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인권정책’ 지자체 벤치마킹 줄이어

광주--(뉴스와이어)--서울시와 부산시 등 전국 지자체들이 광주광역시(시장 강운태)의 인권정책을 배워가는데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지난 달 26일 김태명 인권담당관이 광주시청 인권담당관실을 찾아 ‘인권헌장’ 제정 과정 등을 꼼꼼히 조사해 갔다.

서울시가 광주시청을 찾은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서울시는 또 두 차례에 걸쳐 광주시청 인권 관계자를 초청, 사례발표를 진행했다.

서울시는 그동안 광주시의 인권정책을 본보기로 삼아 인권교육, 인권도시 조성사업 등 각종 인권정책을 추진 중이다.

올해 인권헌장 제정을 추진중인 서울시는 광주시의 인권헌장 제정 과정에 주목하고 있다. 시민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민주적 절차를 이행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인데, 광주시는 40여회에 걸친 공청회와 간담회를 비롯해 우편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시민들의 공감대를 이끌어 낸 바 있다.

부산과 울산, 경남지역의 벤치마킹도 이어졌다. 부산시, 울산시 동구와 북구는 이경률 인권담당관을 초청해 특강을 받은데 이어 관련부서에서 광주시를 방문, 인권정책을 꼼꼼하게 벤치마킹했다.

경남도도 지난 1월 광주시청을 방문해 시민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배워가는 등 최근에만 전국의 10개 자치단체에서 광주시의 인권정책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민선5기 강운태 시장의 공약사업으로 시작된 광주시 인권정책은 전국 최초로 인권담당관실을 설치해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인권헌장, 100대 인권지표, 인권옴브즈맨 등 3대 제도가 정착됐고, 해마다 국제인권도시 네트워크 행사를 개최하는 등 UN 인권도시로서 기반이 구축된 상태다.

특히, 오는 5월에는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UN인권이사회 자문위원회를 개최해 광주의 우수사례를 지방정부의 인권보고서에 실을 예정이다. 이어 9월에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제27차 UN인권 이사회를 통해 ‘광주 인권도시 원칙’이 안건으로 채택되도록 추진 중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4년차를 맞은 광주시의 인권정책이 결실을 맺으면서 전국에서 인권헌장과 인권교육, 인권옴브즈맨 등을 벤치마킹하려는 방문단이 늘고 있다”라며 “지자체마다 복잡하고 어려운 인권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온 광주시를 본보기 삼아 민선6기에 그대로 따라가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라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청 소개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0년부터 강운태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오고 있다. 강운태 시장은 행복한 창조도시 광주를 만들겠다는 시정 목표 아래 전국 지자체 최초로 매주‘시민과의 만남의 날’ 운영으로 소통행정 실현해오고 있다. 광주시의 3대 시정 방향은 민주 인권 평화도시, 인본 문화 예술 도시, 첨단과학산업도시 건설이다. 의병활동,학생동립운동,5·18민주화 운동을 소중한 자산으로 활용해 UN인권 도시 지정을 추진 중이며, 5조3천억원을 투자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또한 소상공인 지원을 확대하고 광주R&D특구 지정을 계기로 첨단과학산업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wangju.go.kr

연락처

광주광역시
인권담당관실
민주인권정책담당 이치선
062-613-2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