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직종별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과천--(뉴스와이어)--‘14년 1분기에는 교육 및 자연과학·사회과학연구 관련직, 경영·회계·사무 관련직 등에서 구인·채용이 증가하고, 특히 중소 사업체의 고용이 증가하면서 전체 고용상황은 호전되었다.

그러나, 운전 및 운송관련직, 경영·회계·사무관련직 등의 직종은 여전히 인력충원에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제조업, 운수업에서도 인력충원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전반적인 인력부족현상은 완화되었지만, 경영·회계·사무관련직, 운전 및 운송관련직과 제조업, 운수업 등에서, 그리고 300인 미만 중소사업체에서 인력부족현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단기간의 채용계획을 보면, 제조업, 운수업, 도매 및 소매업에서 신규채용이 늘 것으로 보이며, 경영·회계·사무관련직, 운전 및 운송관련직 등의 고용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총괄) ‘14.1분기 구인인원은 전년동기대비 19.9%(129천명), 채용인원은 23.8%(132천명) 증가하여 각각 779천명, 689천명으로 나타났다.

(직종별 구인) 구인인원을 직종별로 보면, 교육 및 자연과학, 사회과학 연구 관련직(135천명), 경영·회계·사무 관련직(101천명), 경비 및 청소관련직(54천명), 영업 및 판매관련직(54천명)에서 많았고, 교육 및 자연과학, 사회과학 연구 관련직(130.7%),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34.7%), 경비 및 청소 관련직(27.6%) 등에서 전년 동기대비 구인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구인) 산업별로는 교육서비스업(154천명), 제조업(153천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93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6천명), 건설업(65천명) 순으로 구인이 많았고, 전년대비 구인증가율은 교육서비스업(138.6%), 부동산업 및 임대업(27.9%), 숙박 및 음식점업(18.4%) 등에서 높았다.

(규모별 구인)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규모 사업체는 643천명(전체의 82.6%), 300인 이상은 136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22.6%, 8.5% 증가하여 중소규모 사업체의 구인증가가 컸다.

(직종별 채용) 직종별 채용인원은 구인이 많았던 교육 및 자연과학, 사회과학 연구 관련직(132천명), 경영·회계·사무 관련직(91천명), 경비 및 청소 관련직(51천명), 건설 관련직(50천명) 순으로 많았고, 전년대비 채용증가율은 교육 및 자연과학, 사회과학 연구 관련직(131.1%), 법률, 경찰, 소방, 교도 관련직(36.4%),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35.0%) 순으로 높았다.

(산업별 채용) 산업별로는 교육서비스업(151천명), 제조업(119천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85천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0천명) 순으로 채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서비스업(139.0%), 부동산업 및 임대업(26.9%), 숙박 및 음식점업(23.1%) 등에서 증가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 채용)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300인 미만 사업체는 채용인원 560천명으로 전년동기대비 27.6% 증가하였고, 300인 이상에서는 129천명을 채용하여 전년동기대비 9.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구인과 마찬가지로 중소 사업체를 중심으로 채용이 크게 증가하였다.

(총괄) ’14.1분기동안 사업체에서 적극적으로 구인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채용하지 못한 미충원인원(90천명)은 전년동기(93천명)대비 3.5% 감소하였고, 미충원율도 11.5%로 전년동기(14.3%) 대비 2.8%p 하락하였다.

미충원인원이 감소한 것은 1분기 동안 채용인원의 증가폭이 구인인원의 증가폭보다 커서 상대적으로 충원하지 못한 인력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직종별 미충원 인원) 미충원 인원을 직종별로 보면, 운전 및 운송 관련직(16천명), 경영·회계·사무 관련직(10천명), 기계 관련직(9천명), 환경·인쇄·목재·가구·공예 및 생산단순직(8천명) 등에서 많았고, 미충원인원의 증가율은 교육 및 자연과학·사회과학연구 관련직(109.5%), 운전 및 운송 관련직(26.9%), 경비 및 청소 관련직(26.8%),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262%)에서 높았다.

(산업별 미충원 인원) 산업별로는 제조업(33천명), 운수업(15천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8천명) 순으로 미충원인원이 많았다.

(미충원 사유) 사업체에서 충원하지 못한 사유를 규모별로 보면, 300인 미만 규모에서는 ‘구직자가 기피하는 직종이기 때문’(24.9%),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21.4%)이 주된 이유로 나타났으며, 300인 이상에서는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학력·자격을 갖춘 지원자가 없기 때문’(24.3%),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24.2%) 등이 주된 이유로 나타났다.

직능수준이 높을수록 ‘사업체에서 요구하는 학력·자격을 갖춘 지원자가 없기 때문’, ‘경력을 갖춘 지원자가 없기 때문’이라는 비율이 높고, 직능수준이 낮을수록 ‘구직자가 기피하는 직종이기 때문’, ‘임금수준 등 근로조건이 구직자의 기대와 맞지 않기 때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미충원율) 미충원율을 직종별로 보면 운전 및 운송 관련직(35.0%), 재료 관련직(26.3%), 식품가공 관련직(22.9%), 기계 관련직(22.4%), 화학 관련직(21.1%) 등에서 높게 조사되었다.

(총괄) ’14.4.1. 현재, 사업체가 정상적인 경영 및 생산활동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인력(부족인원)은 259천명으로 전년동기(285천명)대비 27천명(9.4%) 감소하였다.

(직종별 부족인원) 부족인원을 직종별로 보면 경영·회계·사무 관련직(33천명), 운전 및 운송 관련직(31천명), 영업 및 판매 관련직(24천명), 기계 관련직(22천명) 등에서 많았고, 교육 및 자연과학, 사회과학 연구 관련직(29.2%), 경비 및 청소 관련직(21.2%), 관리직(15.9%), 금융, 보험 관련직(15.5%) 등에서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이 높았다.

(산업별 부족인원)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92천명), 운수업(29천명), 도매 및 소매업(24천명) 등에서 부족인원이 많았고, 교육 서비스업(43.6%), 숙박 및 음식점업(8.2%),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8.2%) 등에서 부족인원의 증가율이 높았다.

(규모별 부족인원) 300인 미만 규모 사업체 부족인원은 238천명(부족인원의 92.0%)으로 전년 동기대비 9.5% 감소하고, 300인 이상 사업체 부족인원은 21천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8.2% 감소하여 대규모 사업체의 부족인원이 더 작게 감소하였다.

(인력부족률) 인력부족률은 2.4%로 전년동기(2.9%)대비 0.5%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인력부족현상이 상당부분 완화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직종별로는 운전 및 운송 관련직(5.3%, 부족인원 31천명), 식품가공 관련직(4.3%, 부족인원 5천명), 음식서비스 관련직(4.1%, 부족인원 15천명) 순으로 인력부족률은 높았고, 산업별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5.0%, 부족인원 15천명), 운수업(4.9%, 부족인원 29천명), 제조업(3.0%, 부족인원 92천명)의 순으로 인력난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 규모 사업체의 인력부족률은 2.7%로 전년동기 대비 0.6%p 하락하였고, 300인 이상 규모 사업체는 1.0%로 0.1%p 하락하였다.

(채용계획인원 총괄) ‘14.2분기부터 ’14.3분기까지 향후 6개월 동안 채용계획인원은 285천명으로 전년동기(309천명, ’13.2/4~13.3/4.) 대비 7.8% 감소하였다.

(직종별 채용계획인원) 채용계획인원은 경영·회계·사무 관련직(33천명), 운전 및 운송관련직(33천명), 영업 및 판매관련직(28천명), 기계 관련직(23천명) 순으로 많았고, 미용, 숙박, 여행, 오락, 스포츠 관련직(26.3%), 음식서비스 관련직(14.6%), 교육 및 자연과학·사회과학연구 관련직(13.4%) 등에서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채용계획인원) 산업별로는 제조업(93천명), 운수업(30천명), 도매 및 소매업(24천명)의 순으로 많았고, 산업별 채용계획인원의 증가율은 교육서비스업(22.9%), 숙박 및 음식점업(17.6%), 부동산업 및 임대업(15.2%) 등에서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 소개
고용노동부는 고용정책의 총괄, 고용보험, 직업능력개발훈련, 고용평등과 일 가정의 양립 지원, 근로조건의 기준, 근로자 복지후생, 노사관계의 조정, 노사협력의 증진, 산업안전보건, 산업재해보상보험 등을 관장하는 정부부처이다. 조직은 장관과 차관 아래에 기획조정실, 고용정책실, 노사정책실이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6개 지방고용노동청, 40개 지청이 있다. 노사관계를 조정하는 중앙노동위원회, 12개 지방노동위원회와 최저임금위원회,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고용보험심사위원회가 있다. 산하기관으로 근로복지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고용정보원, 한국폴리텍대학,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등을 두고 있다.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조정실장 출신인 방하남 장관이 2013년부터 고용노동부를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고용노동부
노동시장분석과
권웅래 주무관
044-202-725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