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볼타, ARM 프로세서에서 검증된 트랜지스터 기술의 속도증가 및 전력전압 감소에 관한 장점 발표
- 혁신적인 수볼타의 초저전력 기술이 ARM 社가 Internet of Things의 선두 주자로 확실히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
이 ARM Cortex-M 계열의 프로세서는 수볼타의 DDC(Deeply Depleted Channel™) 기술을 65nm 벌크 평면 CMOS DDC 공정에 적용해 제조한 결과이다. 이 수볼타 트랜지스터 기술은 설계에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설계자 들에게 현저한 전력소모 감소 또는 극적인 성능개선을 가능하게 해준다.
ARM의 프로세서 디비젼에서 전략 마케팅을 담당하는 노엘 허얼리 부사장은 “ARM의 전통은 저전력에 기반을 두고 있다. 따라서 ARM 과 ARM의 파트너들은 수볼타의 DDC 기술과 같이 전력소모를 더욱 개선시켜 주는 기술을 항상 환영한다”며 “수볼타는 DDC 기술을 ARM 프로세서에 적용했을 때 추가적인 전력감소 혹은 상당한 성능상승의 효과를 가져다 준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Internet of Things가 지속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센서나 다른 소자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초저전력 기술은 ARM이 Internet of Things의 선두 주자로 확실히 유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일반 65 나노미터 (nm) 공정을 이용해 제작한 ARM Cortex-M0 프로세서를 1.2V로 동작시킨 것을 DDC 기반의 공정을 이용해 같은 ARM Cortex-M0 프로세서를 0.9V로 동작시킨 것과 비교한 결과 다음의 장점이 있는 것을 보여 준다.
· 같은 350 MHz 동작 속도에서 50%의 전력소모 감소
· 같은 전력 소모로 35% 의 동작 속도 (성능) 증가
· 같은 전원전압 으로 동작 시켰을때 55% 의 동작 속도 증가
수볼타의 디지털 설계 시니어 디렉터인 데이비드 키드는 “이제 우리는 ARM Cortex-M0 프로세서를 SRAM 및 여러가지 아날로그 회로들과 접목시킨 복잡한 SoC(System on Chip) 에서 DDC 기술의 장점을 검증했다”고 설명하면서, “공정 코너, 온도 전체에 걸쳐 SRAM 동작 전원의 150 mV 감소, 같은 SRAM Read 전류 레벨에서 50% 적은 누설전력, 그리고 Retention 모드에서 5배 적은 누설전력 등 결과 그 자체가 말해주듯이 성능이 최적화된 CPU 코아인 것이다”고 말했다.
수볼타의 사장 겸 대표이사인 브루스 맥윌리엄스 박사는 “전력 소모를 줄이고 성능을 증대 시키는 것은 다양한 고성능 디지털 제품의 차세대 기능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며, “ARM프로세서를 포함한 SoC 에서 DDC 기술의 속도와 전력 장점을 검증함으로써 시스템에서 우리 기술의 가치를 보여 주는데 상당히 중요한 획기적인 마일스톤을 달성했다. 우리는 업계 최고의 Fabless 반도체 회사 및 파운드리 회사들과 같이 일하면서 어드밴스드 공정 노드(advanced node)에서 우리 기술을 검증하는데 지속적인 진척을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수볼타 소개
수볼타(SuVolta, Inc.)는 저전력 고성능 IC칩 개발에 필요한 스케일이 가능한 반도체 기술을 개발하고 라이선스한다.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세계 유수의 엔지니어 및 과학자들과 함께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오랜 기술 개발의 역사와 혁신을 자랑한다. 수볼타는 대표적인 벤처 캐피털 기업인 KPCB (Kleiner Perkins Caufield & Byers), August Capital, NEA, Bright Capital, Northgate Capital 및 DAG 벤처로부터 자금을 지원받고 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suvolta.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볼타 기술 정보: http://www.suvolta.com/technology-overview/
수볼타 트위터: http://twitter.com/SuVoltaInc
웹사이트: http://www.suvolta.com/sales-inquiry
연락처
수볼타 마케팅 디렉터
Margo Westfall
+1 (408) 429 6058
이메일 보내기
호프만 에이전시
Steve Jursa
+1 (408) 975 3029
이메일 보내기
-
2013년 9월 4일 11:53
-
2013년 9월 4일 1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