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사료 첨가용 고체 발효 생균제 제조법 소개
농촌진흥청이 일반 배합 사료에 미강 발효 생균제 1%를 혼합해 돼지에게 급여한 결과, 1일당 체중 증가량이 7.8% 늘어 무항생제 사료보다 7일 정도 출하 일령이 단축됐다.
원료 100kg에 물 35L와 미생물 배양액 1L를 넣고 골고루 섞는다. 원료는 미생물을 증식시킬 수 있는 배지로 농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미강, 밀기울 등 농업 부산물을 이용한다. 부산물을 구하기 힘들다면 일반 배합 사료를 사용해도 좋다.
미생물은 주로 유산균과 효모, 고초균을 이용하는데 세 가지를 모두 혼합하면 보다 질 좋은 생균제를 만들 수 있다. 2가지 균을 혼합할 경우에는 1:1 비율로, 2종 이상일 때는 동일 비율로 섞어주는 것이 좋다.
농업 부산물의 영양적 상태가 좋지 않을 경우 발효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때는 당밀(약 0.3L)을 넣어주면 된다.
적절히 배합된 고체 발효 생균제는 비닐 봉투 등을 이용해 밀봉한 뒤 25℃ 내외의 상온에서 약 3일 정도 발효시킨다. 제대로 발효된 생균제는 막걸리 냄새와 비슷한 알콜향을 풍긴다.
주의할 점은 미생물의 생균수(살아있는 균수)로 1.0×106∼8CFU/ml (약 1백만 마리∼1억 마리) 수준이 적당하다. 1.0×108CFU/ml 이상일 경우 미생물 함량이 높아 양질의 생균제를 만들 수 있다.
아울러, 고체 발효 생균제를 제조할 경우 다른 미생물이나 곰팡이가 혼합되지 않도록 주변을 청결히 해야 한다. 만약, 발효 중 곰팡이가 피거나 덩어리가 생기고 이상한 냄새가 나는 등 변질의 우려가 있으면 바로 폐기해야 한다.
농촌진흥청 양돈과 김조은 연구사는 “발효가 끝난 고체 발효 생균제는 일주일 안에 급여하고,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서늘한 곳이나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라며, “개봉 후에는 최대한 빨리 사용해야 하며, 열고 닫기를 반복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라고 당부했다.
농촌진흥청 소개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 계몽, 기술 보급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관이다. 1962년 농촌진흥법에 의거 설치 이후, 농업과학기술에 관한 연구 및 개발, 연구개발된 농업과학기술의 농가 보급, 비료·농약·농기계 등 농업자재의 품질관리, 전문농업인 육성과 농촌생활개선 지도 등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1970년대의 녹색혁명을 통한 식량자급, 1980년대는 백색혁명 등으로 국민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현재는 고부가가치 생명산업으로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한 이양호 청장이 농촌진흥청을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양돈과
김조은 연구사
041-580-3461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