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빅데이터로 시민의 소리 듣다

광주--(뉴스와이어)--광주광역시(시장 강운태)는 전자민원과 120콜센터, SNS 등에서 접수한 민원을 분석해 시민 맞춤형 행정을 추진한다.

광주시는 지난 8년 동안 전자민원, 120콜센터(2009년 이후), SNS 등에 등록된 민원을 여러 항목으로 나눠 분석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시민의 소리 분석’ 용역을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 빅데이터 : 기존의 방법으로 처리가 어려운 대용량, 다양한 유형의 순환속도가 빠른 데이터 집합.

빅데이터 분석은 시간, 공간, 그 외 조건들의 변화에 따른 데이터 분포와 데이터 간의 상호관계를 다양한 관점으로 조망해 의미있는 패턴을 발견하는 과정
※ 전자민원 : 광주광역시 홈페이지(누리집)에서 접수한 민원

이번 용역은 민원의 원인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등 주요 시정 시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키 위해 빅데이터 전문기업에서 수행했으며, 분석 대상은 전자민원 7만건, 콜센터 75만건, SNS 등 민원 1500만 건이다.

용역 주요 내용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나타난 시민의 소리를 연도별, 부서별, 계절별 등으로 키워드 중심으로 민원의 빈도와 추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빅데이터 실시간 분석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를 보면 ▲전자민원은 2011년 이후 감소 추세이나, 교통과 행정민원, 환경에 관한 키워드가 높은 순위를 보였다. 자치구는 북구가 많았고, 인구 대비 비율은 광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름철과 월요일이 민원이 많았고, 특정인이 자동차 매연 신고를 500여 건 제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 교통 : 버스 안내정보, 불법 주정차 단속, 도로 및 구조물 파손 등
- 민원 : 공무원 불친절, 행정처리 지연 등
- 환경 : 쓰레기 방치, 공사·도로 소음, 자동차 매연 등

120 콜센터 민원도 전자민원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시간당 발생 민원은 오전이 42.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점심시간은 여권에 대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SNS 분석결과 ‘다음 아고라’ 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은 민원 데이터가 수집되었으며, 블로그, 뉴스사이트 순이었다.

광주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민의 행복 증진을 위해 관련 부서와 민원의 원인과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적극 발굴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이번 시민의 소리 분석 용역은 빅데이터 정보 기술을 활용해 민원을 유형별로 분석한 첫 사례로 의미가 있고, 시민 주권시대 실현을 앞당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빅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통합 민원분석시스템을 마련하고 시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서비스를 개선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청 소개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0년부터 강운태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오고 있다. 강운태 시장은 행복한 창조도시 광주를 만들겠다는 시정 목표 아래 전국 지자체 최초로 매주‘시민과의 만남의 날’ 운영으로 소통행정 실현해오고 있다. 광주시의 3대 시정 방향은 민주 인권 평화도시, 인본 문화 예술 도시, 첨단과학산업도시 건설이다. 의병활동,학생동립운동,5·18민주화 운동을 소중한 자산으로 활용해 UN인권 도시 지정을 추진 중이며, 5조3천억원을 투자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또한 소상공인 지원을 확대하고 광주R&D특구 지정을 계기로 첨단과학산업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wangju.go.kr

연락처

광주광역시
정보화담당관실
행정정보담당 김성민
062-613-2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