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일본 해운업체의 안정적 성장 비결’

- 대량화물 대상의 장기계약운송업으로 ‘안정과 성장’ 실현

서울--(뉴스와이어)--개요 : 일본해운업체는 장기계약운송업에서 확보한 재무 안정성과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안정과 성장’을 동시에 실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해운 경기의 극심한 불황으로 많은 글로벌 해운업체들이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YK, MOL 등 일본 글로벌 해운업체는 실적 부진을 겪고 있지만 구조조정을 할 만한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지 않다. 2008년부터 2012년간의 재무 실적을 살펴보면, 일본업체는 최근 실적이 나빠지고 있으나 아직 영업적자 수준이 미미하고, 부채비율에 큰 변동이 없었다. 그 배경에는 정책적 뒷받침으로 형성된 전략물자인 대량화물을 대상으로 한 장기계약운송 사업이 있다.

일본해운업체의 장기계약운송 사업 현황 및 특징

△장기운송선박 보유 비중이 높다.

NYK(‘11년 3월 기준)는 3년 이상 장기수송계약선 비중이 VLCC(초대형 원유운반선) 85%, 케이프사이즈선 80%, 파나막스선 55%에 달한다. MOL(’12년 3월 기준)은 1년 이상 계약선 비중이 VLCC 74%, 케이프사이즈선 72%, 파나막스선 58%에 달한다.

△자국 무역화물을 자국 선사가 운송한 비율인 적취율(積取率)이 높다.

지난 20여년간 일본의 해상 수출입 물동량에서 자국선사가 수송하는 적취율은 55%~65% 수준에 이른다. (*비교: 우리나라 국내외항화물의 국적선사 적취율은 ‘09년 46.1%) 더욱이 전략물자 중 물동량이 많으면서, 수입의존도가 높은 3대 화물중 철광석, 석탄은 일본 선사의 적취율이 90%, 원유는 80% 수준에 달한다.

△높은 적취율, 높은 장기수송계약 비중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입 기반이 되고 있다.

일본선사의 총운임수입 중에서 자국화물 운송비중을 살펴보면, 전략물자 수송을 담당하는 부정기선과 유조선의 경우에 부정기선은 2012년 운임수입의 63%, 유조선은 78%를 자국화물 운송으로 확보하고 있다. 이에 비해 컨테이너선은 20% 수준에 불과하다.

장기계약운송 사업이 일본 해운업체에게 주는 긍정적 효과

첫째, 화주와 선사를 비롯, 정부 및 조선소 등 자국 기관간에 공생적 생태계가 형성되면서 선사는 적은 리스크 부담으로 선박을 확충할 수 있다.

화주는 장기적화보증을 해주고, 이를 기초로 선사는 전용선을 건조할 수 있게 되어 거의 부담없이 선박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에 화주와 관계가 있는 조선소는 선박을 건조하는 등 관련 업체간에 공생적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업체간의 의견 조정 역할과 정책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행하고 있다.

둘째, 선사 선정에 지명입찰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외국 선사는 시장 진입을 제한받는 반면에 일본 선사는 장기계약운송업을 유지하는 게 가능하다.

화주는 자사에 등록된 선사들에게만 입찰 참여 기회를 주는 지명입찰계약 방식을 채택하여 자국 선사에게만 입찰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등 선사 통제력을 강화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일본 선사들은 화주와의 사업 지속이 가능해진 반면에 일본의 전략화물운송 시장에 외국선사의 진입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셋째, 일본업체는 장기계약운송업을 통해 재무 안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현재 일본 해운업체들은 경영계획에 장기계약운송업을 비롯해 안정된 이익을 실현하는 사업을 기반으로 한 이익 목표를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이런 사업을 NYK ‘운임 안정형 사업’, MOL은 ‘안정 이익 사업’이라 부르고 있다.

넷째, 장기계약수송업을 통해 획득한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외국 해상운송 시장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성장 전략 전개가 가능하다.

일본의 해상 수출입 물동량은 2000년부터 2012년 동안 연평균 0% 성장에 그쳤지만, 이 기간에 일본선사의 삼국간 수송량은 8%의 높은 성장을 보였다. (*참고로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우리나라 발전5사를 대상으로 일본선사가 맺은 장기수송계약은 총 18척, 총매출 20억 달러에 달함)

국내 해운업 발전을 위한 제언

첫째, 정부는 해운업 구조의 건전성을 제고하고 글로벌 시장 지배력을 확대하는 하나의 방편으로 국내 대량화물의 장기계약수송업을 기반으로 한 해운업 발전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국내 전략물자(대량화물) 운송에 대해서는 화주, 선사, 조선소, 정책금융기관 등의 호혜적 생태계 형성이 강구되어야 한다. 셋째, 해운업체는 우수한 서비스 제공하는 역량을 갖추어 화주와의 신뢰 형성과 거래 유지에 최선을 다하여 상생적 사업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위 자료는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의 주요 내용 중 일부 입니다. 언론보도 참고자료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hri.co.kr

연락처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연구본부
해운물류연구센터
이장균 수석연구위원
02-2072-6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