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현장직무연수, 교사 실무능력 배양에 최고”

- 한국기술교육대 능력개발교육원 ‘특성화고/마이스터고 교원 현장직무연수’

- 올해 450명 교원 대상 단기(2주) 및 장기(3, 6개월) 과정 등 진행 이우영 원장 “종합실무능력 갖춰, 학교 실무인재 양성 핵심역할”

천안--(뉴스와이어)--서울공업고등학교(특성화고교) 금형설계과 윤영신(31) 교사는 지난 7월 29일부터 천안시 부대동에 있는 한국기술교육대 능력개발교육원에서 ‘기계설계 및 가공실무과정’이라는 3개월간의 장기현장직무연수에 푹 빠져 있다. 기계금속을 전공한 그는 사범대학 졸업 후 교사 생활을 한 지 4년 6개월. 하지만 산업현장 경험이 없다보니 교사로서 답답한 점이 많았다.

윤영신 교사는 “특성화고는 학생들이 고교 졸업 후 산업현장에 취직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교사들이 실제 산업현장 근무 경험이 부족하다보니 학생에게 교과서 중심의 이론 수업에서 매년 같은 내용을 되풀이하게 됨에 따라 실습 교육이 미흡했던 게 사실이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능력개발교육원에서 진행하는 체계적인 장기실습 교육이 큰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감을 갖고 있으며 “ ▲이론수업 5% 와 능력개발교육원에서 보유한 실제 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장비를 이용한 ▲실습교육 75% , 게다가 자동차부품, 금형가공 등 관련 기업에 가서 직접 생산과정을 관찰하고 참여해 보는 ▲기업현장연수 20% 의 비중으로 3개월간 교육을 받게 된다. 10월 말에 학교로 돌아가면 학생들에게 실무지식 뿐 아니라 교수·학습 방법을 배양해 많은 것을 전수해주는 역량 있는 선생님이 될 것 같다”고 강조했다.

합덕제철고등학교(마이스터고) 송치남(55세) 교사 역시 7월 29일부터 능력개발교육원에서 3개월간 ‘(PLC)삼성관계자 재직자 대상 교육프로그램 활용 현장직무연수’ 과정에 참여중이다. 이 과정은 삼성 계열사 엔지니어들의 현장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필수 고급 교육과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반도체 장비 및 공장자동화 분야에서 PC를 대체하여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며, LS산전, 미쯔비시, 지멘스등의 브랜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음

송치남 교사는 “이미 20년 전에 학교에는 PLC 설비가 들어오고 전자기계과가 생겼다. 내 전공은 ‘기계’이고 다른 교사들도 유사 분야 전공교사는 있었지만 ‘전자기계’ 전공자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송 교사는 나름대로 ‘독학’을 통해 PLC 및 전자기계에 관한 학습을 통해 학생들을 가르쳐 왔지만, 항상 부족함을 느껴왔다. 그래서 2011년에 능력교육개발원에서 ‘PLC 응용 자동제어 과정’ 온라인 교육도 들어봤고, 지난해에도 10일간 진행되는 관련 오프라인 교육을 나름대로 열심히 들으면서 ‘전공 충전’에 노력했다.

그는 “이번 3개월 과정은 기초에서부터 심화적인 실습학습까지 매우 체계적으로 짜여 있어 정말로 많은 것을 배워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며 “시대가 바뀌고 기술력이 급속히 변화함에 따라 교사들도 새롭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을 배양하는 게 필요한데, 능력개발교육원에서 이러한 부분을 해소해주어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송 교사 역시 이번 교육과정 중 이론과 실습 외에 삼성 SDI, 코닝정밀 등 기업 현장에서 연수기회를 갖는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능력개발교육원(원장 이우영)은 지난 7월 29일부터 ‘특성화/마이스터고 전문교과 교원 현장직무연수’의 일환으로 장기(3개월 및 6개월) 현장직무연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3개월 과정에는 22명의 교사가 기계, 전기전자, 메카트로닉스(기계설계 및 가공 실무,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 PLC 과정 등) 교육에 참여하고 있고, 6개월 과정에는 5명의 교사가 전기전자(송전, 변전, 배전 시스템 설계 운영 및 관리 등) 분야 교육에 참여 중에 있다. 모두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서 필수적인 전공 과정이다.

이와 더불어 7~8월 사이에는 현재 ‘단기(2주) 현장직무연수과정’에 역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 196명이 23개 과정의 기계, 전기전자, 메카트로닉스, 멀티미디어 등에 관한 ▲이론 및 기술, ▲현장연수 등을 교육을 받고 있다. 단기 및 중기(1개월) 과정은 올해 겨울 방학기간에도 230여명 규모로 추가로 진행된다.

능력개발교육원이 이러한 단기 및 장기 현장직무연수과정을 운영한 배경은 2011년 12월 교육부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가 ‘열린 고용사회 구현’과 ‘교원의 현장역량강화를 통한 학생취업역량 강화’를 내용으로 한 ‘특성화고 교원 현장직무연수 지원 MOU’를 체결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2012년 2월~2013년 2월까지 현장직무연수 시범운영을 통해 한국기술교육대(단기 148명, 1개월 28명), 폴리텍대학(단기 179명, 1개월 8명), 산기대(단기 65명)가 329명의 연수생을 배출한 바 있고, 7월부터 본격적인 교육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우영 능력개발교육원장은 “이번 장단기 현장직무연수를 통해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교사들은 산업동향과 기술 트렌드 등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교에서 필요한 공학 관련 전공 과목의 종합실무능력 배양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실무인재 양성의 핵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개요
한국기술교육대학교(코리아텍)는 실사구시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1991년 정부(고용노동부)가 설립하고 운영하는 공학계열 및 HRD(인적자원개발) 분야의 특성화 대학이다. 중앙일보 전국대학평가에서 2009년부터 10년 연속 ‘교육중심대학 1위’의 평가를 받았다. 또한 중앙일보의 ‘2013 대학생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종합 1위를 차지하여 ‘학생이 가장 행복한 대학’으로 자리매김하였다. 2015년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는 ‘공학계열부문’ 평가에서 총 63개 대학 중 10위에 랭크되었다. 2017년 1월 대학알리미 기준으로 86.6%의 취업률로 전국 4년제 대학 1위를 차지했다. 2011년 11월 2일 개교 20주년을 기념해 새로운 영문브랜드 코리아텍(KOREATECH)을 선포하고 콜네임으로 사용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reatech.ac.kr

연락처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입학홍보팀
황의택
041-560-1236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