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직원 교육 프로그램 운영 미흡
이는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가 최근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남녀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직원교육 프로그램 부담정도>에 관해 조사를 실시한 결과 밝혀진 사실이다.
먼저 설문에 참여한 남녀 직장인들에게 현재 재직 중인 회사에서 실시하는 교육프로그램이 있는지 질문했다.
그 결과, 공기업(94.6%)과 대기업(92.1%), 외국계(91.3%) 기업 10곳 중 9곳은 직원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직원수 300명 미만인 중소벤처기업에서는 45.8%만이 ‘직원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고 답해 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원 역량계발에 필요한 투자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직원 교육프로그램 종류(*복수응답)로는 ‘창의력 향상 교육, 협상 능력 향상 교육 등 직무관련 교육’이 응답률 71.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영어 및 중국어 등 외국어 교육(39.9%) ▲성희롱 예방 교육(31.3%) ▲엑셀과 PPT 등 컴퓨터 활용 등 실용교육(25.0%) ▲인문 교양 및 취미 교육(요가, 고전 읽기 등_18.8%) ▲MBA등 대학원 과정 연계 교육(2.4%)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처럼 기업들이 직원들의 능력 개발을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장인 3명 중 1명에 해당하는 36.1%는 ‘형식적일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해 부정적인 의견을 내놓았다.
특히, 교육 프로그램 중, 가장 필요 없다고 느끼는 교육으로 ▲인문 교양 및 취미 교육(22.6%)과 ▲성희롱 예방 교육(20.2%) 등을 꼽았다.
한편, 바쁜 시간을 쪼개 공부해야 하는 직장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육 방식으로는 ▲외부 교육기간 또는 전문 강사를 통한 교육이 36.1%로 가장 높았고, 근소한 차이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는 스마트러닝 교육을 꼽은 응답자도 34.1% 높게 나타났다.
재직 중인 기업에서 실시하는 직원 교육프로그램이 없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가장 필요로 하는 교육의 종류로 ‘영어 및 중국어 등 외국어 교육’을 꼽은 응답자가 62.0%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 최창호 운영위원장은 “직원 교육은 당장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투자 개념이 아니다. 지속적으로 시행했을 때, 결과적으로 직원들의 직무 능력이 향상돼 기업 발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말하고 “하지만 아무리 좋은 교육프로그램이라 할지라도 바쁜 업무 중에 의무적으로 실시하면 직원들이 부담을 느낄 수 있어 최근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게 짧은 시간에 공부할 수 있는 스마트러닝 학습을 도입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고 밝혔다.
잡코리아 개요
잡코리아는 세계 최대 온라인 리쿠리트 사이트인 몬스트닷컴과 함께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업에게는 글로벌 인재 확보의 기회를, 구직자들에게는 글로벌 기업으로의 취업과 세계 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jobkorea.co.kr
연락처
잡코리아
커뮤니케이션팀
정주희 대리
02-3466-5207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