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중소형 폐가전 제품 버릴 때도 분리배출·문전배출’

대구--(뉴스와이어)--대구시(시장 김범일)는 대형 폐가전 무상방문 수거제의 정착과 더불어 중·소형 가전제품을 버릴 때에도 눈치볼 것 없이 당당하게 분리배출 할 수 있도록 대시민 홍보를 실시한다.

< 대형·중소형 가전제품 분리 배출 >

대구시는 2013년 4월부터 시행한 대형 폐가전 무상방문 수거제를 통해 12월까지 17,600여 대를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는 2012년 1년 동안 2,300여 대가 처리된 상황과 비교해 보면 매우 놀랄만한 성과이다.

대형 폐가전 무상방문 수거제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러닝머신 등과 같이 1m가 넘거나, 아주 무거운 가전제품을 1599-0903 전화 한 통화로 배출신청을 하고,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에서 배출하는 제도라 시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가 있다.

반면, 가스레인지, 청소기, 선풍기 등 시민들 스스로가 이동시킬 수 있는 폐가전 제품은 시민들이 무상 분리 배출되고 있는 제도를 몰라서 아파트 관리실이나 이웃의 눈치를 보면서 쉽게 버리지 못할 때가 있다.

또한, 일부 아파트에서는 선풍기, 프린터와 같은 중형 폐가전을 버릴 때 소액의 폐기물 배출수수료를 납부하고, 버리도록 안내하는 경우가 있어 주민들과의 마찰이 발생한 경우도 있다.

대구시는 2013년 4월부터 대형, 중·소형 폐가전 제품 무상수거를 대구시 전역에 시행하고 있으며, 중·소형 가전은 전용분리 수거함에 배출하거나, 플라스틱류, 유리병류와 같이 분리배출 품목을 버릴 때 함께 배출하면 된다.

<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목표관리제 >

2014년부터 정부에서는 EU수준의 재활용률을 달성하기 위한 폐전기·전자제품 재활용 목표관리제를 시행하고, 기존 10종의 재활용의무 대상품목에 17개 품목을 추가하여 총 27개 품목을 회수·인계·재활용의무 대상 전기·전자제품으로 지정하였다.

또한, 폐가전 제품의 재활용 목표량을 2014년 3.9kg/인, 2018년 6.0kg/인으로 설정하고,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거체계가 미비한 중·소형 폐전자 제품에도 수거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중소형 폐전자 제품의 수거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일환으로 환경부에서는 오는 5월부터 6개월간 대구시 서구, 남구, 수성구의 8,400여 세대를 대상으로 중소형 가전 분리 배출함을 80여 개 배포하고, 배출량을 수시 파악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구·군,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를 통해 회수되는 폐가전 제품은 가까운 리사이클링센터(재생하여 이용하는 곳)를 통해 90% 이상이 재활용 가능한 자원으로 재탄생된다.

또한, 컴프레서, 전자회로기판, 금속 등 유가성 자원만 회수하고, 처리대책 없이 쌓아두는 불법영업 형태나, 나대지, 공한지에 불법 투기하는 폐가전 제품이 근절될 수 있도록 단속 또한 강화할 예정이다.

< 재활용 가능한 자원이 훨씬 더 많다>

우리 생활주변에는 버려야 할 자원보다는 다시 재활용할 수 있거나, 재이용할 수 있는 자원이 더 많다. 버리기 전에 재이용할 수 있도록 나눔장터, 재활용센터에 기부, 판매하는 친환경적인 생활문화가 좀 더 널리 확산되도록 입소문을 내주어야 할 것이다.

폐가전 제품 분리 배출에는 선도적인 도시로 손꼽히는 대구 시민의 친환경적인 생활 면모를 보여주기 위해 대형 폐가전 제품은 전화 1599-0903으로, 중·소형 가전은 꼭 분리배출을 실천하여 재활용과 안전한 처리를 먼저 생각하는 도시를 함께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대구시 김부섭 환경녹지국장은 “대형 폐가전 제품 무상방문 수거제와 중소형 가전제품 분리배출 시범사업이 대구 지역에서 우선적으로 시행되고 있다”라며 “환경도시 대구를 위해 재활용 가능 자원의 분리 배출에 많은 시민의 적극적인 실천”을 당부했다.

웹사이트: http://www.daegu.go.kr

연락처

대구광역시
자원순환과
변명희
053-803-4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