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작년 하반기 아르바이트, ‘음식점 최다·평균 시급 증가’

서울--(뉴스와이어)--지난해 하반기 서울지역 내 아르바이트 최다 업종은 상반기에 이어 음식점이었고, 시급은 영업·마케팅 분야가 7,792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최다 구인지역은 강남구였으며 평균시급도 강남구가 5,997원으로 가장 높았다.

<서울시, 2013년 하반기 아르바이트 채용 공고 43만 6,151건 분석 결과 발표>

서울시와 알바천국, 한국노동사회연구소는 서울의 아르바이트 현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13년 7월부터 12월말까지 알바천국사이트(www.alba.co.kr)에 등록된 서울지역 아르바이트 채용공고 97개 업종 43만 6,151건에 대한 분석결과를 5일(수)발표했다.

<강남구 채용공고수/평균시급 1위, 강남 3개구(강남,서초,송파) 전체 공고 1/4 차지>

분석 결과 <채용공고 최다게재 지역>은 ‘강남구’로 6개월간 총 5만8,714건(13.5%)의 아르바이트 구인공고를 냈으며, 상반기 3위였던 서초구(3만311건, 6.9%)가 2위로, 2위였던 송파구(2만7,446건, 6.3%)가 3위로 자리를 맞바꿨다. 특히 1위~3위를 차지한 강남3구가 전체 25개 자치구 공고의 1/4이상인 26.7%를 차지했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다음으로 많은 곳은 △마포구(2만5,790건(5.9%)) △영등포구 (2만 3,227건(5.3%))였고, 채용공고수가 제일 적은 곳은 ‘도봉구’로 강남구의 1/9에도 못 미치는 6,184건(1.4%)이었다.

상반기 대비 자치구 순위는 약간의 변동이 있었으나, 1위(강남구)와 25위(도봉구)는 변함이 없었으며, 강남 3구의 채용공고를 더한 비율은 상반기(25.5%)에 비해 더 높아져 자치구별 격차가 컸다.

<모집연령 : 20세~24세가 전체 2/3 (82.1%) 이상으로 최다, 다음이 15세~19세>

<모집 연령>은 20~24세가 전체공고의 82.1%인 35만 8,246건으로 상반기(74%)에 비해 8.1% 늘었다. 다음이 15세~19세로 11.2%(4만 8,936건)이었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결과 아르바이트 모집연령대가 상반기와 동일하게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청년들이 상당수임이 드러남에 따라 근로계약이나 처우 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청(소)년 아르바이트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권리 보호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모집업종:‘음식점’15.6% 최다, 편의점 > 패스트푸드 > 일반주점 > PC방 順>

상위 20개 모집공고업종 총 55만 3,837건을 분석한 결과, 아르바이트생 <최다모집 업종>은 ‘음식점’으로 6개월 간 총 8만6,476건(15.6%)의 공고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 사업장에서 채용공고시 업종분류를 3개까지 복수선택가능) 그 뒤가 △편의점(8만3,483건, 15%) △패스트푸드(6만2,832건, 11%) △일반주점·호프(5만1,521건, 9%) △PC방(4만4,157건, 8%) △커피전문점(4만430건, 7%), △레스토랑(2만6,375건, 4%) △배달(2만4,962건, 4%)이 이었다. (※ 전체 97개 업종 중 채용공고 상위 20개 업종만을 기준(100%)으로 할 경우 비중(%))

특히 상위 5개 업종인 △음식점 △편의점 △패스트푸드 △일반주점·호프 △PC방 채용공고가 상위 20개 업종 전체공고수(55만 3,837건)의 절반이 넘는 59%, 32만8,469건이었다.

<모집연령 : 20세~24세가 전체 2/3 (82.1%) 이상으로 최다, 다음이 15세~19세>

<모집 연령>은 20~24세가 전체공고의 82.1%인 35만 8,246건으로 상반기(74%)에 비해 8.1% 늘었다. 다음이 15세~19세로 11.2%(4만 8,936건)이었다.

서울시는 이번 조사결과 아르바이트 모집연령대가 상반기와 동일하게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의 청년들이 상당수임이 드러남에 따라 근로계약이나 처우 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청(소)년 아르바이트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및 권리 보호 정책을 집중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모집업종:‘음식점’15.6% 최다, 편의점 > 패스트푸드 > 일반주점 > PC방 順>

상위 20개 모집공고업종 총 55만 3,837건을 분석한 결과, 아르바이트생 <최다모집 업종>은 ‘음식점’으로 6개월 간 총 8만6,476건(15.6%)의 공고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 사업장에서 채용공고시 업종분류를 3개까지 복수선택가능) 그 뒤가 △편의점(8만3,483건, 15%) △패스트푸드(6만2,832건, 11%) △일반주점·호프(5만1,521건, 9%) △PC방(4만4,157건, 8%) △커피전문점(4만430건, 7%), △레스토랑(2만6,375건, 4%) △배달(2만4,962건, 4%)이 이었다. (※ 전체 97개 업종 중 채용공고 상위 20개 업종만을 기준(100%)으로 할 경우 비중(%))

특히 상위 5개 업종인 △음식점 △편의점 △패스트푸드 △일반주점·호프 △PC방 채용공고가 상위 20개 업종 전체공고수(55만 3,837건)의 절반이 넘는 59%, 32만8,469건이었다.

서울시는 하반기 시급 상승은 고용노동부의 ‘최저임금법 위반 의심 구인광고 줄이기를 위한 업무 권고’에 따라 채용공고시 선택 가능한 항목인 ‘협의후 시급 결정’이 없어진 것을 그 이유로 꼽았다.

지난해 상반기 채용공고에서 시급을 공개하지 않은 공고(협의후 결정)는 전체 46%인 상당수를 차지했다.

<업종별 시급 : 공고 상위 20개 분석, 영업마케팅 7,792원·고객상담 7,076원으로 상위권>

공고수 상위 20개 업종별 시급을 살펴보면, ‘영업·마케팅’이 7,792원으로 가장 높았고 고객상담이 7,076원으로 2위, ‘뷔페·연회장’이 6,256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그 뒤는 배달(6,193원), 전단배포(5,928원), 일반주점·호프(5,878원)이 이었다.

채용공고수가 가장 많았던 음식점은 5,797원으로 공고수 상위 20개 업종 평균시급인 5,799원보다 2원 낮았다. 상반기에 시급 1위를 차지했던 아웃바운드TM은 공고수 상위 20개 업종에 들지못해 순위권에 없었지만 평균시급만으로는 비교적 높은 6,946원이었다.

<대학가 아르바이트 공고 분석, 공고수 1위 건대주변, 시급 5,738원으로 평균보다 85원 ↑>

마지막으로 전체 아르바이트 채용공고 중 대학가 대상 공고 15만6,237건을 따로 분석해 본 결과 건국대학교 주변에서 낸 공고가 2만5,016건(20.2%)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이 홍익대 주변(2만1,122건, 17.1%), 동국대 주변(1만 3,946건, 11.3%), 서울교육대 주변(1만3,628건, 11.0%) 순이었다.

대학가 아르바이트 평균시급은 5,738원으로 서울전체 평균시급 5,653원보다 85원 높았고, 평균시급이 가장 높은 대학가는 성균관대학교 6,353원, 다음이 건국대학교 5,869원, 동국대학교 5,855원이었다.

<아르바이트 대다수 차지하는 청년 권익보호정책 추진위해 지역·시민사회와 힘보태>

서울시는 알바천국·한국노동사회연구소와 협력하여 반기별 ‘서울시 아르바이트 현황’을 분석·발표해 아르바이트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청년들이 적정한 임금과 대우를 받고 일할 수 있도록 자발적인 권익보호를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분석 결과를 아르바이트 청년 권리보호 및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실행지역 선정 자료로 활용하는 등 다각적인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쓰고,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집중적인 캠페인과 아르바이트 청년 무료건강검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2014년 최저임금인 5,210원에 못미치는 4,860원~5,209원을 지급하는 사업장이 전체공고의 절반에 가까운 42.8%(186,828건)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사업장 모니터링도 꾸준히 해나갈 예정이다.

엄연숙 서울시 일자리정책과장은 “2013년에는 아르바이트 현황을 분석해 청년들의 권리보호를 위한 기반을 다지는 정책들을 실시”했다며 “올해는 아르바이트 청년들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기업, 시민사회, 사업주들과 함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정책들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소개
서울특별시청은 국제적인 도시이자 한국의 수도인 서울의 1천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이다. 서울시청은 2011년 10월부터 시민운동가 출신인 박원순 시장이 시정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 박원순 시장이 공약한 프로젝트는 집 걱정 없는 희망둥지 프로젝트, 밥과 등록금 걱정없는 배움터 프로젝트, 창조적이고 지속가능한 좋은 일자리 만들기, 전시성 토건사업 재검토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 기본이 바로선 도시와 안전한 도시시스템, 부채감축과 재정혁신을 통한 균형살림, 창조성과 상상력으로 서울경제 점프업, 소통 협력 참여 혁신으로 열린시정 2.0, 여성과 가족복지 등 여성 희망 프로젝트, 더불어 행복한 복지 우산 프로젝트이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경제진흥실
일자리정책과
송유리
02-2133-5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