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서울시, “대형마트 음식물류 폐자원 정책방안 모색할 터”

- 본지 주최 음식물류 폐자원 정책 방안 긴급 좌담회 개최

- 위탁처리 한계성, 폐자원 공감, 친환경 감량기 등 기업 상생 모색 공감

뉴스 제공
환경미디어
2013-09-30 14:47
서울--(뉴스와이어)--“음식물류 폐자원(쓰레기)에 대한 공공재 차원의 접근과 이를 위한 노력을 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방안, 법제화의 노력이 절실함을 체감했습니다.”

지난 26일 오후 열린 ‘음식물류 쓰레기 대형 다량 배출 자원화 유도 방안 긴급 좌담회’에 참석한 관계자들의 말이다.

이날 좌담회는 이완영 국회의원실, 환경미디어, (사)미래는우리손안에, 환경·인포럼이 주최하고 환경부, 서울특별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후원했다.

좌담회는 곽결호 환경동우회장(전 환경부장관)이 좌장을 맡았고, 장기정 이완영국회의원 비서관, 박규제 환경부 폐자원관리과 사무관, 김정선 서울시 생활환경과장, 이석길 (사)한국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협회 실장, 송무오 홈플러스 과장, 장호근 롯데마트 팀장, 도규완 이마트 팀장, 김창년 농협하나로유통 팀장, 이현주 에코스마트 대표(감량기 처리기 생산업체)가 토론자로 참여했다.

먼저 박규제 환경부 폐자원관리과 사무관은 “음식물쓰레기 자원화를 시행하고 있으나 위탁업체들이 영세해 수거와 보관에 미진한 부분이 있다. 최근 감량화기기가 빠르게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단점도 있어 고민이다”고 말했다.

김정선 서울시 생활환경과장은 “서울시에서 최근 고층 빌딩에 디스포저(분쇄기)를 이용해 처리를 하는 방법이 부각되고 있다. 대형감량기를 설치하면 악취제거, 감량화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대형감량기도 국비지원이 돼야 한다. 활성화 된다면 처리된 잔재물을 소각해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석길 음자협 실장은 “음식물처리 자원화 개념이 생기면서 많은 업체가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일부 감량기를 통해 처리된 잔재물의 경우 벤졸피렌 등 발암물질이 발생해 퇴비화 되기 어려워 매립할 수밖에 없다”면서 “감량기가 활성화 되면 그로 인해 기존에 위탁처리업체들이 흔들린다. 감량기의 장점만 너무 부각되고 단점인 초기구입비용이 비싼 문제, 전기세 등의 유지비용 발생 문제 등에 대한 충분한 고민이 없는 것 같다”고 현실적인 위기론을 꺼냈다.

그러면서 “위탁처리업체도 잘 하고 있는 곳은 장려하고 잘 못하고 있는 곳은 관리해서 키워나가면 될 것”이라고 덧붙었다.

장기정 이완영국회의원실 비서관은 이완영 의원은 재활용이 가능한 것은 재활용을 하고 효율적으로 재활용한 후 남은 것은 폐기해야 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는 전제를 깔고 “음식물을 재활용해야 한다면서 실제로는 매립이 이뤄지는 현실로 직매립을 금지하는 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면서 "음식물 재활용율이 부풀려진 면이 있다. 재활용 업체로 들어가는 것도 70% 정도 재활용 되고 음폐수 등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송무오 홈플러스 과장은 “처음 음식물처리기를 사고 행정신고에 대해 상이한 이야기를 하는 등 명쾌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결국 위탁처리업체를 통해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도 세분화해서 수거·운반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양파 껍질이나 생선 내장 등의 가공 중에 생기는 쓰레기가 음식물쓰레기 중 50~60%를 차지 한다. 이러한 쓰레기는 원산지로 돌려보내는 것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장호근 롯데마트 팀장은 “음식물처리기를 전적으로 믿고 있다가 고장이 나면 어려움이 생긴다. 그래서 위탁처리업체에 맡겨 처리하고 있다”며 다른 대형 다량 업체들과 다르지 않는 현실을 언급했다.

그는 "음식물처리기를 지능화해서 열병합발전 등 자원화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간장 그릇을 작게 만들었더니 음식물쓰레기 양이 줄었다. 이런한 방법으로 발생하는 양 자체를 줄이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도규완 이마트 팀장은 “음식물쓰레기 위생문제도 큰 문제“라며 ”음식물처리기를 도입하면 위생적인 효과는 아주 좋다. 하지만 위탁업체 선정 과정에서 경쟁이 치열해 단가를 낮추다보니 불법처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며 우회적으로 어려움을 호소했다.

또한 정부나 지자체에서 비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방법도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감량기 생산업체 대표로 나선 이현주 에코스마트(주) 대표이사는 “현재 악취 발생 해결 등 많은 기술발전이 돼 깨끗한 잔재물이 나와서 자원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면서 ”기존의 위탁업체가 관리하는 모든 곳을 대체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대형마트나 대형건물 등 다량의 음식물쓰레기 배출되는 곳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초기 설치비도 3년 정도면 충분히 회수 가능하다”고 자사의 친환경 기술력을 밝혔다.

이 날 좌담회에서 곽결호 좌장은 “당장 이 자리에서 큰 성과를 내기보다는, 미래지향적인 정부측과 지자체, 그리고 업계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상호 애로사항을 제대로 파악해 세계에서 대한민국이 음식물류 폐자원 분야에서 최고가 될 수 있도록 친환경 기술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와 대형유통마트 관계자 역시 “대형 다량 배출자의 입장에서 보면, 음식물류 쓰레기를 공공재의 개념으로 접근해 환경이란 큰 틀에서 가치있는 생산적 정책을 세우고 시행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손을 놓지 않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각계 각층의 전문가가 모인 가운데 하나의 해결책을 찾지는 못했으나 음식물쓰레기의 자원화 가능성, 위탁처리업체와 음식물처리기업체 관리의 필요성, 정부와 지자체의 명확한 제도 조치, 음식물 가공 중 생기는 생쓰레기와 음식쓰레기 구분 등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했다.

웹사이트: http://www.ecomedia.co.kr

연락처

환경미디어
서동숙
02-358-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