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성변형: 김기철 개인전’, 서울 시민청 소리갤러리에서 열려

- ‘귀기울여봐_네 번의 사운드 아트 릴레이’ 中 두 번째 전시 프로젝트

- ‘시민청’이라는 글자에 쓰인 ‘청’은 ‘들을 청聽’, 한국 근대사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시민 참여형 전시

- 민비시해사건이라는 한국 근대사의 변곡점이었던 사건을 사운드아트 작업으로 변환

뉴스 제공
코너아트스페이스
2013-08-16 13:08
서울--(뉴스와이어)--김기철 작가는 시민청에 위치한 소리갤러리에서의 개인전 <탄성변형>에서 민비시해사건에 주목한다. 조선에서 일제식민지로 넘어가는 역사의 변곡점이었던 이 사건을 계기로 한국의 근현대사는 역사의 변화 그래프의 방향을 돌린다. 민비가 살아있다면 조선이 합방되기가 쉽지 않았고, 그럼 만주까지 가는 길목이 막히니까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암살될 일도 없었을지 모른다. 한국의 현대사가 전혀 다른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었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작가는 현대사의 흐름 속에 자신의 삶을 놓고, 그 흐름의 방향이 바뀐 변곡점이 어디였는지를 유추한다.

1895년 10월 8일 새벽 서울의 경복궁에서는 한국 역사의 참극이 벌어진다. 일본군과 경찰, 낭인배 등이 경복궁에 쳐들어가 왕과 왕비가 머물고 있던 건청궁을 포위하고, 조선의 국모인 명성황후를 시해한다. 이를 계기로 한국 근대사에서 처음으로 을미사변이라 불리는 항일의병이 봉기하는 계기가 된다. 이듬해 초에는 조선의 국왕 고종이 서울의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하는 사태(俄館播遷)까지 몰고 왔다. 후일 청년 김창수(후일의 백범 김구)가 황해도 치하포에서 일본군 밀정을 살해하고 독립운동에 헌신하게 된 것도,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한 중요한 이유도 바로 이 사건에 대한 설욕에서 기인했다.

이 사건을 두고 각기 다른 기록들이 존재한다. 한국정부 고문이었던 이시즈카 에이조가 기록한 에이조 보고서, 서울 주재 영국의 월터 힐리어경의 텍스트, 일본의 입장을 대변하는 조선왕조실록, 러시아 건축가 사바틴의 수기, 최근 발견된 독일 후고 라돌린의 텍스트는 하나의 역사적 순간을 상이하게 해석한다.

러시아인 사바틴은 을미사변을 궁에서 본 유일한 외국인으로, ‘묘시까지 왕후를 찾지 못했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일본의 에이조 보고서에는 왕후를 찾아 죽였다라고 되어 있다. 최근 발견된 문서에서는 반대로, ‘러시아 주재 독일인이 러시아인에게 들은 바로는, 황후가 아직 살아 있다’고 밝힌다. 이 글에서 ‘고종은 명성황후가 살았는지 죽었는지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 시해사건이 일어난 3일 후, 고종은 죽은 명성황후를 폐위시킨다.

김기철 작가는 을미사변이라는 하나의 사건을 제 각각의 해석한 다양한 언어의 글들을 사람의 목소리로 변형시킨다. 관객은 새까만 종이 판에 연필로 선을 그을 때 마다 사람들의 목소리가 마치 가상의 옛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 울려 퍼진다.

양지윤 큐레이터는 “이미 역사 속 이야기들이 잔뜩 새겨진 새까만 종이 판 위에 자신의 글을 덧입히는 행위를 하며, 진실이 묻혀진 역사서에 한 줄 더 긋는 덧없기도 한 행위로 치환된다”고 말했다. 우리들 개인의 삶은 역사적 진실이라 믿었던 무언가의 결과물이지만, 역사적 진실이란 가공의 기록물이며, 누군가의 권력에 의해 선별되고 뒤틀어진 진실이라는 것이다.

이 작품을 중심으로 다른 한편에는 ‘마음’이라는 문구가 조명을 받고 있다. 관객이 마이크에 이야기를 하면 마음이라는 글씨는 갑자기 사라지며, 잠시 후 천천히 눕혀졌던 마음이란 글씨가 올라와서 조명에 비춰진다. 이는 사서삼경 중 대학이라는 글에 나오는 ‘심불재언’이라는 문구에서 영감 받은 것이다. ‘마음에 하고자 하는 바가 없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가 않고, 맛을 봐도 그 맛을 모른다’라는 뜻인 옛 명언은 내 마음으로 세상을 볼 수도 느낄 수도 살 수도 있다는 뜻이 된다. 역사라는 기록된 텍스트는 이를 해석하는 사람들의 마음에 따라,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마음에 따라 바뀐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10간 12지의 60가지의 변수인 서클을 수직운동으로 바꾼 기계장치 <수직적인 동그라미>가 놓인다. 서서히 올라갔다 내려갔기를 반복하며 미세한 차이의 풍경 소리가 울려 퍼진다. 반복되는 수직운동 속에 관객은 탄성변형을 이루는 변곡점들 마저 역사의 큰 흐름에 속해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김기철의 개인전 <탄성변형>은 역사를 바라보는 예술가의 관점에 관한 이야기이다. 작가는 소리갤러리가 일반 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대중적인 공간임을 고려하여, 마이크나 연필 같은 일상 속의 친숙한 인터페이스로 소리를 체험하는 즐거움을 제공한다고 이번 전시를 소개한다. 소리의 즐거움 이면에는 19세기 말 조선이 식민지 제국주의에 의해 사라지는 역사가 있다. 크든 작든 과거의 모든 사건은 역사의 거대한 흐름 속에 변곡점으로 작동하며 꺾이고 꺾여, 현재에 이른다.

글: 양지윤, 코너아트스페이스 디렉터

전시 기간: 2013. 8.16(금) - 2013. 9. 29(일)
전시 장소: 서울 시민청 소리갤러리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10 서울시청 지하 1층)
오프닝: 2013. 8.16(금) 오후 5시
기획: 양지윤 (코너아트스페이스 디렉터, 사운드아트코리아 공동 디렉터)

작가 소개

1969년 서울 출생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와 동대학원 조각과를 졸업한 후 아트 인스티튜트 오브 시애틀(Art Institute of Seattle)에서 오디오 프로덕션(Audio Production) 과정을 수료하고 캘리포니아 인스티튜트 오브 디 아츠(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에서 아트와 통합미디어(Art/Integrated Media)를 전공했다. 스스로를 ‘소리 조각가’로 소개하는 김기철 작가는 보이지 않는 소리를 시각화시키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여러 차례의 국내외 개인전과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했다. 현재 작품활동 외에도 여러 대학에서 미술과 사운드에 관해 강의하고 있으며, Doobic Game Studios에서 사운드 디렉터를 맡고 있다.

<귀기울여봐_네 번의 사운드 아트 릴레이> 전시 소개

참여작가: 부추라마, 김기철, 김준, 안정주
기획: 양지윤
장소: 서울 시민청 지하 1층 소리갤러리
전체 전시 일시: 2013.07.05 (금) - 2013.12.29 (일)

전시 세부 일정
2013. 07. 05 - 08. 11. 어플저플저저플: 부추라마 개인전
2013. 08. 16 - 09.29 탄성변형: 김기철 개인전
2013. 10. 04 - 11.17 Reflect 투영: 김준 개인전
2013. 11. 22 - 12. 29 옳은 소리: 안정주 개인전

<귀기울여봐_네 번의 사운드아트 릴레이전>에 관하여

서울은 자동차, 소리, 음악소리, 가게에서 흘러나오는 광고들, 버스에서 흘러나오는 라디오 소리로 넘쳐난다. 밤낮으로 멈추지 않는 요란한 서울의 소리들은 시민들의 일상을 뒤덮고 있다.

이번 전시는 서울을 청각적 기호로 해석하는 전시 행사이다. <귀기울여봐>전은 한국 미디어 아트신에서 활발한 전시활동을 하고 있는 네 명의 아티스트의 릴레이 개인전 시리즈이다. 아이들의 ‘데덴찌 놀이’하는 소리를 채집한 부추라마, 소리와 언어의 관계를 재해석하는 김기철, 관객의 휴대폰에서 나오는 빛을 가지고 연주하는 김준, 선거 홍보에 사용된 노래 소리를 예술 작품으로 바꾼 안정주의 전시는 존케이지가 말한대로 일상의 모든 소리가 음악이라는 개념을 받아들인다.

2000년대 중반부터 노이즈 음악과 콘서트가 주를 이루었던 국내의 사운드 아트신은 여전히 일반 관객에게는 어렵고 듣기에 힘든 개념적인 형식으로 남아있다. 이에 반해 이번 전시는 시민청이 시민을 위한 공간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우리 생활의 소리들이 예술 작품으로 변환된다. 매스미디어에서 다루는 일률화되고 상업화된 광고 소리나 아이돌 그룹의 음악소리가 아닌, 예술가 만의 관점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이다. 시각이 아닌 청각에 초점을 맞춘 이번 전시를 통해서 관객이 주변의 소리에 한번 더 귀 기울여 보기를 희망한다.

코너아트스페이스 개요
코너 아트 스페이스는 젊은 예술 공간이다. 양지윤 디렉터는 재동에 위치했던 코너갤러리를 2011-12년 동안 기획하였고, 이후 2012년 12월 압구정동으로 코너 아트 스페이스의 이름으로 재개관하였다. 코너는 상업문화가 주를 이루는 강남의 중심에서 명품들의 윈도우 디스플레이를 마주하며, 현대 예술이 갖는 사회적 가치들을 실험한다. 르페브르가 이야기한대로, 공간은 건축가나 도시계획자 또는 거주자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으며, 오히려 사회적 공간이 사람의 행동 양식을 생산한다는 관점에서 코너는 출발한다. 코너라는 마이크로 공적 공간은 동시대의 가장 첨예한 국내외 예술가들의 작품은 생산한다. 윈도우 갤러리와 화이트 큐브가 혼합된 공간인 코너에서 시민들은 길을 걷다 우연히 이를 마주한다. 코너는 현대 미술 전시가 갖는 새로운 생산과 공유의 형식을 실험한다.

웹사이트: http://www.cornerartspace.org

연락처

코너아트스페이스
이혜림 큐레이터
070-7779-8860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