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63%, 한반도 남북통일 ‘희망적’
- 6.25 전쟁 64주년을 맞아 외국인 관광객 311명 대상 남북통일 조사 결과 발표
- 통일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남한의 경제 및 국방력’, 높지 않은 이유는 ‘북한 도발’을 꼽아
그러나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통일 대박론’을 내세우며 통일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의지를 대내외에 알리고 통일의 국부 창출 효과를 확실히 부각시키겠다 발표해 통일에 대한 희망이 가까워졌으며 이에 대한 노력들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적극 추진되고 있다.
이에 외국인 관광 전문 여행사 코스모진(대표 정명진, www.cosmojin.com)에서 운영하고 있는 국내 최초의 외국인 설문조사 기관 ‘코스모진 관광 R&D 연구소’는 호국보훈의 달과 다가오는 6.25전쟁 64주년을 맞아 지난 13일부터 22일까지 외국인 관광객 311명을 대상으로 남북통일에 대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외국인 응답자 중 과반수 이상인 63%(196명)가 예상과 달리 남북통일 확률이 높다고 희망적으로 응답해 눈길을 끈다. 남북통일 확률이 ‘높지 않다’는 대답은 30%(92명), ‘잘 모르겠다’는 대답은 7%(23명)에 그쳤다.
이어 한국 남북통일의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56%(109명)가 남한의 경제력 및 국방력 때문이라 답했다. 다음으로는 국민들의 통일에 대한 염원 27%(52명), 지속적인 남북교류 14%(29명), 기타 3%(6명)의 순으로 응답했다.
이에 반해 한국 남북통일의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응답한 외국인 92명 중 63명(69%)은 북한 도발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다음으로는 경제·지적수준차이(24명, 26%), 통일비용부담(3명, 3%),기타(2명, 2%)의 순으로 대답했다. 이는 북한이 핵무기로 남한을 계속 위협하면서 수시로 도발을 일삼고 있어 전쟁에 대한 걱정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한국이 남북통일을 위해 걸리는 시간에 대해 묻는 질문에서는 20~30년이라고 응답한 외국인이 47%(145명)로 가장 높았으며 10~20년 33%(102명), 30년 이후 15%(46명)라 답했다. 5년 이내라고 대답한 외국인은 6%(18명)에 그쳤다.
마지막으로 외국인들의 시각에서 봤을 때 무엇 때문에 남북통일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지에 대해서도 물었다. 예상한 것과 같이 전쟁에 대한 불안감이 없어져야 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외국인들이 65%(201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제성장이 26%(82명), 이산가족상봉이 7%(21명), 외교발판 2%(7명)의 순으로 대답했다.
코스모진 관광 R&D 연구소 정명진 대표는 "아직도 남북이 전쟁 중이라는 사실을 체험하기 위해 비무장지대를 비롯한 통일공원, 전쟁기념관 등의 안보 관광지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해마다 눈에 띄게 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코스모진 관광 R&D 연구소는 올해 초 출범한 국내 최초의 외국인 전문 설문조사 기관으로, 외국인 관광객 의식 및 행태, 국내 관광 산업 분석 등을 실제 현장을 기반으로 생생하게 제공하여 관광 업계 관계자 및 유관 기관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cosmojin.com
연락처
코스모진
홍보회사 피알브릿지
송혜경 대리
02-783-6704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