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치료, 여름철에 급증하는 이유

서울--(뉴스와이어)--어느 날 이가 콕콕 쑤시는 듯한 통증과 음식을 씹을 때 느껴지는 아픈 증상에 치과를 방문한 최모씨(남, 30세)는 천청벽력 같은 소식을 듣는다.

바로 충치를 장기간 방치하여 치아 내부에 있는 신경까지 세균이 침범, 신경치료를 해야 한다는 의사의 진단이었다. 단순히 충치치료만 받으면 된다고 생각했던 최모씨는 어안이 벙벙했다.

여름철이 되면 치과에는 충치치료 환자들의 방문이 늘어난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5년-2009년 치아관련 환자를 분석한 결과 고온다습한 여름철(7월-8월)에 치과를 찾는 비율이 다른 달보다 평균 8%이상 높다는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이는 무더위와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평소보다 당분이 높은 성분의 탄산음료 및 빙과류를 섭취했기 때문이다. 탄산음료와 빙과류의 산성 성분은 치아 표면을 덮어 치아를 보호하는 법랑질을 쉽게 손상시킨다. 이때 올바른 양치습관을 실행하지 않을 경우 충치로부터 위협을 받게 된다.

특히 치아는 지각신경이 없기 때문에 초기충치에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이후 충치가 더욱 진행될 경우 구취와 찬 공기나 물에 닿으면 생기는 시린 통증, 치아가 울리는 듯한 통증, 음식을 씹을 때 느껴지는 아픈 증상 등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초기충치를 방치하여 치아의 신경조직까지 침범할 때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염증이 생긴 신경을 제거하고, 치아를 보존시켜주는 대표적인 치료방법인 신경치료를 동반해야 한다.

신경치료는 치아 내부 치수(혈관과 신경)조직에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염증이 발생한 치수와 조직을 제거하고 그 빈자리에 비활성 인공재료를 채워서 더 이상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돕는다. 이전에 말기 충치로 빼야 했던 많은 수의 치아를 살려내는 치료법이다.

신경치료의 과정은 마취 후 염증이 발생한 치아에 구멍을 뚫고 신경 조직을 진정 시켜줄 약제를 투여한다. 이후 구멍을 통해 신경과 혈관을 제거하고 신경관이 있던 공간을 깨끗하게 소독시켜준다.

염증이 개선된 치아의 빈 공간에 치과 충전물인 레진 등을 이용해 채워준다. 이때 꼼꼼하게 충전물을 채워주어야 하며 빈 공간이 남아 있을 경우 조직액이 고여 신경치료를 다시 해야 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

신경치료가 끝난 치아는 크라운을 씌워서 마무리 한다. 크라운을 씌우는 이유는 신경치료 부위를 밀봉하여 염증이 다시 유발하는 것을 막고, 약해진 치아가 부러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의미가 있다. 신경치료를 마치고 크라운 보철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반드시 치아가 다시 아프거나 부러지게 된다.

네모치과병원 명동점 박성연 원장은 “신경 치료는 치과분야에서도 어려운 시술에 속한다. 사람마다 치아 뿌리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이라며 “염증의 제거나 인공물의 충전이 쉬운 모양도 있지만, 치아 뿌리가 휘어진 경우, 여러 가닥인 경우, 갈라진 경우 등의 다양한 형태에서 염증제거와 인공물의 충전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 원장은 “신경치료는 충치치료의 연장선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에 속한다. 또한 치료에 실패하거나 재발 확률이 높은 치료이다”라며 “따라서 신경치료를 담당하는 보존과 전공의가 있는 치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네모치과병원 개요
네모치과병원은 '반듯함'이라는 진료철학이 곧 네모라는 네이밍이 되고, CI 가 되고 진료 서비스가 되었다. 이를 지켜나가기는 쉽지 않으며 특히나 격변하는 의료시장 속에서 이를 지키며 사업화 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실감하고 있다. 하지만 이 Vision을 토대로 모든 의료진과 서비스인들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나아가 전국구 네트워크 병원으로서 '더 좋은 치과서비스를 더 많은 환자들에게~"라는 슬로건을 실현하기 위하여 경영과 의료, 서비스와 디자인 등을 접목시켜 나아가고 있다.
연락처

네모치과병원
홍보팀
이은정
02-538-9659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