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맞춤형 친환경농자재 사업에 30억원 지원

대구--(뉴스와이어)--경상북도는 친환경 농업 확산과 농업 환경 개선을 위해 ‘맞춤형 친환경농자재 지원사업’에 금년도 30억원 등 2020년까지 25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맞춤형 친환경농자재 지원사업’은 토양의 개량 및 비옥도 유지, 작물생육 관리, 병해충 관리 등 농업 전반적인 분야에 환경친화형 농업자재를 보급해 친환경농업 육성 및 농업환경 개선을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국비사업인 병해충관리 농자재 지원과 연계 토양개량 및 작물생육관리 농자재까지 포괄적으로 지원하고 농가에서 직접 친환경농자재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차별화된 영농기술 배양 및 사업 효율성 향상이 기대된다.

지원대상은 저농약 농산물이상 인증을 받은 농업인, 영농조합법인, 작목반 등이다. 2016년 저농약 인증제 폐지에 대비해 무농약 인증 전환을 유도하기 위해 농지별로 3년간 지원한다.

지원품목은 천적, 미생물제제 등 농촌진흥청이 친환경유기농자재로 공시하는 품목이면 모두 가능하며, 농가당 2ha의 범위 내에서 품목별로 2백만원 ~ 천 3백만원/ha 까지 지원한다.

경상북도가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본 사업은 특정 농자재를 지원하는 기존 사업과는 달리 지역별·작목별 등 다양한 농업 환경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자재를 공급함으로써 지역 맞춤형 친환경 농업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2013년 말 현재 경북도내 무농약 이상 농산물 인증 현황은 8,558ha에 9,996호로, 2005년에 비해 인증면적이 2.9배(192%, 연평균 24%), 인증농가는 2.4배(139%, 연평균 20%) 증가하는 등 친환경농업의 질적, 양적 성장을 견인했다.

김준식 경상북도 친환경농업과장은 “최근 FTA 확대로 인해 농산물의 시장개방이 가속화되고 있고, 세계유기농산물의 시장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실용적인 맞춤형 친환경농자재 공급을 통해 친환경농산물 생산기반을 조성하고 안전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먹거리를 생산해 친환경로컬푸드 시스템을 정착시켜 시장 개방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경상북도청 소개
경상북도청은 272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6년7월부터 시민의 선거를 통해 당선된 김관용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경상북도는 한국경제의 밝은 누구나 찾아 오고, 일하고 싶고, 일자리가 있는 경북을 만들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히는 일류 자치단체가 되겠다는 도민들의 의지를 민선 5기 도정의 구호로 삼고 있다. 특히 세계화 ·지방화 시대에 부응하여 전국 자치단체중 처음으로 우리 도주관으로 동북아지역자치단체 연합(NEAR)을 창설하고, 세계의 주요 자치단체와 자매결연을 맺는 등 능동적인 자치외교활동과 교류협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수출 유망지역에 통상주재관을 파견하고 해외시장 개척 활동으로 수출선을 다변화 하는 등 활발한 통상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yeongbuk.go.kr

연락처

경상북도청
농축산국
친환경농업과
안영식
053-950-3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