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국악인턴제’ 지자체 최초 운영…15명 선발
국악인턴제란, 국악 관련 문화예술단체에 국악분야 전공자·실무경력자가 인턴으로 활동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인턴으로 선발되면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공연기획 및 제작에 참여하거나 홍보, 마케팅 등의 업무에 전문성을 접목해 활동하게 된다.
이번 사업은 서울시가 지난 3월 발표한 ‘서울시 국악발전 종합계획’의 하나로, 국악 발전을 위해서는 훌륭한 공연예술가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양질의 국악 콘텐츠를 기획·발굴하고 대중 확산을 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수요에 따라 도입했다.
또, 참여자 개인은 국악·전통무용 등의 주 전공인 실기 이외에도 국악분야 기획이나 현장 실무를 경험함으로써 자신의 적성을 모색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악인턴제’ 사업은 (사)한국국악협회 주관으로, 15개 문화예술단체에 인턴 1명씩, 총 15명의 국악인턴을 모집해 7월 14일부터 6개월간 운영된다. 향후 사업성과에 따라 참여 기간 및 인원을 점증적으로 확대할 계획.
연령층 또한 청년층 위주로 운영되는 기존 인턴사업과 달리 40세까지 확대하고 비전공자(관련분야 경력자)도 참여할 수 있도록 사업 참여의 폭을 넓혔다.
이와 관련해 시는 사업에 참여할 단체 및 인턴을 순차적으로 모집한다.
먼저 참여 단체는 서울에 소재한 최근 3년 이내 전통공연 실적이 있는 비영리단체가 대상이며, 신청기간은 6월 17일(화)~24일(화)까지다.
참가신청서와 함께 인턴 채용조건 및 활용계획서를 반드시 작성해 함께 제출해야 한다. 재능기부 등 공익적인 공연실적이 많거나 전문예술법인으로 지정된 단체를 우선해 선정한다.
참여 단체 선정이 완료되면 선정결과 공개 후 6월 30일(월)~7월 7일(월)까지 국악인턴을 모집한다. 이는 인턴 지원자가 자신이 근무하고 싶은 단체를 신청서에 기재해 제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미스매칭을 최소화해 사업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
국악인턴 참가자격은 서울에 거주하는 40세 이하(1974. 1월 1일 이후 출생)의 국악분야 전공 졸업생 또는 관련분야 실무경력자다.
인턴으로 선발되면 매칭된 문화예술단체에서 6개월간 근무하게 되며, 첫 근무는 7월 14일(월)이다. 서울시가 6개월간 100만원을 지원하고 해당단체에게는 4대보험 가입을 의무화했다.
국악인턴 운영에 참여를 원하는 단체와 인턴 희망자는 (사)한국국악협회에 방문 또는 이메일( kotma@hanmail.net)로 신청하면 되며, 자세한 사항은 (사)한국국악협회 홈페이지(http://www.kukakhyuphoe.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타 문의사항은 (사)한국국악협회(02-744-8051)로 문의하면 된다.
이상국 서울시 문화예술과장은 “국악인턴사업은 서울의 국악인재들에게 현장을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국악 산업의 자생력과 창작역량도 강화하고자 도입하게 됐다”며, “지속적인 국악 지원·육성을 통해 서울을 전통문화로 즐거운 도시로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서울특별시청 소개
서울특별시청은 국제적인 도시이자 한국의 수도인 서울의 1천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이다. 서울시청은 2011년 10월부터 시민운동가 출신인 박원순 시장이 시정을 맡아 운영하고 있다. 박원순 시장이 공약한 프로젝트는 집 걱정 없는 희망둥지 프로젝트, 밥과 등록금 걱정없는 배움터 프로젝트, 창조적이고 지속가능한 좋은 일자리 만들기, 전시성 토건사업 재검토와 지속가능한 생태도시, 기본이 바로선 도시와 안전한 도시시스템, 부채감축과 재정혁신을 통한 균형살림, 창조성과 상상력으로 서울경제 점프업, 소통 협력 참여 혁신으로 열린시정 2.0, 여성과 가족복지 등 여성 희망 프로젝트, 더불어 행복한 복지 우산 프로젝트이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문화관광디자인본부 문화예술과
신은주
02-2133-2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