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유일 AI 감염없는 경북, 방심은 금물

대구--(뉴스와이어)--경상북도는 AI발생 50일째인 3월 6일 현재 AI가 발생하지 않은 유일한 청정지역이다. (강원도의 경우 철새분변에서 고병원성AI 감염이 확인)

이는 경북이 그동안 추진해 온 선제적인 차단방역이 주효했기 때문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경북도는 최근 수평전파의 발생경향, 예방적살처분 가축 AI양성 검출율(38.9%)이 높은 점 등 AI 바이러스 유입기회가 더욱 높아졌고

AI 미발생 청정지역으로 타도의 종계·종오리 사육농가에서 보유종축 피난처로 인식하고 있어 안심 단계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방역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도는 타도에서 입식되는 종란·종계 및 종오리·병아리에 대해 보다 철저한 계획아래 관리한다.

우선 타도로부터 입식을 계획 중인 농가들은 입식 한달 전에 입식계획서를 시군에 제출하고 입식계획에 따라 입식 전 사전검사확인·입식 후 임상관찰, 수송차량 소독, 역학관련여부 등을 철저하게 관리한다.

특히 도내 부화장 및 종계장에서 타지역 종란 입란자제와 종란 반출시 소독철저, 운반차량에 대해 특별한 관리를 주문했다.

또한, AI발생지와 역학적으로 관련된 농가에 대해서는 방역관이 하루에 한번이상 임상관찰을 실시하는 등 청정지역 사수를 위한 가능한 모든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그동안 경상북도 AI발생 다음날인 1월 17일 경계단계 격상에 따른 대책본부 개편, 도경계지역 통제초소설치, 24시간 비상체계 유지 등 비발생지역임에도 발생지역 이상으로 차단방역시스템을 발 빠르게 가동했다.

현재까지 연인원 30,345명을 동원해 농가예찰 136,436호, 철새도래지 등 예찰 2,313회, 가금농가 및 도축장·재래시장·사료·축분시설 등 축산관련시설 소독 49,587회, 이동통제초소 40개소에서 축산관련 차량 11,228대를 소독했다.

또한 김관용 도지사를 비롯한 간부공무원이 이동통제초소·가금사육농가·계란집하장 등 방역현장을 직접 방문 관계자 격려와 더불어 차단방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차단방역에 전 행정력을 집중해 현재까지 AI바이러스 도내 유입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었다.

주낙영 행정부지사는 “지금까지 농가단위 차단방역, 유관기관의 협조와 효율적인 차단방역시스템운영으로 AI바이러스 도내유입을 막아내고 있지만 최근 전국 AI발생동향과 가금류 사육여건으로 볼 때 지금이 차단방역의 긴장감을 더욱 높여야 할 때이다. 발생 50일의 피로 누적과 비발생의 안도감으로 차단방역에 대한 작은 소홀함이 큰 재앙을 불러 올 수 있다.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조금만 더 힘을 내서 이 어려운 시기를 지혜롭게 극복해 나갈 것”을 당부했다.

경상북도청 소개
경상북도청은 272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6년7월부터 시민의 선거를 통해 당선된 김관용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경상북도는 한국경제의 밝은 누구나 찾아 오고, 일하고 싶고, 일자리가 있는 경북을 만들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히는 일류 자치단체가 되겠다는 도민들의 의지를 민선 5기 도정의 구호로 삼고 있다. 특히 세계화 ·지방화 시대에 부응하여 전국 자치단체중 처음으로 우리 도주관으로 동북아지역자치단체 연합(NEAR)을 창설하고, 세계의 주요 자치단체와 자매결연을 맺는 등 능동적인 자치외교활동과 교류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수출 유망지역에 통상주재관을 파견하고 해외시장 개척 활동으로 수출선을 다변화 하는 등 활발한 통상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yeongbuk.go.kr

연락처

경상북도청
농축산국
축산경영과
조광현
053-950-2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