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콘텐츠진흥원 ‘비즈데스크’ 통한 성공사례 잇달아

서울--(뉴스와이어)--한국콘텐츠진흥원(KOCCA·원장 홍상표)이 국내 중소 콘텐츠 기업들의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하고 있는 무료 상담·컨설팅 서비스 ‘비즈데스크(Biz Desk)’가 수출 성공사례를 이어가는 등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글로벌콘텐츠센터(GCC)가 운영하고 있는 ‘비즈데스크’는 현재 변호사, 변리사 등으로 구성된 27명의 전문가들이 지재권, 조세, 해외 마케팅, 금융 등 다양한 분야별로 콘텐츠 수출 상담·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비즈데스크’는 지난 2008년 개설 이후 5년 동안 총 1,289건의 상담을 진행했으며 콘텐츠 업계에 입소문을 타고 매년 지원 건수가 증가 추세다. 특히, 최근에는 비즈데스크를 통한 수출 성공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임직원 수 5명의 소규모 애니메이션 제작사 빅펌킨은 해외계약 전문 인력이 부족했지만 비즈데스크 서비스를 통해 인도의 에덴사와 15억 원 규모의 공동제작 MOU를 성사시켰다. 계약 과정에서 비즈데스크 전문변호사의 계약서와 각종 법률부문에 대한 자문 역할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게임 개발사 블루베리엔터테인먼트도 비즈데스크의 도움으로 <토이디펜스>, 등 10여개 게임을 대만에 수출했다. 수출 과정에서 비즈데스크의 전문 변호사가 영문 계약서를 검토하고 해외관세 등 다양한 수출 상담을 제공했다 .

게임개발사 니트로젠 역시 액션게임 의 러시아 진출을 위해 비즈데스크의 현지 조세 상담을 받고 30만 달러의 수출을 진행했다. 위니케이는 K팝 스타 잡지 <위니케이스타매거진>의 해외마케팅과 투자에 대한 비즈데스크의 상담을 받고 동남아지역 수출을 준비 중이다.

보드게임 전문업체 피스크래프트의 김형렬 대표는 “자체 여력이 부족해 좋은 작품을 가지고도 수출은 엄두도 내지 못했던 상황에서 비즈데스크 서비스가 큰 도움이 되었다”며 “현재 개발 중인 서비스도 비즈데스크의 도움을 받아 수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 홍상표 원장은 “우리 중소 콘텐츠 업체들이 글로벌 강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비즈데스크를 통한 수출 지원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데스크 수출 상담·컨설팅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한국콘텐츠진흥원 홈페이지 해외수출메뉴의 상담게시판에 문의사항을 올리거나, 콘텐츠종합지원센터(1566-1114)로 신청하면 된다. 이메일(gccinfo@kocca.kr)을 통한 접수도 가능하다.

한국콘텐츠진흥원 개요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콘텐츠 전 분야를 아우르는 총괄 진흥기관으로 콘텐츠 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체제를 구축하여 세계5대 콘텐츠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하고 있으며, 모바일콘텐츠2009 컨퍼런스&어워드를 진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cca.kr

연락처

한국콘텐츠진흥원
콘텐츠종합지원센터
02-3153-1255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한국콘텐츠진흥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뉴스와이어는 편집 가이드라인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