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벼 수확시기 및 수확 후 관리요령 제시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본격적인 벼 수확철을 맞아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벼 수확시기와 수확 후 관리요령을 제시했다.

벼 수확 적기는 육안으로 보기에 벼 알이 90 % 이상 익었을 때이며, 이삭 팬 후 조생종은 40~45일, 중생종은 45~50일, 중만생종은 50∼55일이 알맞다.

벼를 빨리 수확하면 쌀알이 덜 여물고 수확이 늦어지면 쌀겨층이 두꺼워져 금이 간 쌀이 늘어나 품질이 떨어진다.

밥맛이 좋고 품질이 우수한 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확한 벼를 적정 수분함량인 15% 내외로 건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햇볕을 이용한 자연건조는 벼 두께를 5cm 정도로 3일 정도 말리고, 열풍 순환식 건조기를 이용할 때는 45∼50℃ 정도로 맞춰 건조한다.

일반창고에 저장할 경우 온도차이가 크므로 수시로 수분을 측정해 변질을 예방해야 한다.

저온 저장 시에는 수분함량을 15% 이하, 온도는 15℃ 이하, 습도는 70% 이하로 유지하면 좋다.

준저온 저장은 수분함량을 15.5∼16.5 %, 온도는 20℃ 이하에서 사일로나 사각빈과 같은 저장시설에 냉각장치를 부착해 냉각한다.

농촌진흥청 벼육종재배과 이점호 과장은 “고품질 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확시기와 수확 후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쌀 수확 시 콤바인과 건조기 내부를 철저히 청소해 다른 품종의 볍씨가 섞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벼육종재배과
김영두
063-840-215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