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전래동화 속 생태 자원 스토리텔링 소재로 개발
이번에 이야기하기 소재로 개발한 생태 자원은 전래동화 119권에 수록된 448개 이야기에서 뽑아낸 것으로 모두 286종이다.
동물은 △수호신, 교활, 위험, 탐욕 등 다양한 얼굴을 가진 ‘호랑이’ △인간이 쉽게 감정 이입 할 수 있는 ‘원숭이’(사씨남정기) 등 총 129종이다.
식물은 △곧음, 청렴 또는 단단함과 갇힘을 상징(춘향전)하는 ‘대나무’ △시험과 시련(두꺼비 신랑), 꼭 필요한 지원(아기장수 우투리, 삼국사기) 등을 뜻하는 ‘콩’ 등 총 100종이다.
곤충은 △작고 자유로운 이미지(나무꾼과 선녀)의 ‘개미’ △아름다운 풍경을 묘사할 때 쓰이는 ‘벌’ 등 14종이다.
지형 자원은 △감옥, 억류, 은폐(삼국사기) 또는 시련, 보상(삼국유사)을 뜻하는 ‘동굴’ △험난함과 위험(꼭두각시와 목도령), 만남(대문 밖에 소금 뿌려라)을 상징하는 ‘고개’ 등 33종이다.
수자원은 △신성함(신통방통 도깨비), 기적(젊어지는 샘물), 행운(지성이와 감천이)을 나타내는 샘 △풍류 또는 휴식의 이미지를 띄는 ‘강’ 등 총 10종이다.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이상영 연구관은 “이번에 분류·분석한 자료는 농촌의 생태 체험과 관광 사업에서 이야기하기의 자료 등 문화 콘텐츠로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라며, “농촌 방문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아이들의 감성 개발과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농촌환경자원과
이상영 연구관
031-290-0262
-
2018년 4월 13일 16:10