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 실무에 강한 변리사 선발

대전--(뉴스와이어)--특허청(청장 김영민)은 지식재산 최고 전문가인 변리사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해 변리사 시험제도 개편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근 국내·외 지식재산 분쟁이 격화되는 추세에 따라, 분쟁 대응능력 등 실무역량을 갖춘 변리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특히 기업과 특허법인은 실무형 변리사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다. 한국지식재산학회에서 실시한 ‘변리사 시험제도 개선 설문조사‘(’13.9.)에 따르면 기업 종사자의 경우 변리사의 실무 능력 향상(37%)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그러나 우리나라 변리사 시험은 법령 등 이론 위주의 시험으로 변리사의 실무능력을 폭넓게 검증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독일, 영국 등 지식재산 선진국에서는 특허 실무, 특허명세서 작성 및 보정 등 실제 변리사가 수행하는 업무를 변리사 시험문제로 출제하여 실무능력이 뛰어난 변리사를 선발하는 것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또한, 19개에 달하는 변리사 제2차시험 선택과목에 대한 형평성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19개 과목 간 난이도 편차로 선택과목 ‘선택’이 시험 합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시험제도 개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특허청에서는 변리사의 실무역량 강화에 대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고, 시험의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 변리사 시험제도 개편을 추진한다.

주요 내용으로는 변리사 제2차시험의 특허법, 상표법 등 산업재산권 과목에 실무형 문제를 도입하여 변리사의 실무능력을 검증하고, 제2차시험 선택과목에 Pass/Fail제(일정 점수 이상 획득 여부만 확인하고 그 점수를 총점에 합산하지 않는 방식)를 도입하여 형평성을 제고하는 방안 등이다.

특허청은 이러한 변리사 시험제도 개선 방안에 대한 이해관계자 의견수렴을 위해 7월 1일(화) 오후 3시 서울 역삼동 한국지식재산센터 국제회의실에서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번 공청회는 변리사시험 주요 개선안 설명,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되며, 공청회에서 논의된 의견을 바탕으로 올해 하반기 시험제도 개선안을 담은 변리사법 시행령을 개정한다. 다만, 현재 변리사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의 기대이익 보호를 위해 개정 변리사 시험제도는 2018년 이후 시행될 예정이다.

권혁중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장은 “이번 시험제도 개편은 기업, 수험생 등의 개선 요구에 따라 추진하는 만큼 적극적인 의견 수렴을 통해 지식재산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합리적인 시험제도 개선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허청 소개
특허청은 특허와 실용 신안, 디자인(의장) 및 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 심판 사무를 수행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관, 산업재산정책국, 정보기획국, 고객협력국, 상표디자인심사국, 기계금속건설심사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전기전자심사국, 정보통신심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 특허심판원과 특허청서울사무소,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등이 있다. 특허청 차장 출신인 김영민 청장이 2013년부터 특허청을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po.go.kr

연락처

특허청
산업재산정책국
산업재산인력과
강윤석 사무관
042-481-518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