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단법인 현대사기록연구원, 6·3민주화운동 50주년 기념 학술대회 개최
표면상 민주화되었다는 우리의 현실은 어떠한가? 정치의 일차적 기능이 사회의 갈등을 조정하고 협력을 이끌어내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여야, 진보·보수, 세대, 지역 갈등에 이어 이제는 빈부격차로 인한 갈등도 심화되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한일관계는 어떠한가? 굴욕적인 한일협정 체결로 일제 식민시대의 수많은 미해결 과제들이 방치됐을 뿐 아니라 일본의 과거사 왜곡과 침략의 정당화 그리고 영토 야욕에 부당한 구실을 제공해왔다.
6·3세대로서 사회적 갈등 해소는 물론, 21세기의 선린우호하는 한일관계, 그리고 더 나아가 동아시아 평화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2014년 5월
6.3민주화운동 50주년 기념 학술회의 준비위원 일동
6·3민주화운동 50주년 기념 학술회의 6·3민주화운동의 회고와 향후과제
주최 : 6·3민주화운동50주년기념학술대회 준비위원회
주관 : (사)현대사기록연구원
후원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3동지회
일시 : 2014년 5월 27일(화) 오후 2시
장소 : 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
사회 : 진민자 (민화협 여성위원장)
국민의례 (2:00~2:05 pm)
경과보고 및 인사말 : 송철원(현대사기록연구원장) (2:05~2:15 pm)
축사 : 이홍구(전 국무총리) (2:15~2:25 pm)
축사 : 김원기(전 국회의장) (2:25~2:35 pm)
기조발제 - 6·3운동은 오늘, 65년 체제를 혁파할 수 있을까? 김도현(전 문체부 차관) (2:35~2:50 pm)
학술회의 사회 : 윤영오(국민대)
제1회의 - 6·3운동과 한국의 민족주의-민주주의(2:50~3:30 pm)
발표 : 서진영(고려대) / 토론 : 박명림(연세대), 최희조(세종대)
제2회의 - 6·3운동과 한일관계 및 동아시아 국제정세(3:30~4:50 pm)
발표1 : 1965년 한일협정 심층연구를 위한 제언 이태진(서울대)
토 론 : 김창록(경북대), 박진희(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
발표2 : 국제정치학도가 본 6.3운동 민병석(전 체코대사)
토 론 : 박태균(서울대), 홍현익(세종연구소)
휴식 (4:50~5:00 pm)
제3회의 - 6·3운동이 오늘에 던지는 의미(5:00~6:00 pm)
발표 : 이부영(한일협정 재협상 국민행동 상임대표)
토론 : 김형준(명지대), 이종범(조선대), 이하경(중앙일보 논설주간)
사단법인 현대사기록연구원 소개
사단법인 현대사기록연구원은 한국 현대사 관련 기록의 발굴 및 보존 사업으로 관련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며, 기록 소실과 당사자 사망으로 인한 유무형 기록 유실을 방지하고 기록의 중요성 및 의의에 대한 국민들의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자 한다. 한국현대사 관련 주요 기록의 소재처 파악 및 발굴하고 있으며, 한국현대사 주요 기록의 수집 및 관련자의 구술기록 채록, 수집 기록의 정리 및 보관, 제공, 수집 기록의 자료집 발간, 학술회의 및 전시회 개최, 수집 기록의 역사편찬 및 컨텐츠 개발, 기록 관련 간행물 발간, 기타 현대사 기록 보존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연락처
사단법인 현대사기록연구원
송철원 이사장
010-7762-0063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사단법인 현대사기록연구원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