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이 흰가루병 막는 미생물제 개발
오이 흰가루병은 오이의 잎이나 줄기에 흰가루가 빽빽하게 생긴 후 번져 작물 전체가 흰가루로 뒤덮이는 병으로 오래된 병무늬는 회백색, 잎은 황갈색으로 변해 말라 죽어 오이의 품질이 떨어지는 피해를 준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오이 재배 시 발생하는 고질적인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해 친환경 미생물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미생물제는 유용미생물 배양액에 유칼립투스에서 추출한 식물 유래물질을 혼합해 만들었다.
이 미생물제는 흑색썩음균핵병균 등 토양병원균을 비롯해 다양한 종류의 식물병원균 생육은 억제하고 작물 생육은 촉진시킨다.
이 미생물제를 이용한 농가 현장 실증 연구 결과, 250배 희석액에서 74.2%, 500배 희석액에서 65.8%, 1,000배 희석액에서 63.2%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특히 시제품인 500배 희석액을 흰가루병 발생 전에 뿌리면 5일 간격 4회 처리 시 97.5%, 7일 간격 3회 처리 시 90.7%, 10일 간격 2회 처리 시 79.0% 방제할 수 있었다.
흰가루병 발생 후 500배 희석액을 뿌렸을 때에도 5일 간격 4회 처리 시 94.3%, 7일 간격 3회 처리 시 81.6%, 10일 간격 2회 처리 시 50.9% 방제되는 등 탁월한 효과가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한 흰가루병 방제 친환경 미생물제를 산업체에 기술 이전해 내년부터 농가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과 이상엽 연구관은 “이번에 개발한 미생물제는 잔류농약 걱정이 없어 친환경 재배농가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안전 농산물 생산은 물론, 수입농약 대체와 해외 수출시장 개척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농업미생물과
이상엽
031-290-8480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