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성평등 수준, 복지 영역이 전년 대비 가장 크게 상승

서울--(뉴스와이어)--여성가족부(장관 조윤선)에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하여 분석한 ‘2013년 지역별 성평등 수준분석 연구(2012년 기준)’ 결과 2012년 기준으로 지역 성평등지수가 ‘52.5점’으로 2011년(51.7점) 대비 0.8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기준 지역 성평등지수(52.5점)는 2007년(51.2점) 대비 1.3점 상승했으며, 지역의 성평등 수준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2008~2009년 하락) ‘경제참여와 기회’ 및 ‘가정과 안전한 삶’ 영역 하락에 기인

4개 영역별 성평등 수준을 살펴보면, 복지 영역의 성평등 수준이 76.1점으로 가장 높으며, 경제참여와 기회 영역 54.7점, 가정과 안전한 삶 영역 54.0점이었으나, 대표성 제고 영역은 14.6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개 영역 모두 2008년 대비 성평등 수준이 개선되었으며, 그 중 복지영역이 가장 크게 상승하였으며(2.8p↑), 경제참여와 기회 영역(2.6p↑), 대표성 제고 영역(1.0p↑), 가정과 안전한 삶 영역(0.6p↑) 순으로 상승했다.

상기 4개 영역을 종합해 각 지역의 성평등 수준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4단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16개 시·도가 55.9점〜50.3점에 분포하고 있어 지역 간 격차는 크지 않았다.

상위 지역은 강원, 대전, 서울, 제주(가나다 순), 중상위 지역은 경기, 부산, 인천, 전남(가나다 순), 중하위 지역은 경북, 울산, 전북, 충남(가나다 순), 하위 지역은 광주, 경남, 대구, 충북(가나다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 성평등지수는 시·도별 성평등 수준과 성평등 정책의 효과를 측정하여 지역 여성정책을 활성화하고 성평등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2011년(2010년 기준)부터 산정하고 있는 지수로, 4개 영역 16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완전 성평등한 상태를 100점으로 하여 산정하고 있다.

특히 내년부터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성평등 실현에 큰 관심을 갖고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역의 종합 점수와 순위를 공개할 계획이다.

여성가족부 박현숙 여성정책국장은 “지역 성평등지수는 지역 여성정책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정책 우선순위를 설정하도록 지원할 뿐 아니라, 성평등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관심과 국민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다”며 “지역별로 대표성 제고, 경제참여와 기회, 가정과 안전한 삶, 복지 등 각 영역의 성평등 수준을 점검하여 지역의 성평등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아지고, 이를 지역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여성가족부 소개
여성정책과 가족정책을 전담하는 정부 부처로 2001년에 설립됐다. 주요업무는 여성정책 기획 및 종합,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정책의 성별 영향 분석 평가, 가족폭력 성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여성 인력의 개발과 활용, 성 매매 방지 및 피해자 보호, 여성단체 및 국제기구와 협력 등이다. 기획조정실, 여성정책국, 청소년가족정책실, 권익증진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호사이자 18대 국회의원을 지낸 조윤선 장관이 여성가족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gef.go.kr

연락처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과
윤세진 사무관
02-2075-4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