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태양광 이용한 텐트 조만간 실현가능
하지만, 이제 ‘휴대용 태양광 충전장치’만 있다면 전기가 없는 곳이라도 스마트한 캠핑을 맘껏 즐길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다.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장치는 무공해 에너지인 태양광이 비치는 곳에서 언제든지 무한정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캠핑족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아직까지 무게나 부피에 대한 제약이 있어, 이동성과 휴대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실정이다.
특허청(청장 김영민)에 따르면, ‘휴대용 태양광 충전장치’에 관한 국내특허출원은 총 76건으로, 전체의 70%정도가 최근 10년간에 집중되어 있고, ‘09년 이후 적은 양이지만 꾸준히 출원되고 있으며, 태양광을 이용한 모자, 미니선풍기, 키보드, 백팩, 자전거, 휴대폰은 물론이고 태양광 텐트 또는 옷까지 그 적용대상을 넓혀가고 있다.
세부 기술분야별로 살펴보면, 모듈조립기술이 42건으로 55.3%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충전기술 33.0%, 전지소재기술 7.9%, 출력제어기술 3.9% 순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에는 소형의 태양전지 자체가 내장되어 바로 출력되는 제품이 주류였으며, 최근에는 형상의 다변화 또는 소재의 다양성으로 인해 전기를 충전하고 이를 별도로 저장할 수 있는 밧데리 부착형 전원공급장치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바, 이렇듯 다양한 모듈이 가능하게 되어 가볍고 휴대하기 간편한 모듈조립기술과 충전기술이 점차 그 출원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태양전지는 야외활동 중 충전에 제약이 있고 충격에 취약한데, 흐린 날씨나 낮은 조도에서도 충전이 가능한 플렉시블 고효율 전지소재기술이나, 일부가 파손되더라도 나머지 셀의 출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셀 설계제어기술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특허청 관계자는 “현재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2~3번 충전하는 정도가 주를 이루고 있으나, 향후에는 다양한 전기전자제품을 동시에 충전하는 것은 물론이고 통신, 조명 및 난방을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대용량 충전기술관련 출원이 증가할 것이다”라고 하면서, 야외에서도 전기 걱정 없이 불 밝히고, 요리하며, 인터넷, 음악, 영화를 마음껏 즐길 수 있는 미래형 ‘태양광 텐트’는 조만간 실현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허청 개요
특허청은 특허와 실용 신안, 디자인(의장) 및 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 심판 사무를 수행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관, 산업재산정책국, 정보기획국, 고객협력국, 상표디자인심사국, 기계금속건설심사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전기전자심사국, 정보통신심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 특허심판원과 특허청서울사무소,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po.go.kr
연락처
특허청
기계금속건설심사국
복합기술심사1팀
사무관 하정균
042-481-8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