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개발 흑돼지 ‘난축맛돈’ 분양

수원--(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제주재래돼지를 활용해 개발한 흑돼지 ‘난축맛돈’ 종돈 37마리를 제주흑돼지생산자회(회장 오영익)에 보급해 내년 연말부터는 소비자들이 난축맛돈을 맛볼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흑돼지는 수입 종돈인 버크셔 품종을 이용해 생산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흑돼지 ‘난축맛돈’는 우리나라 토종 제주재래돼지와 난지축산시험장에서 계통을 조성한 ‘한라랜드’를 첨단 분자유전·육종학 기법을 활용, 육질형질과 검은 털색 유전자를 고정해 만든 품종이다.

제주재래돼지의 장점인 육질과 맛은 살리면서 재래돼지의 단점인 적은 산자수와 낮은 성장률 등은 ‘한라랜드’를 이용해 보완함으로써 육질과 고기 맛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기색도 돼지고기와 소고기의 중간 수준의 붉은 색을 띄고 있다.

하지만 난축맛돈의 경우 근내지방도가 평균 10.5%로 일반 돼지 3%에 비해 3배 정도 높아 전체 부위가 구이용으로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돼지고기를 구워먹는데 돼지 한 마리에서 생산되는 부위 중 구워먹을 수 있는 부위는 삼겹살, 목심, 갈비 등으로 전체 부위의 35%에 불과하다.

삼겹살과 목심, 갈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지방이 적어 돼지고기 소비확대에 한계가 있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제주흑돼지생산자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올해부터 ‘난축맛돈’ 종돈을 해마다 100마리씩 보급할 예정이다.

제주흑돼지생산자회에서는 종돈장을 운영하면서 종돈을 분양하고 회원농가들과 함께 ‘난축맛돈’ 종돈을 활용 비육돈을 생산해 제주흑돼지생산자회 보유 육가공공장과 유명판매점과의 계약에 의해 자체브랜드로 일괄 유통하는 유통체계를 갖추게 된다.

또한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 등 흑돼지 종돈 수출을 위한 해외 시장개척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난축맛돈’은 지난 3월에 특허출원과 상표등록을 완료했다.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 고문석 장장은 “제주재래돼지를 활용해 개발한 ‘난축맛돈’을 지속적으로 개량해 수입종을 대체할 수 있는 브랜드로 집중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 개요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난지축산시험장
조인철
064-754-571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