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신기술·신산업 제품 조달 약자기업 지원 ‘성과’

대전--(뉴스와이어)--올해 상반기 공공조달시장에서 신성장 제품·서비스 조달이 활성화되고, 중소기업·여성기업·사회적 기업 등 경제적 약자기업 조달 비중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조달청(청장 민형종)은 ‘14년도 상반기 조달실적을 분석한 결과, 공공조달이 신기술 제품과 서비스 상품의 초기 수요·시장을 제공하고, 새로운 조달상품을 적극 발굴함으로써 창조경제 구현에 기여하고 있다고 7월 7일 밝혔다.

우선 기술개발제품 구매비중은 (‘13.6월) 11.6% → (’13말) 12.7% → (‘14.6월) 13.0%로, 우수조달물품 중 미래 유망산업 제품 비중은 (’13.6월) 7.7% → (‘13말) 12.0% → (’14.6월) 15.5%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상용 SW·빅데이터 분석·보험 등 서비스 상품과 3D프린터·바이오인식시스템 등 창의적 신제품을 중심으로 조달상품을 지속 개발하여 나라장터 품목 수도 (‘13.6월) 34.5만개 → (’13말) 36.6만개 → (‘14.6월) 37.1만개로 지속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을 비롯한 여성·장애인·사회적 기업 등으로부터 조달 실적도 고르게 증가하여 중소기업 희망 사다리 구축과 따뜻한 성장에도 일조하고 있다.

조달계약사업(구매+시설) 중 중소기업 지원 비중은 (‘13.6월) 62.9% → (’13말) 66.4% → (‘14.6월) 70.2%로 ’13년말 대비 3.8%p 상승하여 내수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의 숨통을 터 주었다.

여성기업 수주비중은 (‘13.6월) 5.7% → (’13말) 6.3% → (‘14.6월) 6.6%로 높아졌고, 같은 기간 장애인기업 제품 구매는 (‘13.6월) 1,382억원 → → (‘14.6월) 1,964억원으로, 사회적 제품 구매도 (‘13.6월) 201억원 → (‘14.6월) 362억원으로 증가하였다.

아울러, 조달청은 연초 업무계획과 제2기 조달행정 혁신방안에서 밝혔던 바와 같이 공공조달을 통해 경제혁신을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과제들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적제한 기준을 대폭 완화하여 중소기업의 공공조달시장 진입문턱을 완화하고, 다수공급자계약 2단계 경쟁 시 종합평가방식 확대, 우수조달물품 지정 시 신성장제품 가점 부여 등 기업의 기술·경쟁력을 견인하도록 조달제도를 개선하였다.

또한, 해외조달시장 진출 유망기업(PQ) 50개사를 추가 지정하고 전시회 및 시장개척단 파견을 통해 수출계약*을 성사시키는 등 경쟁력 있는 조달기업이 해외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였다.

마지막으로 규제개혁과 비정상 조달관행의 정상화 등도 일관되게 추진되고 있다.

규제성 불편·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우수조달물품 지정 시 인증평가를 기본항목 → 가점항목으로 전환하고, 납품검사 기준금액을 상향 조정하는 등 가구제품 납품검사 부담을 완화하였다.

담합방지를 위해 낙찰가능 상한액 투찰 시 자동 차단토록 하고, 대리입찰 자동차단 시스템을 개편하였다.

또한,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조달관련 물품구매, 공사설계, 서비스 계약 등에 있어서 안전관리를 대폭 강화하였다.

- 물품구매시 규격, 입찰참가자격 등 안전요건 확인을 강화
- 시설공사 초기 설계단계부터 공공건축물 안전성을 검토하고, 시공 및 사후관리 단계에서도 안전점검 강화
- 수학여행 등 조달청과 계약한 학교 밖 체험활동, 행사용역 등 서비스계약의 안전관리도 한층 강화

조달청 소개
공공기관이 필요로 하는 물자를 구매하고 시설공사의 경우, 계약을 관련 업체와 연결해줌으로써 공공기관의 사업 수행을 지원하는 정부기관이다. 기획재정부의 외청으로 대전 정부청사에 본부를 두고 있다. 2011년 기준 조달사업 규모는 총 35조원이다. 기획조정관, 전자조달국, 국제물자국, 구매사업국, 시설사업국 외에 11개의 지방청을 두고 있다. 조달청 차장 출신인 민형종 청장이 2013년부터 조달청을 이끌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pps.go.kr

연락처

조달청
기획재정담당관
전태원 서기관
070-4056-704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