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식품 중 비의도적 생성 유해화학물질 저감화 계획 발표

청원--(뉴스와이어)--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정승)는 식품 제조, 가공, 조리 중 자연 발생하는 벤조피렌 등 유해화학물질을 저감화하기 위한 ‘14년도 세부 추진계획을 수립하였다고 밝혔다.
※유해화학물질 중 의도적으로 사용되는 농약 등 물질은 기준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관리되나, 벤조피렌 등 식품 가공 중 비의도적으로 생성되는 물질은 제외국(EU 등)에서도 최대한 발생되지 않도록 저감화 사업을 추진 중임

식약처는 지난 해 식품 중 비의도적 유해화학물질 저감화를 위한 5개년(‘13년~’17년)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벤조피렌, 아크릴아마이드 등 23종의 유해화학물질을 선정해 저감화 노력을 벌이고 있다.

식약처는 ‘14년 식품 중 비의도적 생성 유해화학물질 저감화를 위해 ▲저감화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사업 ▲중소업체 기술지원 사업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해부터 실시된 연구사업을 포함하여 올해 총 4개의 연구과제에 약 63억 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식용유지 중 벤조피렌 저감화 연구(14억) ▲식용유지 이외 제품(가쓰오부시, 외식업소 제품, 생약 등) 중 벤조피렌 저감화 연구(7.5억) ▲외식업소 판매식품 중 벤조피렌 실태조사(1.6억) ▲23종 유해화학물질 저감화 기반연구 등의 연구 사업(40억)이 수행되게 된다.

또한, 중소업체를 위한 기술지원 사업에는 총 7.2억 원이 투입되어 ▲중소업체 맞춤형 저감화 기술지원(0.5억) ▲위탁 시험검사기관을 통한 분석지원(6.7억)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지난 1월 14일, 맞춤형 저감화 기술지원 대상 40개 중소업체가 선정된 바 있으며, 위탁 시험검사기관도 2월 경에 선정할 예정이다.
※기술지원 대상 40개 업체 : 식용유지(벤조피렌) 13개소, 감자스낵류(아크릴아마이드) 6개소, 매실주(에틸카바메이트) 1개소, 장류(바이오제닉아민류) 20개소

아울러, 오는 2월 업체 대상 사업 설명회가 지역별로 3회에 걸쳐 개최될 예정이다.
※권역별 설명회 개최 : 2월 5일(충청권, 대전식약청 개최), 2월 7일(전라권, 광주식약청 개최), 2월 11일(경기, 서울권, 서울식약청 개최)

식약처는 유해화학물질 저감화를 통한 국민 건강 확보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앞으로도 민관이 협력하여 국민의 눈높이에서 국민과 현장 중심의 행정(‘정부 3.0’)을 구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소개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품 및 의약품의 안전에 관한 사무를 맡는 정부 부처이다. 충북 청원군 오송읍에 본부가 있다. 1998년 보건복지부 산하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 설립돼 2013년 박근혜 정부에 들어서면서 국무총리 산하의 독립 기관으로 승격했다. 정승 전 농림수산부 차관이 2013년부터 초대 처장을 맡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fds.go.kr/

연락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소비자위해예방정책과
김솔
043-719-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