목표) 선도적인 외환정보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우리나라 외환부문의 안정성 제고 등에 기여

(구축내용) 대내외 여건변화를 감안한 새로운 콘텐츠 개발, 외환정보 이용의 편의성 제고, 금융기관의 보고업무 및 시스템 관리업무의 고도화 추진 등

(기대효과) 시스템적 리스크 분석기능 강화 등을 통한 외환부문에 대한 모니터링·분석역량 제고, 이용자의 업무생산성 제고를 통한 이용기관(당행 포함)의 인력절감, 보고 및 관리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통한 보고기관의 업무부담 완화 등에 기여

1. 대내외 여건변화를 감안한 콘텐츠 개발

국내외 시장간 연계모니터링 기반을 구축하는 가운데 새로운 정보변수를 확충하고 이를 기초로 시스템적 리스크 분석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외환부문의 모니터링·분석역량을 제고

(국내외 시장간 연계모니터링 기반 구축) 국내 외환거래정보로 국한되어 있는 현행 외환전산망의 정보범위를 확충하여 국제금융시장↔외환시장↔원화시장간 연계분석이 가능한 기반을 구축

이를 위해 현행 외환전산망 정보에 IMF 등 주요 국제기구 통계, 국제금융시장 모니터링 지표 및 원화시장정보 등을 추가하여 동 정보간 상호연계 활용이 가능한 환경 구현

신외환전산망의 정보범위

(새로운 정보의 확충) 최근 금융여건 변화 등을 감안한 새로운 보고항목을 신설(예: 장외파생상품 관련보고서 등)하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축적된 외환부문 연구결과 등을 반영한 신규 정보변수(예:외화자금의 급격한 유출입 현황파악 등)를 확충

특히 정책결정 효율성 제고를 위해 활용도가 높은 핵심지표(외환부문 모니터링 100대 지표, 가칭)를 동시에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경 구현

(시스템적 리스크 분석기능 강화) 국내외 금융시장간 연계 모니터링 기반 구축 및 새로운 정보변수 등을 토대로 시스템적 리스크에 대한 분석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외환부문의 모니터링 및 분석역량 제고

금융거래에 대한 빅데이터(Big Data) 분석기법을 활용한 금융기관간 상호연계성 및 경기순응성 분석 등이 시스템적으로 가능한 환경 구현

외국인의 증권·파생상품을 연계한 거래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환경 구현 등

2. 외환정보 이용의 편의성 제고

이용자 친화적인 정보이용 및 분석정보의 상호공유가 가능한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시너지효과 창출을 통한 인력절감을 도모하고 글로벌 표준체계 도입을 통한 외환정보 이용의 국제적 정합성 제고

(이용자 친화적인 정보이용 환경 구축) 이용자(당행, 기획재정부, 국세청 등)가 신속·정확하게 정보를 검색·가공·분석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동 업무의 생산성을 높여 효율적 인력활용에 기여

분석업무에 적합한 DB 설계 등을 통해 신속하게 데이터 검색이 가능한 환경 구현

현재 성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최신 분석전문 S/W를 도입하여 이용자의 분석목적에 따라 손쉽게 분석정보를 작성할 수 있는 환경 구현 등

* 분석전문 S/W 예: 비정형적인 업무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피벗(pivot), 드릴업(drill up), 드릴다운(drill down) 기능 등을 제공하며 대표적으로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을 들 수 있음

(분석정보의 상호공유 환경 구축) 이용자의 정보분석 내용을 상호공유하여 확장·발전시킬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외환전산망 이용자간 시너지효과를 극대화

(정보의 글로벌 표준관리체계 도입 추진) FSB(Financial Stability Board)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장외파생상품 거래정보 등에 대한 글로벌 표준관리체계의 도입을 추진함으로써 외환정보 이용의 국제적 정합성 제고

* 2009년 9월 G20 지도자들은 장외파생상품시장의 투명성 개선을 통한 시스템적 리스크 완화 등을 위해 장외파생상품시장 관련 인프라 개혁 등의 책무를 FSB에 위임

* 글로벌 표준관리체계: LEI(Legal Entity Identifier, 법인식별자), UTI(Unique Transaction Identifier, 고유 거래식별자) 등

글로벌 논의 진행상황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구축 기간중 가능한 범위내에서 글로벌 표준관리체계를 구현

3. 보고 및 관리업무의 고도화

최신 IT기술을 접목하여 보고 및 관리업무를 고도화함으로써 보고기관 및 시스템의 운용관리 업무부담을 줄이고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을 도모

(보고서 작성·전송업무의 대폭적 개선) 현행 보고서 작성·전송업무 환경을 대폭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보고기관의 업무부담을 완화

각 보고서와 관련된 정보를 종합적으로 조회할 수 있는 보고서 정보포털 기능 구현

현재 보고서 작성시 PC 엑셀입력 방식에 의존하고 있는 보고기관에 대해 오류검증이 수월하고 전송도 용이한 웹(Web) 환경으로 개선 등

(데이터 관리체계 고도화) 데이터 생성시점부터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외환정보의 정도를 높이고 데이터 관리업무의 생산성을 제고

데이터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검증룰(rule) 관리체계 등을 도입

코드, DB테이블, DB항목명 등 데이터스키마*(data schema)를 체계적으로 표준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능 구현 등

* 데이터스키마 : DB에서 데이터의 구조와 형식을 구체적으로 정의한 것을 말함

(정보보안 기능 강화) 외환거래정보의 불법 외부유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최신 정보보안관련 기법 등을 추가로 적용

비인가자의 정보접근 차단을 위해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적용 및 암호화 통신기능 도입

비정상적인 정보조회가 발생할 경우 동 내역을 정보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기능 구현 등

(시스템 운영관리업무의 안정성 제고) 성능 및 가용성(availability)이 보장된 최신 H/W 및 S/W 도입함으로써 시스템 운영관리업무의 안정성 및 효율성 제고

아울러 재해복구체제를 구축하여 일정시간 이내*에 업무를 재개할 수 있는 환경 구현 등

* 거래외국환은행지정업무 : 2시간 이내, 보고서 전송 및 분석업무 : 2일 이내

4. 신외환전산망 구축 전후 시스템 비교

신외환전산망 구축 이후에는 보고기관으로부터 입수한 보고서 위주로 정보를 제공하는 현행시스템의 개선·확충은 물론 시장간 연계모니터링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적 리스크 분석과 함께 외환부문 핵심지표의 종합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대폭 개편

이를 위해 현행 시스템의 홈페이지 구성메뉴를 ‘외환보고서’, ‘기타 관리’ 메뉴 등으로 통폐합하고 ‘외환지표’ 및 ‘분석’ 메뉴를 신설할 계획

신외환전산망 구축 전후 홈페이지 메뉴 구성(안)

Ⅲ 향후 추진계획

본 구축내용에 의거 외주업체 선정(8월말 예정) 등을 거쳐 2015년 1월 가동을 목표로 본격적인 시스템 개발을 추진할 계획

현재 개발사업 부문에 대한 외주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 공고 중

* 당행 및 조달청 나라장터의 홈페이지 참조

향후 데이터품질관리체계 구축, PMO(project management office) 및 감리업체 선정, H/W 및 S/W 구입 등을 위한 입찰이 진행될 예정

웹사이트: http://www.bok.or.kr

연락처

한국은행
국제국
외환업무부
외환정보팀
안태련
02-759-5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