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중요민속문화재 지정
지정된 문화재구역 일곽에는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서벽 고택(棲碧 古宅), 사남 고택(泗南 古宅)이 차례로 자리하고 있다. 종택은 고려 개국공신 신숭겸(申崇謙)의 27세손 신한태(申漢泰, 1663~1719년)가 1705년경 이곳으로 입향(入鄕)하여 건립하였다. 건립한 이후 종택을 중심으로 종법적 질서 규범에 따라 서쪽으로 서벽·사남 고택이 차례로 자리한 배치유형을 통해, 한국 전통마을 고유의 공간 구성 체계와 분가할 때 터를 잡는 방법을 살필 수 있다.
종택은 사대부가로서 갖추어야 할 건축적 격식을 고루 갖추고, 사랑 공간의 확대 양상인 별채, 영정각, 서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 가옥의 건축 평면은 지역적 특성과 각각 나름의 독자성을 지니고 있다. 또 대지의 형상에 따른 건축구조 수법과 지붕 구성 방법도 지역의 건축특성을 잘 보여준다.
아울러 물촌 신종위(勿村 申從胃, 1501∼1583년) 영정, 사남문집, 시헌서 등의 기탁 유물은 조선 시대 예학과 사회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이 체계적으로 정비·보존되고, 역사·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적극적으로 협력·지원할 계획이다.
문화재청 소개
문화재청은 문화재의 관리, 보호, 지정 등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한 문화체육관광부의 외청이다. 대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관, 문화재정책국, 문화재보존국, 문화재활용국으로 구성돼 있다. 소속기관으로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립고궁박물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현충사관리소, 세종대왕유적관리소, 경복궁관리소, 창덕궁관리소, 창경궁관리소, 덕수궁관리소, 종묘관리소, 조선왕릉관리소, 국립무형유산원 등이 있다. 한국 박물관 학회 이사를 역임하신 나선화 청장이 2013년 12월부터 문화재청을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cha.go.kr/
연락처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이세훈 주무관
042-481-48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