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공공연구기관 기술이전­ 및 사업화 실적 증가

과천--(뉴스와이어)--2012년도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사업화 실적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 윤상직)는 ‘12년도 기술이전 건수(6,676건)가 ’11년도(5,193건) 대비 28.6%, 기술료 수입(1,652억원)은 ‘11년(1,258억원)대비 31.3%로 대폭 증가하였고, 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한 ’07년에 비해서 기술이전 건수는 2배, 기술료수입은 1.6배 상승하였다고 밝혔다.

* 기술이전 실적보유기관 : (‘07) 118개 → (’10) 158 → (‘12) 197

기술이전실적 추이

기술이전 건수·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은 기술이전·사업화 전담부서 및 전담인력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전담부서: (‘07) 141개 → (’10) 160 → (’12) 172
전담인력: (‘07) 2.86명 → (’10) 2.9 → (‘12) 3.52

아울러 공공연구기관에 기술이전전담조직 설치를 의무화(‘00)하고 산업부 등 관련부처가 지속적으로 기술이전·사업화를 지원한 것이 주효했다.

또한 정부의 지속적인 R&D 지원에 힘입어 공공연구기관의 누적 보유기술이 크게 증가한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 보유기술: (‘07) 55,758건 → (’10) 87,367 → (‘12) 190,280

기술료 수입 역시 기술이전 건수와 병행하여 상승하였으며, 특히 대학보다는 연구소가 월등히 수입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年 10억원 이상의 기술료 수입을 얻는 기관이 사상 최대인 36개로 나타났다.

* (‘07) 10개 → (’08) 18 → (‘09) 23 → (’10) 26 → (‘11) 30 → (’12) 36 (대학 : 15, 연구소 : 21)

기술료 수입은 출연硏 중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363억원), 한국전기연구원(81억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73억원) 순으로 나타났고, 전문硏은 전자부품연구원(40억), 자동차부품연구원(39억원)이, 대학은 한양대(48억원), 서울대(39억원), 연세대(37억원)가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동 조사결과에 따르면, ‘12년도 공공硏의 기술이전건수의 대부분이 중소·중견기업으로 이전(79.7%)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기업(15.4%), 중견기업(3.6%), 중소기업(76.1%), 기관(5%)

이는 정부의 기술이전·사업화 지원이 중소·중견기업의 기술혁신과 성장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산업부는 기술이전·사업화를 지속적으로 확대·강화 하기 위해 이번 조사결과에 나타난 시사점을 심층 분석하여 금년 12월 중에 관련부처 합동으로 ‘제5차 기술이전·사업화 촉진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개요
상업,무역,공업 정책, 무역 및 통상, 자원과 에너지 정책을 관장하는 정부 부처이다. 산업정책을 맡는 1차관, 무역 및 에너지를 맡는 2차관을 두고 있다. 그 아래 기획조정실, 무역투자실, 산업정책실, 산업기반실, 통상교섭실, 에너지자원실이 있다. 산하에 기술표준원과 무역위원회, 경제자유구역기획단 등을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tie.go.kr/

연락처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시장과
김기열
02-2110-5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