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LBS, 8월부터 총 460억 원 투자 개시
한국위치정보(대표 곽치영 http://www.lbskr.com)는 내년 7월 위치기반서비스 상용화를 위해 8월부터 내년 6월말까지 총 190억 원 규모를 투입, LBS인프라 1단계 투자에 본격 착수한다고 8일 밝혔다.
한국위치정보는 이달부터 내년 서비스 개시 직전까지 지상파 기지국장비, 중앙통제시스템 장비 분야, 단말기 등 상용서비스에 필요한 3대 핵심 인프라 투자에 총 190억 원을 투자한다는 방침 아래 조만간 장비업체 선정작업에 나설 방침이다.
한국위치정보는 1단계 인프라 투자에 이어 2006년 말까지 2단계로 총 120억원, 2007년 6월 말까지 3단계로 총 150억원을 추가 투자, 2007년까지 3단계에 걸쳐 총 460억 원 규모의 LBS인프라 투자를 단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사측은 이번 투자를 통해 내년 2월까지 수도권 지상파 위치정보망 구축을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부터 정확한 위치기반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선보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대형 통신회사를 비롯, 대기업들의 투자가 대부분 동결된 상황에 국내 단독 지상파 위치정보사업자인 한국위치정보가 대규모 투자계획을 확정, 8월부터 단계별 투자에 착수함에 따라 총 460억 원 규모에 이르는 LBS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수주를 위한 국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산업계의 수주전이 뜨겁게 달아오를 전망이다.
한국위치정보는 이스라엘 TW(Telematics Wireless)사와 540만 달러 규모의 수도권 지상파 기지국 장비공급 및 공동개발계약을 체결, 본격적인 지상파 기지국 장비발주 및 시스템구축작업에 착수했으며, 이달 중 기지국 설치를 위한 국내 시설공사 업체를 선정해 수도권 지역의 지상파 기지국 장비설치 작업을 내년 2월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회사측은 또한 이달 중으로 지난 5월 TW사와 공동개발에 성공한 지상파 위치추적용 전용단말기의 내수 생산업체 선정작업을 마무리하고, 1차 10만대 규모의 단말기 생산에 나설 예정이다.
한국위치정보는 이와 함께 8월 중으로 국내 주요 솔루션 업체들을 대상으로 입찰제안요청서(RFP)신청을 받아, 공개 경쟁을 통해 중앙통제시스템 구축업체 및 시스템 개발 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앙통제시스템은 기지국과 단말기에서 송수신한 위치추적용 신호를 분석해 정확한 위치정보를 계산하고 이 정보를 고객에게 원하는 방식으로 전달하는 핵심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국위치정보는 이번 투자를 통해 올 연말까지 1차 인프라 구축이 완료되면, 내년 7월로 예정된 상용서비스에 앞서 내년 4월부터 약 3개월간 시범서비스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곽치영 한국위치정보 회장은 “이번 투자를 통해 지상파 위치추적서비스의 핵심적인 인프라는 모두 갖추게 된다”라며, “투자가 완료되는 내년 상반기면 국내 최초의 지상파를 이용한 위치추적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최초로 도입되는 지상파 위치추적서비스 인프라 구축이 순조롭게 진행됨에 따라, 내년부터는 유아 대상의 미아 및 유괴 방지, 치매노인 보호 및 차량용 원격제어, 도난 방지 등 다양한 안전보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한편, 한국위치정보는 지난 5월 전용 단말기 개발에 성공한 바 있으며, 치매노인 보호를 위한 ‘치매노인도우미’ 및 차량도난방지를 위한 ‘차량 전용 원격제어 위치추적’ 등 위치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안전 기능을 개발하는 등 차세대 사회안전망서비스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국위치정보 개요
한국위치정보㈜는 하이리빙, 데이콤 등 10개 업체가 주주사로 참여한 국내 유일의 위치정보서비스 기간통신사업자다.한국위치정보㈜는 2005년 4월 정보통신부로부터 이동국 송신(상향)용으로 377~380㎒의 3㎒폭 및 기지국송신(하향)용으로 322~326.8㎒ 대역 중 25㎑ 8채널(총 200㎑)을 지상파 LBS용 주파수로 할당 받았으며, 내년 상반기부터 대인, 차량, 자산, 그룹 등 총 4개 분야에 상용서비스를 시작한다.
웹사이트: http://www.lbskr.com
연락처
한국위치정보 문제범 팀장 02) 2022-9220 019-472-7448 이메일 보내기
홍보대행사 GCM 안완교 대리 02) 2237-2373 019-647-1405 이메일 보내기
-
2007년 6월 1일 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