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문화서비스 산업의 특징과 발전 과제’

서울--(뉴스와이어)--현대경제연구원이 ‘문화서비스 산업의 특징과 발전 과제’라는 주제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문화의 중요성 부각

2013년 11월 박근혜 대통령의 서유럽 방문 기간 동안 문화외교가 진행 중

문화 산업이 국가 간 창조경제 협력의 잠재력이 큰 분야임을 강조

문화서비스 산업 역할이 새로운 성장 동력의 역할로 발전해야 하는 시점

문화가 국가 성장의 새로운 방법론으로 부상하면서 문화 산업 육성을 위한 노력이 요구

한국 문화서비스 산업의 위상

문화서비스 수지 흑자 달성을 통한 창조 경제의 기반 마련

문화서비스 수출액: 2003년 1.3억달러 → 2012년 12.5억달러

문화서비스 무역수지: 2003년 1.9억달러 적자 → 2012년 0.9억달러 흑자

한국은 글로벌 문화서비스 시장에서 주요 플레이어로 부상

문화서비스 교역 세계 순위: 2003년 24위 → 2010년 12위

문화서비스 수출 세계 순위: 2003년 27위 → 2010년 12위

* 이상 개인·문화·오락서비스 교역 기준

문화서비스 산업 발전의 특징

① 세계 10위권의 문화서비스 강국으로 부상했다.

내수 시장, 교역 및 수출 규모 등 종합적인 면에서 세계 10위권 수준까지 도약

② 문화서비스 수출입의 균형 성장을 이루었다.

내수 시장에 비해 작은 교역 규모 문제와 만성적인 적자 구조 문제가 동시에 해소

③ 제조업 기반 국가로서 문화서비스의 수출 상품화에 성공했다.

주요 제조업 기반국(韓, 獨, 中, 日) 중 문화서비스 수출 비중이 가장 큰 국가로 부상

④ 문화서비스 수출 구조의 품목 다변화가 진행 중이다.

음악이 주요 수출 품목으로 성장하면서 수출 품목의 방송(드라마) 집중 구조 해소

⑤ 문화서비스 산업 절대 규모의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시장 및 교역 등 추가 순위 상승을 위해 더욱 큰 성장이 요구되는 상황에 직면

시 사 점

첫째,전 세계인이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 육성을 통한 경쟁력 증진

둘째,국제 문화 교류 확대의 노력으로 한국 문화 전파의 경로 확대

셋째,문화 산업의 육성을 통해 국민이 즐기면서 경제가 성장하는 방안 모색

넷째,크라우드펀딩 활성화 등 소비자와 예술인을 연결하는 플랫폼의 확대

다섯째, 문화의 전파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분석

* 위 자료는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의 주요 내용 중 일부 입니다. 언론보도 참고자료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hri.co.kr

연락처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연구본부
산업정책연구실
김필수 선임연구원
02-2072-6238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