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기록원, 3월 이달의 기록 ‘71년, 장거리 자동전화(DDD) 시대 개막’

서울--(뉴스와이어)--현재, 우리나라의 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약 5천 5백만 명으로 국민 1인당 한 대 이상의 이동전화를 사용하고 있다. 1960~70년대만 하더라도 전화는 한 대로 온 마을 사람들이 다 함께 사용했던 ‘귀한 물건‘이었고, 교환원이 상대방을 연결해 줄때까지 기다려야 했던 ’느린 기계‘이었다. 이후 통신시설의 확충과 전화자동화 등의 기술 진전으로 1가구 1전화 시대를 거쳐 1인 1전화 시대에 이르고 있다.

안전행정부 국가기록원은 서울~부산 간 장거리 자동전화(DDD, Direct Distance Dialing) 개통일(‘71.3.31)을 맞아, 3월 ‘이달의 기록’ 주제를 ‘장거리 자동전화(DDD) 시대가 열리다!’로 정하고 관련 기록물을 3월 26일(수)부터 홈페이지(www.archives.go.kr)를 통해 서비스한다.

이번에 소개되는 기록물은 동영상 20건, 사진 13건 등 총 33건으로, 1950~80년대 통신시설의 확충, 전화자동화 과정 등을 담고 있다.

1950년대에는 6.25전쟁으로 훼손된 통신시설을 복구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였다.

통신망을 복구하고 근대식 통신시설로 바꾸기 위해 외국 기술자를 초청하기도 했다. 그 결과, 서울 중앙전화국 서국은 자동식 8천 5백 회선을, 대전전화국은 공전식 3천 회선을 복구·개설했다.

1960~70년대에는 경제 성장, 소득 증대에 따라 전화 수요가 급증하면서 통신시설이 확장되었고, 통화 제도 및 방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서울 광화문·동대문·성북·신촌, 부산 초량의 새 회선 개통, 영등포·인천의 자동전화 개통 등 통신시설이 대폭 확충되었다. 특히 지금은 볼 수 없는 전화교환원이 수동으로 전화를 연결하는 모습이 이채롭다.

또한 전국적으로 전화 수요가 늘면서 전화도수제가 도입되고 시외통화 번호가 변경되었다. 아울러, 폭증하는 시외전화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 시외통화를 장거리 자동전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즉, 1971년 서울~부산 간 장거리 자동전화 방식이 개통되면서 전국 전화자동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 전화도수제 : 발신 통화 횟수에 따라 요금 부과

1980년대에는 농촌까지도 전화 자동화와 통화권 광역화가 이루어지고, 1천만 전화 회선이 공급되어 1가구 1전화 시대를 맞는 등 통신 선진국으로 발돋움했다.

시외전화 자동화는 1971년 서울~부산 간 DDD 개통을 시작으로 1987년 전국으로 확대·완료되고, 전화가입 회선도 1천만이 넘어서는 등 전화는 생활필수품으로 대중화되었다.

추경균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부장은 “전화의 변천 모습을 담은 옛 기록을 통해, 통신강국으로 성장해 온 과정을 살펴보았으면 한다”고 밝혔다.

안전행정부 소개
전자정부 운영, 민생치안, 재해 재난 관리, 건전한 지방자치제도 개선 및 지방재정 확립, 선거 국민투표, 공무원의 인사 및 복지, 행정조직의 관리 등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내무부에서 행정자치부, 행정안전부, 안전행정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정부청사관리소, 국가기록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지방행정연수원, 이북5도위원회, 경찰위원회 등이 있다. 김포시장, 3선 의원 출신인 유정복 장관이 2013년부터 안전행정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spa.go.kr

연락처

국가기록원
기록편찬문화과
김영지 주무관
042-481-6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