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탁결제원, 최근 5개년도 12월 결산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현황 발표
1. 최근 5개년도 12월 결산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현황
최근 5개년도(’09년 ∼ ’13년) 12월 결산 상장법인이 개최한 정기주주총회의 횟수는 총 8,323회로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은 3,427회(41.2%) 개최,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은 4,896회(58.8%) 개최함
최근 5개년간 정기주주총회 개최 횟수는 ’09년도 1,657건에서 ’13년도 1,666건으로 큰 변동이 없음(9사↑, 0.5% 증가)
2. 최근 5개년도 12월 결산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지 현황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지 분석
12월 결산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지는 서울특별시(3,654사, 43.9%)와 경기도(2,126사, 25.6%)의 비중이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음
- 서울특별시 : ’09년(772사) → ’13년(681사), 91사↓, △11.8% 감소
- 경기도 : ’09년(403사) → ’13년(454사), 51사↑, 12.7% 증가
- 수도권 외 지역 : ’09년(482사) → ’13년(531사), 49사↑, 10.2% 증가
유가증권/코스닥시장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지 비교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개최지의 경우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순으로 비중이 높음
- 서울특별시 : 1,827사(53.3%), 경기도 : 646사(18.9%)
코스닥시장 상장법인 개최지의 경우도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순으로 비중이 높음
- 서울특별시 : 1,827사(37.3%), 경기도 : 1,480사(30.2%)
수도권 외 지역은 유가증권시장의 경우 경상남도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182사, 5.3%), 코스닥시장에서는 충청남도가 가장 높은 비율임(266사, 5.4%)
3. 최근 5개년도 12월 결산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 일정 분석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일 분석
가장 선호되는 정기주주총회 개최일은 3/21∼3/31로 나타남(5,664사, 68.1%)
3/11∼3/31에 개최된 주주총회는 전체 8,323건 중 7,920건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체의 95.2%를 차지함 : ’09년(1,559사) → ’13년(1,606사), 47사↑, 3% 증가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일 비교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들의 정기주주총회 선호개최일자는 3/21∼3/31(52.9%), 3/11∼3/20(40.9%) 순으로 집계되었으며 반면에 코스닥시장 상장법인들의 경우 3/21∼3/31(78.7%)의 개최일이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음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 요일 분석
상장법인들은 정기주주총회 개최 시 금요일을 가장 선호함(5,841사, 70.2%)
목요일(’09년 132사 → ’13년 207사, 75사↑, 56.8% 증가)과 금요일(’09년 1,175사 → ’13년 1,255사, 80사↑, 6.8% 증가) 개최는 증가하는 추세임
반면에 월요일(’09년 161사 → ’13년 64사, 97사↓, △60.2% 감소)과 화요일(’09년 130사 → ’13년 57사, 73사↓, △56.2% 감소) 개최는 감소하는 추세임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 요일 비교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들이 선호하는 개최요일은 금요일(80.2%), 목요일(7.5%) 순으로 금요일 집중도가 매우 높음
코스닥시장 상장법인들의 경우에도 금요일(63.2%), 목요일(11.0%) 순으로 요일이 집중되어 있지만 유가증권시장에 비해 금요일 집중도는 상대적으로 낮음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 시각 분석
상장법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총 개최 시각은 09:00로 4,148건(49.8%)을 기록하였고, 10:00 개최는 3,238사(38.9%)로 두 번째로 높은 선호도를 보임
- 09:00 개최 : ’09년 786사 → ’13년 862사, 76사↑, 9.7% 증가
- 10:00 개최 : ’09년 674사 → ’13년 612사, 62사↓, △9.2% 감소
주총이 특정시각에 집중되는 현상은 투자자들의 주총 참석을 저해하는 요인이 됨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개최 시각 비교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들의 경우 10:00 개최가 가장 많았으며(1,544사, 45.1%), 다음으로 09:00 개최(1,432사, 41.8%) 순으로 선호됨
반면, 코스닥시장 상장법인들의 경우에는 09:00 개최가 가장 많았으며(2,716사, 55.5%), 다음으로 10:00 개최(1,694사, 34.6%) 순으로 선호됨
4. 최근 5개년도 12월 결산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의안 분석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의안수 현황
대다수 상장법인은 3 ∼ 5건의 의안을 상정하는 것으로 나타남
- 의안 4건 : 3,128사(37.6%), 의안 5건 : 2,306사(27.7%), 의안 3건 : 1,813사(21.8%)
- 의안 3건 이하 : ’09년 402사 → ’13년 569사, 167사↑, 41.5% 증가
- 의안 4건 이상 : ’09년 1,255사 → ’13년 1,097사, 158사↓, △12.6% 감소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의안수 비교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의 의안수는 평균 4건으로 비슷한 분포를 보임
- 유가증권시장 : 4건(5개년 평균) / 4건(37.7%), 5건(28.9%), 3건(21.6%)
- 코스닥시장 : 4건(5개년 평균) / 4건(37.5%), 5건(26.9%), 3건(21.9%)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의안 유형별 회사 현황
정기주주총회 개최 시 큰 비율을 차지하는 의안은 5개로 구분 가능
- 재무제표 승인 : 정기주주총회는 재무제표의 승인과 이익잉여금 처분 등을 결정하는 총회로서 5개년간 의안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함(8,280건, 24.7%)
- 임원보수한도 등 : 임원의 보수는 정관에 그 금액을 정하지 않았을 경우 주총결의로 이를 정해야 하는데 주로 정기주총에서 정하는 경우가 많음.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함(7,971건, 23.8%)
- 이사 선임 : 이사 선임은 주총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정기주총 의안 중 세번째로 높은 비율을 기록함(6,563건, 19.6%)
- 정관 변경 : 정관의 변경은 주총의 특별결의 사항으로 주로 관련 법령 등의 개정이 의안수 변동에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음(5,611건, 16.8%)
- 감사(감사위원) 선임 : 주총의 보통결의 사항이지만 최대주주의 견제장치인 이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등은 3%룰의 적용을 받게 됨에 따라 섀도보팅* 행사 요청이 가장 빈번한 의안임(3,536건, 10.6%)
* 섀도보팅제도는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인해 ’15년 1월 1일부터 폐지예정임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법인 정기주주총회 의안 유형 비교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의 의안 유형 분석 결과 의안 비율은 다음과 같음
- 재무제표 승인 : 유가증권시장 3,392건(24.8%) / 코스닥시장 4,888건(24.7%)
- 임원보수한도 등 : 유가증권시장 3,209건(23.5%) / 코스닥시장 4,762건(24.1%)
- 이사 선임 : 유가증권시장 2,844건(20.8%) / 코스닥시장 3,719건(18.8%)
- 정관 변경 : 유가증권시장 2,151건(15.7%) / 코스닥시장 3,460건(17.5%)
- 감사(감사위원) 선임 : 유가증권시장 1,638건(12.0%) / 코스닥시장 1,898건(9.6%)
다섯가지 주요의안 외에도 임원퇴직금 등에 관한 사항(유가증권 : 1.5%, 코스닥 : 1.9%) 의안도 정기주총에서 꾸준히 상정되는 것으로 집계됨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한 의안의 경우 코스닥시장이 유가증권시장에 비하여 그 수가 약 4배 정도 많았으며 비율도 높음(코스닥 : 488건, 2.4% / 유가증권 : 125건, 0.9%)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의 주식매수선택권 활용이 유가증권시장보다 활발함
웹사이트: http://www.ksd.or.kr
연락처
한국예탁결제원
권리관리부
주식권리팀
석지웅
02-3774-3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