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H연례 회의에서 발표된 새로운 데이터, PNH와 aHUS에 대한 이해 도와 이 생명에 위협을 주는 장애에 대한 최적의 치료 제공

–– 새로운 생체지표 데이터, 솔리리스 (Soliris® - 선분명: 에쿨리주맙 (eculizumab)로 aHUS환자에 지속적인 말단 보체 차단 필요성 지지

–– 증가하는 성인 aHUS 환자에 대한 최대 규모의 전향적 임상실험 및 소아 aHUS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 데이터 혈액학 커뮤니티에 전달

–– 새로운 레지스트리 데이터, 수혈 이력과 유무와 상관없이 PNG환자에서 확인된 비슷한 발병도 강조––

체셔, 코네티컷.--(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알렉시온 제약 (Alexion Pharmaceuticals, Inc., 나스닥: ALXN)은 오늘 연구자들이 임상실험을 통해 만성적인 솔리리스 (솔리리스® -eculizumab)치료가 용혈성요독증후군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aHUS) 환자에 가져다 주는 임상적인 혜택과 발작야간혈색소증(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NH)환자를 위한 최적의 케어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새로운 환자에 대한 레지스트리 데이터를 뉴올리언스에서 열린 미국혈액학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의 제 55차 연례 회의 및 박람회에서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 데이터에는 다음이 포함되어있다:

- 솔리리스 치료를 시작하기 전, aHUS환자들은 지속적인 말단 보체 활성화 및 염증을 보이고 혈전증의 위험이 증가했다는 주요 aHUS의 생체지표에 대한 새로운 종합적인 연구. 본 연구는 말단 보체가 억제되지 않을 경우, 비극적인 임상적인 결과[1]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에 말단 보체 활성화는 솔리리스로 지속적으로 억제되어야 한다고 함.
- 과거 후향적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고 소아 aHUS[2] 환자를 위한 일차 치료법으로서의 솔리리스의 사용을 지지하는 aHUS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첫 번째 전향적 임상실험 결과
- 과거 실험의 결과를 성인환자로까지 확장하며, 확진[3]후 즉시 솔리리스를 사용하도록 권고하는 최근 가이드라인을 지지하는 최대규모의 전향적 aHUS 실험에서 추출된 안전성 및 효율성에 대한 데이터
- 수혈 이력이 없는 PNH환자는 수혈 이력이 있는 환자들과 유사하게 혈전증과 만성 신부전증 (CKD) [4]와 같은 삶을 위협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용혈 및 임상적인 징후를 보인다는 것을 증명한 한국의 전향적 PNH 레지스트리 (registry: PNH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효과 안전성 및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글로벌, 관찰적, 비시술적 임상시험)
- 여러 환자 군[5]에서 PNH세포를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고민감 유세포 분석기의 중요성을 확립시키는 일본에서 진행된 관찰 임상 실험 (OPTIMA)
- 이미 존재하는 PNH 클론[6] 의 확장을 감지하기 위해 PNH환자의 클론 크기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국제 Pnh 레지스트리를 대상으로 스페인에서 발견한 결과물.

최초의 말단보체 억제제인 솔리리스는 정확히 비통제 보체 활성화를 겨냥한다. 이는 보체관여 용혈 (적혈구 파괴)로 특징지어지는 몸 전체 기능을 약화시키는 매우 희귀하고 목숨을 위협하는 혈액질환인 PNH를 앓고 있는 환자를 위한 유일한 치료제이다. 솔리리스 미국, EU, 일본을 포함한 50개국에서 승인 받았다. 또한 솔리리스는 미국, 유럽연합, 일본 및 기타 국가에서 첫 번째이자 유일한 소아 및 성인 aHUS환자 치료제로도 승인 받았다. aHUS는 유전적인 만성 희귀 질환으로 내우 심각한 장기손상과 조기 사망으로 이어진다.

엘릭시온의 CEO 레오나드 벨 (Leonard Bell) 박사는, “미국혈액학학회에서 발표된 광범위한 임상 데이터는 솔리리스 치료를 통해 보체 매개성 TMA가 상당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억제되었음을 보여주었으며 소아 및 성인 aHUS환자를 위한 솔리리스의 임상적인 사용을 지지했다. 새로운 생체지표 데이터 역시 aHUS환자에 있어 지속적인 말단 보체 억제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말단 보체 억제가 지속되지 않을 경우, 혈전증의 위험이 증가해 주요 장기에 갑작스럽게 심각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제시했다” 면서, "최대규모의 PNH레지스트리에서는 최근 최고의 결과를 내기 위해 PNH환자들의 위험요소에 대한 이해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우리는 새로운 데이터들이 지속적으로 PNH와 aHUS에 대한 이해를 높여 우리가 이 목숨을 위협하는 희귀병을 앓는 환자들을 위한 최상의 치료제를 만들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에 대해 매우 감사하다”고 말했다.

솔리리스로 치료된 aHUS환자들의 생체지표 (초록 2184)[1]
오늘 포스터 세션에서 연구자들은 소리리스로 치료를 받은 성인 aHUS환자들에 대한 전향적 개방표지 실험에서 나온 생체 지표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 데이터는 솔리리스 치료 시작 전, aHUS환자들은 보체 매개성 TMA에 대한 모든 생물학적 수치가 정상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훨씬 높다는 것을 기준으로 했다. 솔리리스 치료 전, 모든 aHUS환자군 (PE/PI를 받는 환자 혹은 정상, 합토클로빈 (Hp) 혹은 락트산 탈수소 효소 (LDH) 수준을 가진 환자포함)에서 환자들은 일반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45-305배 높은 수준의 말단 보체 활성화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aHUS환자들은 혈관 염증, 내피 활성화 및 손상, 혈전증의 위험, 심각한 장기 손상 그리고 근부의 보체대체경로 (CAP) 활성화 수치가 상당히 증가했다.

지속적인 솔리리스 치료는 매우 높았던 말단 보체 활성화 수치를 낮춰 정상화 시켰으며 다음의 결과를 가져왔다.
- 혈관 염증수치가 지속적으로 감소 94%까지 떨어졌다.
- 내피 활성화 수치가 60%까지 억제되었다.
- 내피 손상율이 77%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해 정상 수치에 가까워 졌으며 이는 말단 보체 활성화와 내피 손상의 강력한 연관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혈전증 위험이 99%까지 감소했다.

솔리리스로 말단보체 활성화가 지속적으로 억제되면 중요한 장기 손상을 정상수치까지 낮추며 근부의 보체대체경로 (CAP) 활성화 수치 또한 상당히 감소된다. 이 논문의 저자는 aHUS의 경우, 말단 보체가 더 이상 억제되지 않을 경우 기저에 잠복되어 있는 내피가 활성화 되고, 내피 손상이 상당히 가속화 되며 혈전증의 위험도 증가할뿐 아니라 매우 위험한 혈관의 허혈 현상 및 주요 장기 손상 발생 위험이 조기에 나타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뿐만 아니라, aHUS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실험에서는 솔리리스[7 ]복용 일정을 제대로 따르지 않은 경우 심각한 TMA 합병증이 목격되었다.

알렉시온의 최고 의료 책임자 (CMO)인 카밀 L. 베드로시안 (Camille L. Bedrosian) 박사는, “이 연구의 생태지표 데이터는 솔리리스를 통한 지속적인 말단 보체 억제는 환자들을 주요 장기 손상 및 조기 사망등과 같은 aHUS의 심각한 잠재적 결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라며 “이 데이터는 aHUS의 만성적인 본질과 이 유전적 만성질병 환자들로부터 최상의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한 지속적인 치료의 필요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했다.

성인 및 소아 aHUS환자에 대한 솔리리스 사용
- 포스터 발표(초록 2191)[2]에서 연구자들은 소아 aHUS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솔리리스에 대한 첫 전향적 임상 실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내놓았다. 이 전향적 다국적 단일군 개방표지 실험에는 1개월 이상 18세 미만의 서로 다른 종류의 환자들이 참여했는데, 이 중 22명의 소아환자가 aHUS환자였으며 이 중 16명 (73%)가 새롭게 진단을 받은 환자였다. 이번 연구에는 사전 혈장교환 혹은 주입(PE/PI) 은 필요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참여 환자들은 (12/22, 55%) 솔리리스를 첫 aHUS 치료제로 사용하였으며 솔리리스 치료 이전에 PE/PI 는 시행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19명의 환자 (86%)가 26주간의 초기 솔리리스 치료를 완료하였고 14-22명 (64%)가 26주째에 이 연구의 1차 종결 포인트인 완전한 TNA 반응을 보였는데 상당한 신기능 개선이 요구되었다. (≥25%의 크레아티닌 감소). 22명의 환자 중 21명 (95%)이 혈소판 수치 정상화를 보였으며; 혈소판 수치가 정상화 되는데 걸린 평균 시간은 7일이었으며 베이스라인에서 개선된 혈소판 수치는 평균 164 x109/L (p<0.0001)였다. 신장을 매개변수로 봤을 때, 평균 사구체 여과율 (eGFR)이 기선에서 64 mL/min/1.73m2 (P<0.001) 증가했으며 19명의 환자 (86%)가 26주째에는 최소 15 mL/min/1.73m2 의 증가율을 보였다. 26주째에 16명의 환자 (73%)가 기선으로부터 최소 25%의 혈청크레아티닌 감소를 보였다. 중요한 점은, 연구 시작 시 투석을 받고 있던 환자 11명 중 9명이 (82%) 연구 중에 투석을 중단했으며 투석을 받지 않고 있던 12명의 환자 모두 26주간 계속 투석 없이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13 미국신장학회(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ASN)[8] 에서 발표되었다.

에모리 대학(Emory University) 소아신장학과와 아틀란타 어린이 병원(Children's Healthcare of Atlanta) [9] 과장 래리 그린범 (Larry Greenbaum) 박사는 “이번 임상 실험은 소아 aHUS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첫 전향적 실험이었으며 지속적인 솔리리스 치료가 빠르고 지속적인 혈소판 수치 개선과 투석 중단을 포함한 신장 기능의 상당한 개선을 가져왔음을 증명했다”면서, “이번 전향적 실험에서 증명된 안전성과 효과는 과거 진행한 후향성 소아연구 결과와 발표된 2단계 성인대상 전향적 인상실험 결과를 재확인시켜줄 뿐 아니라 소아 aHUS 환자에 대한 1차 치료제로서 솔리리스 사용 권고를 지지하고 있다”고 했다.

솔리리스는 일반적으로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는데 가장 흔히 보인 이상반응 (AE)는 열 (50%) 그리고 기침 (36%)이 있다. 환자 1명이 인간항체에 대한 면역 반응 (HAHA response)으로 보였으나 눈에 띄는 이상 반응2 없이 솔리리스 치료를 지속했다.
- 또 다른 포스터 발표 (초록 2179)[3]에서 연구자들은 성인 aHUS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솔리리스에 대한 최대 규모의 전향적 연구에서 긍정적인 데이터를 도출했다. 이 전향적 다국적 단일군 개방표지 실험에는 총 41명의 성인 aHUS 환자가 참가했다. 사전 PE/PI 는 요구되지 않았으며 이 환자들의 경우, aHUS 증상 발병 후부터 솔리리스 치료를 처음 시작할 때까지 기간이 짧았다 (평균 2주). 41명 중 30명 (73%) 이 새롭게 진단을 받은 환자였으며 6명 (15%)은 이번 실험 중 임상 양상이 보였을 때에도PE/PI를 실시하지 않았으며, 24명(59%)은 시작 당시 투석을 받고 있었으며 9명 (22%)은 과거 신장 이식 이력이 있었으며, 21명 (51%) 그 어떠한 유전자 변이도 확인되지 않았다.

- 이번 연구의 1차 종료시점인 26주째에 41명 중 30명의 환자 (73%)가 정상적인 혈소판 수치, LDH 및 신장 기능 유지등 완전한 TMA반응을 보였다 (< 기선으로부터 혈청크레아티닌 25% 증가. 솔리리스는 기선으로부터 평균 29 mL/min/1.73m2 (P<0.0001의 eGFR 증가를 보이며 상당한 신장 기능 개선을 보임). 가장 중요한 것은, 투석을 진행해온 24명의 환자 중 20명 (83%) 이 26주째에 투석을 중단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의 결과 또한 2013 ASN 회의에서 발표되었다.[8]

프랑스 낭트의 의료센터 (Centre Hospitalier Universitaire de Nantes)[10] 의 파디 파코리 (Fadi Fakhouri)박사 “이 연구는 aHUS에 관한 최대 규모로 진행된 연구이며, 지속적인 솔리리스 치료가 지속적인 보체 매개성 TMA 억제로 이어져 신속하고 지속적인 혈액학적인 매개변수 개선을 가져왔으며 성인 aHUS환자의 경우 지속적인 신장 기능 개선을 보였다는 과거 전향적 임상연구 결과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며 “PE/PI에도 불구하고 높은 이환율과 조기 사망률을 보이는 aHUS의 특성 때문에 이번 연구 결과는 성인 aHUS 환자에게 진단 즉시 1차 치료제로 솔리리스를 사용을 권고하는 가이드라인을 지지하고 있다.

솔리리스는 이번 연구에서도 전반적으로 부작용을 보이지 않았는데 가장 흔히 목격된 이상 반응으로는 두통 (37%), 설사 (32%) 그리고 감각장애 (22%) 등이 있다. 2건의 수막구균 감염 (meningococcal infections)이 관찰 되었는데, 두 환자 모두 회복되었으며 한 명은 솔리리스 치료를 지속했고 한 명은 투석이 필요한 신장 기능 이상으로 치료를 중단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사망은 발생하지 않았다.[3]

- 이와는 별개로, 연구자들은 오랜 기간 aHUS를 앓았던 환자와 과거 PE/PI로 만성 신장 질환을 관리하던 환자들이 솔리리스 치료를 받은 후 혈액 및 신장 개선을 보였다는 데이터를 발표했다. (초록 2186).[11] 이 연구에서 환자들은 솔리리스를 통해 즉각적은 혈액 수치 개선을 보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장 기능 또한 개선을 보였다. 이번 분석에 의하면, 90%의 환자들은 1달만에 혈소판 수치 개선을 보였으며 95%는 LDH 개선을 보여 3개월만에 정상화 기준점에 도달했다. 신장기능 개선이 혈액 개선 보다 늦게 나타났으며 이번 연구 기간 동안 점진적인 증가를 보였다. 2년간의 연구기간이 종료된 후, 대부분의 환자들이 크레아티닌 (≥25%) 과CKD ≥1 stage) 개선 기준점에 도달했다. 이 논문의 저자는 이 데이터를 통해 오래 시간 aHUS를 앓았던 환자들과 기존에 CKD를 가지고 있던 환자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장 기능 개선을 보였다는 것을 증명하고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솔리리스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연구 기간 동안 솔리리스는 부작용을 거의 보이지 않았으며; 환자 1명이 솔리리스와는 무관한 부작용으로 사망했다.

- 또 다른 포스터 발표에서 (초록 3426)[12], 연구자들은 솔리리스로 2년간 치료를 받은 진행형 TMA를 보유 aHUS환자에게서 혈액 및 신장 개선을 보일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개선율이 혈소판 수치에서 1주일만에 보였고 eGFR은 2주만에 보였다. 뿐만 아니라 8주 후에는 헤모글로빈과 합토글로빈 수치가 기선에서부터 개선되었음을 보였다. 모든 개선된 수치는 연구기간 내내 유지되었다. 혈액학적 정상화 기준(혈소판 수치 및 혈액학적 정상화) 과 신장 개선 기준치 (≥15 mL/min/1.73 m2의 eGFR 증가와 ≥25% 의 혈청 크레아티닌 감소)는 각각 4주와 6주만에 달성되었다. 솔리리스는 이 연구 기간 동안에도 부작용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 논문의 저자는 이 데이터는 진행형 TMA를 보유한 aHUS환자에게 조기 치료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한다고 결론지었다.

PNH 환자 데이터
미국혈액학학회 (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회의에서는 PNH환자에 대한 데이터 발표도 아래와 같이 있었다.
- 포스터 발표 (초록 3720)[4]에서 연구자들은 한국의 PNH레지스트리의 데이터를 선보였다. 106명의 한국 PNH환자를 분석한 결과, 수혈받은 환자들과 수혈을 받지 않은 환자들 모두 비슷하게 용혈이 증가된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PNH, CKD그리고 혈전 색전증 (thromboembolism, TE)와 같은 목숨을 위협하는 합병증의 임상적 증상을 약화시켰다.

이종욱 카토릭대학 성모병원 의학 교수이자 이 포스터[13]의 주요 저자는 “이 데이터는 연구 참여 12개월 전 수혈 이력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 모두가 혈전증과 만성 신장 질환과 같은 심각한 임상적인 문제를 경험하게 될 위험을 비슷하게 가지고 있으며 이 두 질환은 PNH환자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2가지 주요 원인이다,”며 “PNH환자에게서 최상의 결과를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수혈 이력과 무관하게 PNH의 위험 요소들을 기반으로 치료가 관리되어야 한다”고 했다.

- 또 다른 포스터 (초록 1241)[5]에서는 다기관 관찰연구 (OPTIMA)의 중간데이터가 보고되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골수 부전 증후군을 가진 일본 환자와 PNH로 의심되는 환자들 사이의 PNH세포 출현율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유동 세포 분석 (flow-cytometry) 프로토콜을 전국 6개 연구소에 동일하게 적용해 고민감도 유동 세포 분석법을 각각의 연구소에 확립시켰으며 이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PNH세포 감지가 가능하게 했다. 조사 대상인 1451샘플 중 38%가 PNH세포12% ≥1% 로 양성을 보였으며 LDH 수준도 ≥1% PNH 세포를 가진 환자의 68%가 정상의 >1.5 x 상한선을 넘어섰다.

- 또 다른 포스터 (초록 3715)[6]에서는 스페인의 국제 PNH 레지스트리 데이터에 대하 발표가 있었는데 PNH의 경우 정기적인 클론 크기에 대한 평가가 권고된다고 했다. 117명의 스페인 환자들이 의사들이 보고한 PNH타입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뉘었다: (1) 용혈성 PNH, (2) 또 다른 골수 질환을 가진 PNH 그리고 (3) 준 임상적 PNH. 그룹 1과 2의 경우, 클론 크기의 중간값이 진단시점과 입원 시점 사이에 증가했다. 그리고 혈전증의 위험을 나타낼 수 있다고 여겨지는 LDH활성화 의 중앙값은 진단 시점에 그룹1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이 환자군은 TE 출현율이 높게 나왔다. (환자 4명 중 1명이 TE를 가지고 있었다).

aHUS에 대하여
aHUS는 생명을 위협하는 만성 희귀 질환으로 보체 조절 유전자 하나 이상의 유전적 결함이 만성적으로 통제 불가능한 보체 활성화를 일으켜 소혈관에 응혈이 생기는 보체 매개성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TMA) 이 나타나게 된다.[14],[15] aHUS의 경우 보체 활성화가 지속적으로 통제되지 않으면 평생 TMA의 위험을 안고 가게 되며 이는 갑작스럽게 목숨을 위협하는, 신장, 뇌, 심장 및 기타 주요 기관의 큰 손상을 초래하며 조기 사망에까지 이르게 된다. [14],[16] 보체 매개성 TMA 는 또한 혈소판 수치를 감소 시키며 (혈소판감소, thrombocytopenia) 적혈구 손상 (용혈)을 일으킨다. aHUS는 성인과 아동 모두가 걸릴 수 있다. aHUS환자의 65%는 사망하며 신장 투석으로 요하거나 혈장 교환 혹은 주입 (PE/PI)와 같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진단 1년 만에 영구적인 신장 손상을 보인다.[17],[18] 신장 이식을 받는 aHUS환자 대부분이 침투성 TMA를 보여 이런 TMA환자들의 경우, 이식 실패율이 90%에 달한다.[19] 최소 10개 다른 보체 조절 유전자에서 변이가 일어났는데, 변이는 aHUS를 확진받은 환자30-50%에서는 확인 되지 않았다. [20]

PNH에 대하여
PNH 는 매우 희귀한 혈액 질환으로, 정상 면역체계의 한 요소인 보체가 만성적으로 통제되지 않아 용혈 (환자의 적혈구 파괴)이 생기는 것이다. PNH는 모든 연령의 사람들이 다 걸릴 수 있는 질환이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30대 초반이다.[21] 전체 환자의 약 10%는 21세 혹은 그 이전에 처음 증상이 발병한다.[22] PNH는 예고 없이 발병하며 남성, 여성, 인종, 배경과 연령에 무관하게 발병한다. PNH는 종종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1년에서 많게는 10년까지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다.[23] 솔리리스가 판매되기 이전에는 PNH환자의 1/3이 진단을 받은 후 5년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했다.21 PNH는 재생불량성 빈혈 (aplastic anemia, AA)와 골수이형성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s, MDS)와 같은 골수 질환을 환자들에서 더 일반적으로 발견되었다.[24],[25],[26] 원인 불명의 혈전증을 앓는 환자들의 경우, PNH가 근본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21]

솔리리스에 대하여
솔리리스는 연구실에서 개발되어 규제 승인을 거치고 알렉시온이 상업화 시킨 최초의 말단 보체 억제제이다. 솔리리스는 미국 (2007년), 유럽연합 (2007년), 일본 (2010년)등의 국가에서 신체를 쇠약하게 만들고, 목숨을 위협하며 보체 매개성 용혈 (적혈구 파괴)로 특징지어지는 매우 희귀한 혈액장애인 발작성 야간혈색소 요증 (PNH)환자를 위한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제로 승인 받았다. 솔리리스는 용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솔리리스는 또한, 미국 (2011), 유럽연합 (2011), 일본 (2013)등의 국가에서 신체를 쇠약하게 하고 목숨을 위협하며 보체 매개성 혈전성 미세혈관병증( TMA-미세혈관에 응혈형성)으로 특징지어지는 매우 희귀한 유전자 장애인 용혈 요독 증후군 (aHUS)환자를 위한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제로 승인 받았다. 솔리리스는 보체 매개성 TMA를 억세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aHUS에 대한 솔리리스의 효과는 TMA와 신장기능에 어떤 효과를 보이느냐에 달려있다. 1차 결과가 미국혈액하학회에서 보고된 추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임상 실험은 계속해서 aHUS 환자들에게 솔리리스가 주는 혜택을 확인해 나갈 것이다. 솔리리스는 시가톡신 대장균 (Shiga-toxin E. coli)관련 용혈성 요독증성증후군 (hemolytic uremic syndrome, STEC-HUS)환자 치료용으로는 확인되지 않았다. 보체 억제라는 혁신을 보인 알렉시온과 솔리리스는 미래 생물의학 연구에 더 많은 시사점을 안겨준 최고의 생물공학 제품으로 제약업계 최고의 상인 2008 미국 프리 갈리엥 상(USA Prix Galien Award)을 통해 인정 받았으며 희귀질환 의약품 부문에서 2009 프랑스 프리 갈리엥 상 (Prix Galien France Award)을 수상했다.

미국에서의 솔라리스 처방 정보 전문은 www.솔리리스.net에서 확인 가능하다. 유럽에서의 솔라리스 처방 정보 전문은 http://www.ema.europa.eu/ema/index.jsp?curl=pages/medicines/human/medicines/000791/human_med_001055.jsp&mid=WC0b01ac058001d124에서 확인 가능하다.

안전성에 관한 중요한 정보
미국에서 판매되는 솔리리스의 라벨에는 박스형태의 테두리 안에 다음의 경고문이 표시되어 있다: 솔리리스 치료를 받은 환자 중에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수막구균 감염을 보인 이들도 있었다. 수막구균 감염은 조기에 진단 및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빠른 속도로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보체 결핍 환자들은 수막구균 감염에 대한 미국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의 가장 최근 권고안에 따라야 한다. 수막구균 감염이 일어나는 리스크보다 소라리스 치료를 연기했을 때 발생 할 수 있는 리스크가 더 클 경우를 제외하고는 솔리리스를 처음 투여하기 2주 전 환자들을 수막구균 예반접종으로 면역성을 키워줘야 한다. (수마구균 감염 관리에 대한 추가 안내는 ‘심각한 수막구균 감염 (5.1)’에서 확인 가능하다.) 조기에 수막구균 감염을 확인할 수 있게 환자들은 모니터하고 감염이 의심되는 즉시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솔리리스는 해관리제도(risk evaluation and mitigation strategy - REMS) 하의 처방제한 프로그램을 통해서만 구매 가능하다. 솔리리스 REMS에 따르면 모든 처방환자들은 이 프로그램에 가입해야 한다. 소리리스 REMS 프로그램과 추가 정보는 전화: 1-888-솔리리스 (1-888-765-4747)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PNH환자의 경우, 솔리리스 치료 임상실험에서 가장 빈번하게 보인 이상증상은 두통, 비인두염 (콧물), 요통 및 어지럼증이다. PNH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솔리리스 치료 때문에 항응고제 관리에 변화를 줘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소리리스 치료 중 항응고제 투여를 중단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반응에 대하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aHUS환자의 경우, 솔리리스 치료 임상실험에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되는 이상반응으로는 고혈압, 상기기도감염, 설사, 두통, 빈혈, 구토, 어지럼증, 요로 감염과 백혈구 감소 등이 있다. 심각한 수막구균 감염의 리스크와 관련해 박스에 표기된 “경고 (WARNING)을 포함해 솔리리스의 처방 정보 전문을 꼭 확인하기 바란다.

알렉시온에 대하여
알렉시온 제약 (Alexion Pharmaceuticals, Inc.)은 심각한 희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위해 혁신을 꾀하고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 및 상업화시킨다. 알렉시온은 보체 억제제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며 만성적으로 통제불능의 보체 활성화에 의해 신체를 쇠약하게 하고 생명을 위협하는 희기병인 PNH와 aHUS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 솔리리스® (eculizumab)를 개발 판매 중이다. 솔리리스는 현재 PNH치료제로 50개국에서 승인을 받은 상태이며, aHUS 치료제로는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지에서 승인 받았다. 알렉시온은 PNH와 aHUS외 솔리리스가 작용할 수 있는 다른 심각한 희귀질병을 확인 중에 있으며 매우 혁신적인 생물공학 제품 또한 다양한 치료분야에서 개발 중이다. 본 보도자료와 알렉시온 제약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www.alexionpharma.com에서 확인 가능하다.
[ALXN-G]

면책조항
본 보도자료는 예상되는 임상적 결과, 규제 및 상업적이니 이정표적인 사건과 PNH 및 aHUS 환자를 위한 잠재치료제로서 솔리리스® (eculizumab)가 가져다 줄 수 있는 건강 및 의학적 혜택 등의 미래예측 진술을 포함하고 있다. 미래 예측 진술은 예시, 마케팅 승인이나 솔라리스의 현재 혹은 잠재적인 효과에 대한 마케팅 제한에 관한 규제당국의 의사결정, 그리고 2013년 9월 30일 자 10-ㅏ 연차 보고서에서 논의 한 리스크를 포함해 미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명시 되어 있는 기타 리스크를 포함해 알렉시온의 결과와 계획이 예상과는 달라지게 하는 요소들을 담고 있다. 알렉시온은 법적인 의무가 생기지 않는 이상 본 보도자료 일자 이후의 사건이나 상황을 업데이트 할 의향이 없다.
참고
___________________
[1] Cofiell R, Kukreja A, Bedard K, et al. 에쿨리주맙 (Eculizumab, ECU)으로 치료받는 aHUS 환자들에 서 보이는 보체 및 내피 활성화의 생체지표, 염증, 혈전증 및 신장 외상. 뉴올리언스, LA, 2013년 12월8일 미국혈액학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의 제 55차 연례 회의에서 발표: 초록 2184.
[2] Greenbaum L, Fila M, Ardissino G, et al. 에쿨리주맙 (Eculizumab, ECU)은 소아 용혈 요독 증후군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aHUS) 환자의 혈전성미소혈관증 (TMA)를 억제시키고 신장 기능을 개선시킨다. 뉴올리언스, LA, 2013년 12월8일 미국혈액학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의 제 55차 연례 회의에서 발표; 초록 2191.
[3] Fadi F, Hourmant M, Cataland SR, et al. 에쿨리주맙 (Eculizumab, ECU)은 성인 용혈 요독 증후군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aHUS) 환자의 혈전성미소혈관증 (TMA)를 억제시키고 신장 기능을 개선시킨다. 뉴올리언스, LA, 2013년 12월8일 미국혈액학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의 제 55차 연례 회의에서 발표: 초록 2179.
[4] Lee JW, Jang HK, Kim JS, et al. 한국의 전향적 PNH레지스트리 중 수혈 받지 않은 발작성 야간혈색소 요증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PNH) 환자에서 발견된 임상적 신호와 증상. 뉴올리언스, LA, 2013년 12월9일 미국혈액학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의 제 55차 연례 회의에서 발표: 초록 3720.
[5] Obara N, Chiba S, Hosokawa K, et al. 골수부전 환자들의 GPI고정 단백질 결핍 혈구에 대한 기초평가 (관찰연구 - OPTIMA Study). 뉴올리언스, LA, 2013년 12월7일 미국혈액학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의 제 55차 연례 회의에서 발표: 초록 1241.
[6] Villegas A, Gaya A, Ojeda E, et al. PNH환자들의 클론 크기 모니터링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는 의무사항이다: 스페인의 국제 PNH 레지스트리 연구. 뉴올리언스, LA, 2013년 12월 9일 미국혈액학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의 제 55차 연례 회의에서 발표: 초록 3715.
[7] 솔리리스® (eculizumab) 처방 정보. 체, 커넥티컷: 알렉시온 제약 ( Alexion Pharmaceuticals, Inc.); 2012.
[8]솔리리스® (eculizumab)는 성인 및 소아 용혈 요독 증후군 (Atypical Hemolytic Uremic Syndrome, aHUS) 환자의TMA를 억제시키고 신장 기능을 개선시킨다. 알렉시온 제약 ( Alexion Pharmaceuticals, Inc.).: 2013년 11월 9일. http://news.alexionpharma.com/press-release/product-news/솔리리스%C2%A0eculizumab-inhibits-tma-and-improves-renal-function-pediatric-and.
[9] Larry Greenbaum 박사는 알렉시온 제약의 연구 지원을 받으며 알렉시온의 컨설턴트이다.
[10] Fadi Fakhouri박사는 알렉시온 제약의 연구 지원을 받으며 알렉시온의 컨설턴트이다.
[11] Licht C, Muus P, Legendre C, et al. 에쿨리주맙 (Eculizumab, ECU) 치료를 받는 장기 aHUS 환자와 만성 신부전증 환자가 혈액학적 개선 및 신장기능 개선을 보일 때 까지 걸리는 시간. 뉴올리언스, LA, 2013년 12월 8일 미국혈액학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의 제 55차 연례 회의에서 발표: 초록 2186.
[12] Muus P, Bedrosian CL, Furman RR, et al. 2년간 에쿨리주맙 (Eculizumab, ECU)치료를 받은 혈전성 미세혈관증이 진행중인 aHUS환자가 혈액학적 개선 및 신장기능 개선을 보일 때 까지 걸리는 시간. 뉴올리언스, LA, 2013년 12월 9일 미국혈액학학회(American Society of Hematology, ASH)의 제 55차 연례 회의에서 발표: 초록 3426.
[13]이종욱 박사는 알렉시온 제약의 연구 지원을 받으며 알렉시온의 컨설턴트이다.
[14] Benz K, Amann K. 혈전성 미세혈관증: 새로운 통찰. new insights. Curr Opin Nephrol Hypertens. 2010;19(3):242-7.
[15] Ariceta G, Besbas N, Johnson S, et al. 설사를 보이지 않는 요혈성 요독증성증후군 조사 및 초기 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 Pediatr Nephrol. 2009;24:687-96.
[16] Tsai HM. 혈전성 미세혈관증에 관한 분자 생물학. 키드니 인터내셔널 (Kidney Internaitona). 2006;70(1):16-23.
[17] Caprioli J, Noris M, Brioschi S, et al. MCP, CFH와 IF 변이가 임상적 증상, 치료에 대한 반응 및 결과에 미치는 영향. 블러드 (Blood). 2006;108:1267-9.
[18] Loirat C, Garnier A, Sellier-Leclerc AL, Kwon T. 용혈성요독증후군에 대한 혈장치료. Semin Thromb Hemost. 2010;36:673-81.
[19] Bresin E, Daina E, Noris M, et al. 시가 톡신과 무관한 용혈성요독증후군 환자의 신장 이식 결과: 유전적 배경의 예후적 의미. Clin J Am Soc Nephrol. 2006;1:88-99.
[20] Noris M, Caprioli J, Bresin E, et al. 산발적 aHUS와 가족성 aHUS에서 보이는 유전적 보체 이상의 상대적인 역할과 이것이 임상적 표현형에 미치는 여향. Clin J Am Soc Nephrol. 2010;5:1844-59.
[21] Socié G, Mary JY, de Gramont A, et al.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장기적인 후속조치와 예후적인 요소. Lancet. 1996: 348:573-577.
[22] Parker C, Omine M, Richards S, et al.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의 진단과 관리. Blood. 2005;106(12):3699-3709.
[23] Hillmen P, Lewis SM, Bessler M, Luzzatto L, Dacie JV.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의 자연적인 생장. N Engl J Med. 1995;333:1253-1258.
[24] Wang H, Chuhjo T, Yasue S, Omine M, Naka S. 골수 부전 증후군환자에게서 보이는 소수의 PNH 타입 세포의 임상적 의미. Blood. 2002;100 (12):3897-3902.
[25] Iwanga M, Furukawa K, Amenomori T, et al. 골수이형성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s)환자들에서 보이는 가진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 클론 . Br J Haematol. 1998;102(2):465-474.
[26] Maciejewski JP, Rivera C, Kook H, Dunn D, Young NS. 골수부전 증후군과 글리코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glycophosphatidyl inositol)고정 단맥질결핍 클론의 존재간의 관계. Br J Haematol. 2001;115:1015-1022.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연락처

알렉시온 제약
어빙 애들러(Irving Adler), 203-271-8210
기업홍보 담당

미디어
알렉시온 제약
킴 다이아몬드(Kim Diamond), 203-439-9600
기업 커뮤니케이션 담당

투자자
Rx C커뮤니케이션즈
론다 치거 (Rhonda Chiger), 917-322-256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