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항일독립유적’ 문화재 등록 예고
‘예천 윤우식 생가’는 남석(南石) 윤우식(尹雨植, 1906∼1934) 선생이 태어난 곳이자 항일활동을 하였던 역사적 장소이다. 윤우식 선생은 일제 강점기 항일운동 단체인 무명당(無名堂)의 지도자 중 한 사람으로 1933년 9월 예천지역 대중들의 이익을 옹호하는 투쟁을 전개하였고, 1934년 일제에 의하여 조직이 발각되어 재판 도중 사망하였다.
ㄴ자형 건물인 사랑채와 ㄱ자형 건물인 안채가 튼 □자형의 배치를 이루고 있으며, 우측에는 정면 3칸 측면 1칸 규모의 사당이 자리 잡고 있어 영남지역의 전형적인 가옥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대구 구 교남(嶠南) YMCA 회관’은 일제 강점기 3.1독립만세운동 당시 주요 지도자들의 회합의 공간이었으며, 물산장려운동(物産獎勵運動)과 기독교농촌운동, 신간회(新幹會) 운동 등 기독교민족운동의 거점공간으로서 사용된 역사적 장소이다.
1914년에 건립된 2층의 붉은 벽돌 건물로 1층과 2층 사이는 돌림띠(Cornice)로 장식하고, 창의 상부는 아치(Arch)로 인방을 만들어 사각형의 창문을 설치하는 등 1910~20년대의 조적조(組積造) 건축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교남 YMCA의 주요 임원과 회원 17인이 건국훈장 애국장 등 3.1운동과 임시정부 관련 독립유공자 훈장을 받는 등 대구 구 교남 YMCA 회관은 대구지역 근대역사의 현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문화재청은 ‘예천 윤우식 생가’ 와 ‘대구 구 교남 YMCA 회관’에 대하여 30일간의 등록 예고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 절차를 거쳐 문화재로 등록할 예정이다.
문화재청 개요
우리나라의 문화적 정체성을 지키고 대한민국 발전의 밑거름이 되어 온 문화재 체계, 시대 흐름에 맞춰 새롭게 제정된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60년간 지속된 문화재 체계가 국가유산 체계로 변화한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고정된 가치가 아닌 현재를 사는 국민의 참여로 새로운 미래가치를 만드는 ‘국가유산’.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은 국민과 함께 누리는 미래가치를 위해 기대할 수 있는 미래를 향해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 국민과 공감하고 공존하기 위해 사회적 가치를 지키며 과거와 현재, 국내와 해외의 경계를 넘어 다양성의 가치를 나눌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홍두식
042-481-48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